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로사회
한병철 지음, 김태환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1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대인이 겪는 우울증의 원인을 날카롭게 분석했다.
저자에 따르면 현대인은 사회적 인정, 물질적 풍요, 사치스러운 여행을 욕망하고 이를 위해 최선을 다해 일한다. 끝없는 욕망은 끝없는 노동으로 사람들을 몰아넣고 자기의 모든 것을 소진하게 만든다. 이때 사람들은 ‘자유롭다‘는 감정에 휩쓸려 있기 때문에 이 과정을 멈추기 어렵다. 또 자본주의가 ‘끝없는 욕망‘을 계속 충동질한다. 사람들은 사색을 잃고 행동하는 기계가 되어버린다. 자신의 모든 것을 소진한다.
우치다 타츠루는 ‘교사를 춤추게 하라‘에서 자본주의가 개인을 모듈화 한다고 지적한다. 언제든 교체 가능한 노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업무를 잘게 쪼개고 메뉴얼을 만든다. 노동자는 파편화되고 소외된다. 한편 자본주의는 소비 단위를 잘게 쪼개기 위해서도 노력한다. 가족단위로 협의해서 구매하는 것보다 개인이 자신의 취향대로 물건을 구매하는 것이 더 큰 수요를 창출한다는 논리이다. 이 역시 개인을 파편화하고 공동체는 해체된다. 노동자이자 소비자인 개인은 업무에도 소비에도 남의 간섭을 받지 않으며 자유롭다고 느낀다.
자유는 복음처럼 울려 퍼진다. 면죄부를 사기 위해 물질을 지불했던 중세시대처럼 자유를 사기 위해 나의 인생을 지불하고 있다. 자유롭다는 감정이 생각하는 힘을 마비시켰다.
TV를 보다 한 연예인이 라이벌이 누구냐는 질문에 ‘제 라이벌은 제 자신뿐이죠.‘하고 대답했다. 사람들은 ‘오~‘하고 감탄하는 눈빛으로 그를 바라봤다. 그렇다면 그 경쟁은 언제 끝날 수 있을까? 어제의 나와 끝없이 싸우다가 인생 마치는 것 아닐까.
평소 내가 간절히 원하던 간섭 받지 않는 인생, 자유로운 삶이 무엇을 포기하고 얻는 것인지, 내가 그것을 원하도록 누가 조작했는지 생각해 보아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부유한 자가 정부를 이끄는 나라는 누가 뭐래도 민주주의가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혼자 못 사는 것도 재주 - 리스크 사회에서 약자들이 함께 살아남는 법
우치다 타츠루 지음, 김경원 옮김 / 북뱅 / 2014년 9월
평점 :
절판


