우리말 어원사전 알아두면 잘난 척하기 딱 좋은 시리즈
이재운 지음 / 노마드 / 2018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알아두면 잘난 척하기 딱 좋은 우리말 어원사전

 

 

일상생활 속에서 무심코 사용하면서도 정작 그 의미를 정확히 모르고 사용하는 말들이 은근히 많다. 비록 어휘력이 풍부한 사람이라고 하지만, 어떤 특정 단어를 제시해 놓고, 이 말의 뜻이 정확하게 뭔가요 하고 묻는다면, 선뜻 대답 못할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우리말이 담고 있는 의미가 깊고, 넓기도 하거니와 언어학자, 국문학자가 아닌 다음에야 굳이 그 말의 뜻을 몰라도 사는데 별다른 문제가 없기 때문이다. 흔히 우리가 일상생활을 하는데, 필요한 단어는 300단어 내외라고 한다. 말도 늘 즐겨 쓰는 말, 자주 쓰는 말을 사용한다고 보면 좋을 것 같다.

<알아두면 잘난 척하기 딱 좋은 우리말 어원사전> 제목이 참 근사한데, 어원 사전 답게 읽을 거리가 풍성하다.

공주, , 굿, 무당, 부인, () 등등 일상에서 무척이나 많이 사용된다. 하지만 이런 말이 탄생한 배경, 유래, 어원에 대해서는 잘 모른다. 공주가 왜 공주이고, 귤은 또 왜 귤이고, 굿은 왜 굿이고, 처는 왜 처가 되었는지?

귤의 어원 유래는 굉장히 오래되었다. 삼국시대 백제 476년 문주왕 때로 거슬어 올라간다.

국어(國語), 우리말 혹은 나랏말을 뜻한다. 하지만, 국어는 원래 중국 노나라 사람인 좌구명이 쓴 역사책 제목이다. 하지만 후대에 와서 국어는 역사서 보다 우리말 혹은 나라말이란 의미로 더욱 굳어졌다.

어원 사전을 읽다 보니, 꽤 오래전이기 한데, 어느 책을 보다가 작가들은 사전을 펴 놓고 읽는다는 글귀를 보고 나도 따라 해 본 적이 떠올랐다. 사전 속에는 수천 수만의 단어들이 있고, 그 단어마다 그 단어의 뜻을 풀이해 놓았기에 어휘력을 높이고 풍부하게 하는데 에는 사전을 읽는 것 만 한 게 없다는 말을 사전을 보면서 실감할 수 있었다. 사전 읽기에 재미를 붙이게 되면, 오히려 소설 못지 않게 재미와 유익함을 발견할 수도 있다. <칼의 노래>를 쓴 김훈 작가의 방에는 오직 사전류들 밖에 없다고 하는 이야기를 들은 기억이 난다.

땡전 한 푼도 없다 할 때, 땡전이란 말의 뜻은 뭘까? 궁금하다면, <알아두면 잘난 척하기 딱 좋은 우리말 어원사전>에서 그 궁금증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세종대왕께서 만든 훈민정음, 한글, 우리말, 기왕에 쓸 거면, 그 뜻을 바로 알고 제대로 사용하는 게 진정 우리말을 아끼고 잘 보존하는 길인 것 같다.

어원사전을 통해 어휘력도 높이고, 우리 말의 뜻을 제대로 알고, 꿩 먹고 알 먹고 라는 속담말이 여기에 해당되는 게 아닌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