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극의 리스트 - 문학과 예술 속의 목록사: 호메로스에서 앤디 워홀까지 에코 앤솔로지 시리즈 3
움베르토 에코 지음, 오숙은 옮김 / 열린책들 / 201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읽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그렇겠지만 몇십 권씩 작은 노트가 쌓이는 경험이 있을 겁니다. 저도 등뒤에 보이는 책장의 한 칸은 모두 노트입니다. 그 노트에는 각기 인용문이나 여러 책에서 읽고 좋았던 감상 등이 적혀 있고, 심할 때엔 필사를 몇 권씩 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것은 어떻게 보면 우리가 무언가를 수집하고 싶은 욕망을 극대화시킨 것이라 하겠습니다. 때문에 등 뒤의 저것들은 어찌 보면 변소의 리스트겠지요.

 

 

 

변소의 리스트보다 더한, 움베르트 에코의 궁극의 리스트

 

 

어릴 때부터 저는 좀 그랬습니다. 무언가를 읽다 보면 그 책과 관련된 다른 것을 알고 싶어집니다. 또 다른 것을 읽다 보면 그 책에 대해 더 알고 싶어지고, 혹은 그 책과 관련된 많은 것들을 모으고 싶어져 참을 수가 없습니다. 예를 들어 어제 제가 도서전에 가서 잔뜩 사은품을 받아왔습니다. 단지 그 책과 연관된 것이 물질화되어 있어서 너무 기뻐서 모을 수 밖에 없다, 이런 기분이라고 설명하겠습니다. 또 저는 앞서 말했다시피 어떤 책을 읽으면 그 책과 관련된 것을 자꾸만 모읍니다.

 

 

 

 

예를 들어 단테의 신곡이 마음에 든다고 칩시다. 그럼 전 단테의 신곡을 읽고, 단테의 일대기를 연구합니다. 그 후엔 단테 신곡과 관련된 논문이나 책을 차례로 읽은 후 원전을 찾아서 읽지는 못하지만 분위기는 파악합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시조를 읽으며 4언절구니 어쩌구저쩌구 이런 식으로 오? 운율?! 이런 건가?! 이럽니다. 나아가서는 각 나라별로 어떤 식으로 번역되었는가 연구하고, 그 다음으로는 단테의 신곡을 모티브로 삼은 여러 2차 저작물을 찾습니다. 소설부터 시작하여 영화, 음악, 드라마... ... 이렇게 하나의 무언가를 텍스트 혹은 바이블로 배치하고 이야기를 펼치는 스토리텔링을 저는 참 좋아하는데요, 움베르트 에코는 더합니다. 아예, 그 스토리텔링의 과정에서 얻은 메모를 책으로 내버렸습니다. 이건 무슨, 전화번호부보다 더한 리스트가 나와버렸습니다. , 그래서 궁극의 리스트?

 

이 책에는 우리가 알고 있는 그림, 책의 이야기가 가득합니다. 특히 인용문이 많습니다. 때문에 이 안에 등장하는 책들을 읽지 않았다면 재미가 반감되겠습니다만, 그렇지만도 않습니다. 알고 있는 한도 안에서만 이해해라, 이런 느낌을 가득 품어 그림을 잔뜩 집어넣어주셨거든요. 이야기가 추상적이죠? , 그렇다면 조금 쉽게 이야기해 봅니다. 저는 앞서 단테에 대한 이야기를 한참 했는데요, 이 책의 표지가 단테와 관련이 있습니다. 이 책의 표지는 에드워드 번 존스의 황금계단입니다. 이 황금계단은 단테의 신곡에 등장합니다. 55페이지를 폅니다. 단테의 신곡 천국편 중 제 29곡이 나옵니다. 번역은 민음사 판이 훨씬 낫습니다. 민음사 번역판은 단테 연구자이신 박상진 선생님께서 직접 번역을 맡으셔서 원서의 운율감을 그대로 살렸거든요. 아시다시피 단테의 신곡은 ’, 긴 노래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노래라고 하니 너무 웃기나) , 그럼 민음사 판으로 인용합니다.

 

 

 

 

 

 

얘기가 좀 벗어났으나

정신의 눈을 진리의 길로 돌리세요.

우리에게 남겨진 시간 동안 논의를 마쳐야 합니다.

 

천사들의 본성은 인간이 셀 수 있는

수의 단위를 훨씬 넘어섭니다.

인간의 말이나 개념으로는 거기에 다다를 수가 없습니다.

 

다니엘의 책을 보세요. 그가

말한 수천이라는 수는

미정의 수 혹은 무한의 수라는 뜻이에요

 

최초의 빛께서는 그들 모두를 통하여

빛을 내리시고, 짝 지을 수 있는 빛들의 수만큼이나

많은 방식으로 그들을 관통하십니다.

 

그래서 인지하는 행위는 애정에

앞서며, 사랑의 축복은 천사들마다 다르게

내리셔서 타오르거나 미지근한 것입니다.

 

이제 높은 곳을 보시고 영원한 선의 숨결을

보세요. 그분의 숨결은 그 자체를 비추는

셀 수 없이 많은 거울들로 나뉘면서

 

언제나 그러했듯 하나로 남아 계십니다.”

 

(p.257 신곡 천국편 단테 알리기에리의 코메디아, 단테 알레기에리, 박상진, 2007, 민음사)

 

 

 

지금 단테는 천국의 계단을 오르고 있습니다. 그 안에서 누군가의 목소리를 듣고 있습니다. 이 목소리는 우리가 너무나 잘 알고 있는 베아트리체입니다. 이 목소리를 우리는 듣고, 표지의 그림을 통해 보며, 새로운 단테를 생각합니다. , 움베르트 에코 안의 단테는 이렇구나. 그렇다면 우리의 단테는 어떨까.

 

 

 
 
 
 

 

궁극의 리스트는 이런 책입니다. 움베르트 에코가 생각했을 때 , 이건 우리 같이 봐야지?” 싶은 이야기를 하나, 둘 모아놓았다고 하겠습니다. 어찌 보면 이건 움베르트 에코의 블로그라고 봐도 좋겠어요. 우리는 블로그에 이렇게 많은 것들을 모으고 있으니.

당신의 궁극의 리스트는 무엇인가요?

알고 싶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