대구에 사시는 시어머니께서 종종 반찬을 챙겨 주신다. 무말랭이, 콩잎, 마늘짱아찌.. 대체로 내가 좋아하지 않는 맵고 달고 짠 음식들이다. 아무래도 내가 상을 차리다 보니까 시어머니의 반찬들은 냉장고 바깥 공기를 잘 쐬지 못한다. 반찬이 줄지는 않고 점점 쌓이다 보니까 냉장고 안은 왁자지껄 북새통이 됐다. 한 번은 어머니께서 보내준 고추장은 잘 먹었냐고 물으셨다. 순간 나는 언제 고추장을 주셨는지도 기억하지 못해 바보 같은 얼굴을 했다.
이번 설에는 대구에서 총각무를 받아왔다. 간이 짜지 않고 시원해서 입에 잘 맞았다. 며칠 사이에 다 먹어버렸다. 우리가 총각무를 잘 먹었다는 이야기를 어머니께서 들으시고 무척 기뻐하셨다고 한다.
충격이다. 우리가 잘 먹으면 어머니께서 기뻐하신다는 생각을 해본 적이 없다. 왜 음식을 싸주시는지도 생각하지 않았다. 그냥 냉장고 안이 좁아지는 게 싫었고 내 냉장고인데 내 마음대로 채울 수 없다는 게 싫었다. 무슨 생각으로 음식을 주시는지 어떤 마음인지 생각도 안했다. 나는 그만큼 무신경하고 이기적인 인간이다.
우치다 타츠루 선생은 요즘 유행하는 자기결정, 자기책임의 인생관을 염려한다. 인생에 고난이 닥쳐올 때 고립된 개인으로 대처하는 것은 리스크가 너무 크다. 도움을 주고 받는 공동체에 소속되어야 위기를 잘 대처할 수 있다. 기꺼이 여분을 남에게 주고 내가 약자가 되었을 때 여분을 증여 받는다. 그것이 우치다 타츠루 선생이 말하는 인간의 본질이다. 개인이 있고 사회가 생긴 것이 아니다. 사회, 공동체를 이룰 때 비로소 '인간'이 된다. 자본주의는 파편화된 개인이 될 것을 요구하지만 이것은 수요를 증가하려는 방편일 뿐이다. 공동체 구성원들은 서로의 안녕과 행복을 빌어주고 이것은 실제 안녕과 행복으로 이어진다. 공동체에 소속된 사람이 더 풍요롭고 행복하다.
첫 직장에서 동료가 모욕적인 일을 당했다. 울고 있는 그를 대신해 부조리에 항의할 사람은 없었다. 다들 슬픈 표정을 짓고 있었지만 거기까지였다. 그 일을 계기로 노동조합에 가입했다. 누군가 억울한 일을 당했을 때 한 명만 앞장서면 따라 나서리라 결심했다. 첫 사람이 될 용기는 없어도 두 번째, 세 번째 정도는 해야지. 생각과는 다르게 여전히 비겁한 인간으로 살았지만 뭐랄까. 든든했다. 서로를 지켜줄 거라고 생각했다.
직장을 옮기고 마음 고생을 많이 했다. 인간으로서 존엄이 지켜지지 않았고 나는 너무 많이 훼손되었다. 웃고 싶지 않을 때 웃어야했다. 나는 한 번도 주체가 되지 못했다. 이 년 반동안 나는 착취의 대상이고 객체였다. 상대는 끝까지 무례했다. 고통에 처한 사람들이 많았지만 고통을 나누지 않았다. 고통스러운 기억이다.
공동체가 필요하다. 나의 것을 내어주고 기꺼이 선물 받을 수 있는 건강한 공동체. 여전히 귀찮고, 간섭이 싫지만. 이 책을 읽으며 어린 아이를 벗어나 주변을 살피는 어른이 무엇인지 조금이나마 느낄 수 있었다. 곁에 두고 계속 읽을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강자‘는 ‘계속 승리할 수 있는 자‘가 아니라 ‘몇 번이고 패배할 수 있는 여력을 갖춘 자‘를 말한다. 한편, ‘약자‘는 ‘한 번의 실패고 용납되지 않‘는 막다른 궁지에 몰린 인간을 가리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류지향 - 배움을 흥정하는 아이들, 일에서 도피하는 청년들 성장 거부 세대에 대한 사회학적 통찰
우치다 타츠루 지음, 김경옥 옮김 / 민들레 / 201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약
1. 적극적으로 공부로부터 도피하는 사회집단이 나타났다. 모르는 것을 불편해하지 않고 오히려 공부하지 않는 것에서 자부심을 느낀다. 능력이 없으면서도 자신만만하다. 자기결정 자기책임 이데올로기가 이런 현상을 강화하고 이들은 하류계층으로 떨어진다. 하류로 떨어지고 있는 이들은 소비주체로서 사회생활을 시작했기 때문에 등가교환을 추구하며 따라서 그 효과를 알 수 없는 교육이라는 상품에 대가를 지불하길 거부한다. 이들은 교육은 그 과정이 끝난 후에야 효과를 알 수 있다는 사실을 알지 못한다.
2. 사회는 자기결정 자기책임 이데올로기를 앞세워 상부상조할 수 있는 공동체를 해체했다. 역설적으로 여전히 상류계층은 리스크를 공동 관리할 수 있는 강한 집단을 형성하여 자신의 사회경제문화적 지위를 유지하는 반면 약한 개인은 자기결정 자기책임 이데올로기에 매몰되어 더욱 취약한 처지로 내몰린다. 개인은 약하고 리스크를 홀로 관리할 수는 없다. 서로 돕고 사는 전통을 회복해야 한다.
3. 소비주체로서 정체성을 가진 사람은 등가교환이 성립하지 않는 노동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그러나 노동은 본질적으로 잉여의 교환, 증여 받은 것에 대한 보답이기 때문에 등가교환이 불가능하다. 받았으니 보답해야 하는 것이지 받은 만큼 주는 것이 아니다. 소비주체로서의 개인은 교육, 노동, 훈련을 거부하고 니트족이 되기 쉽다.
4. 서로 돕는 사회를 회복해야 한다.

느낀 점
1. 나의 시간과 노동력을 제공하여 월급을 받은다. 따라서 적은 노동력을 제공하고 많은 월급을 받으면 이득이 가장 크다. 받은 월급보다 많은 노동력을 제공하면 착취 당하는 거다. 내 노동이 만들어낸 모든 가치를 내가 갖지도 못해서 어차피 나는 착취 당하고 있다. 그러니까 더 많은 노동력을 제공하는 것은 바보짓이다.

2. ... 라는 생각을 요즘 자주 한다. 이 책과 기존 내 생각이 잘 통합되지 않는다. 생각할 시간이 필요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