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로사회
한병철 지음, 김태환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1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대인이 겪는 우울증의 원인을 날카롭게 분석했다.
저자에 따르면 현대인은 사회적 인정, 물질적 풍요, 사치스러운 여행을 욕망하고 이를 위해 최선을 다해 일한다. 끝없는 욕망은 끝없는 노동으로 사람들을 몰아넣고 자기의 모든 것을 소진하게 만든다. 이때 사람들은 ‘자유롭다‘는 감정에 휩쓸려 있기 때문에 이 과정을 멈추기 어렵다. 또 자본주의가 ‘끝없는 욕망‘을 계속 충동질한다. 사람들은 사색을 잃고 행동하는 기계가 되어버린다. 자신의 모든 것을 소진한다.
우치다 타츠루는 ‘교사를 춤추게 하라‘에서 자본주의가 개인을 모듈화 한다고 지적한다. 언제든 교체 가능한 노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업무를 잘게 쪼개고 메뉴얼을 만든다. 노동자는 파편화되고 소외된다. 한편 자본주의는 소비 단위를 잘게 쪼개기 위해서도 노력한다. 가족단위로 협의해서 구매하는 것보다 개인이 자신의 취향대로 물건을 구매하는 것이 더 큰 수요를 창출한다는 논리이다. 이 역시 개인을 파편화하고 공동체는 해체된다. 노동자이자 소비자인 개인은 업무에도 소비에도 남의 간섭을 받지 않으며 자유롭다고 느낀다.
자유는 복음처럼 울려 퍼진다. 면죄부를 사기 위해 물질을 지불했던 중세시대처럼 자유를 사기 위해 나의 인생을 지불하고 있다. 자유롭다는 감정이 생각하는 힘을 마비시켰다.
TV를 보다 한 연예인이 라이벌이 누구냐는 질문에 ‘제 라이벌은 제 자신뿐이죠.‘하고 대답했다. 사람들은 ‘오~‘하고 감탄하는 눈빛으로 그를 바라봤다. 그렇다면 그 경쟁은 언제 끝날 수 있을까? 어제의 나와 끝없이 싸우다가 인생 마치는 것 아닐까.
평소 내가 간절히 원하던 간섭 받지 않는 인생, 자유로운 삶이 무엇을 포기하고 얻는 것인지, 내가 그것을 원하도록 누가 조작했는지 생각해 보아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