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등에게 박수 치는 게 왜 놀랄 일일까? - 사회 문화 질문하는 사회 1
오찬호 지음, 신병근 그림 / 나무를심는사람들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찬호의 책 중 처음 읽은 것은 ‘우리는 차별에 찬성합니다‘였다. ‘그 남자는 왜 이상해졌을까‘, ‘진격의 대학교‘에서도 오찬호는 늘 화가 나 있다고 느껴졌다. KTX 정규직 전환 투쟁에 공감하지 않는 대학생들에게, 이상해진 남자들에게, 맹목적으로 돈을 좇는 대학에게 그는 화가 나 있었다. 나는 그의 ‘화‘가 좋았다. 내 주위 사람들도 나도 좀처럼 화를 내지 않는다. 화를 곧잘 내는 캐릭터가 있긴 하지만 사람들의 공감을 얻지 못하고 어딘가 좀 이상한 사람으로 분류되어 버렸다. 우리는 메에에에 양처럼 순한 사람들이 되었다. 메에에에- 나는 양처럼 살고 있지만, 그렇게 살고 있으니까 책 속에서 화를 내고 있는 오찬호가 좋았다. 아아 더 화끈하게 화내 줘요. (물론 이러라고 쓴 책은 아니겠지만.)
그런데 이번 책은 표지가 좀 귀엽다. 제목도 그렇다. 알고 보니 중학생을 위한 책이었다. ‘이 정도면 사회학이 정말 매력덩어리 아닐까요?‘라니. 설마 오찬호마저 메에에에 양이 된 걸까.
아아 다행이다. 그는 여전히 화가 나 있었다. 게을러서 가난한 게 아니라고, 좌절할 만한 일이 너무 많다 보니까 게을러진 거라고, 120만원이면 먹고 살만하지 않다고 그는 말한다. 곰곰 생각해 보지 않고 안일한 결론에 이르는 이들에게 그렇지 않다고, 더 생각해 봐야 한다고 채근한다.
가장 마음에 드는 글은 ‘중2병은 정말 나쁜 것일까‘이다. ‘중2병‘이라는 말은 청소년기의 자연스러운 변화를 우스꽝스러운 것으로 만든다. 청소년들에게서 자아를 탐색할 시간을 빼앗고 어서 어른이 되라고 재촉한다. 오찬호는 청소년이 겪는 변화는 자연스러운 것이고 오히려 꼭 필요한 것이라고 외친다.
서비스업 종사자들이 사물에 대해 높임법을 사용하는 현상에 대해서도 그들이 지식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서비스업 종사자들이 무한경쟁 사회에서 과잉친절을 강요받기 때문이라고 항변한다.
생각을 해야 한다. 생각하지 않으면 사는 대로 생각하게 된다. 얼마나 무서운 일인가.

+더 읽을 책
박정호, ‘재미없는 영화, 끝까지 보는 게 좋을까?‘
박현희, ‘백설공주는 왜 자꾸 문을 열어 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적성숙학교 - 전환시대를 헤쳐 나가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고민하고 어떻게 세상을 바라봐야 하는가?
우치다 타츠루 지음, 서혜영 옮김 / 에스파스 / 2017년 8월
평점 :
품절


우치다 타츠루 선생이 엮은 세 번째 논집이다. 첫 책 ‘거리의 우국주의‘는 번역이 안 된 것 같고, ‘반지성주의를 말하다‘는 얼마전 읽었다. 예전의 경험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변화가 몰려오는 대전환기를 맞아 지식인들이 청소년들에게 하고 싶은 말을 전한다. 분위기만 탓하는 무책임함, 정치인의 말 가려듣기, 십대에게 직업을 정하라고 강요하는 사회, 인구감소, 과학자의 사고방식, 소비사회의 문제점, 애국, 핵, 경제, 난민 등 다양한 주제를 다양한 톤으로 다룬다.
얼핏 듣기에는 그럴 듯하지만 곰곰 생각해 보면 논리적이지 않은, 혹은 생존에 유리하지 않은 생각들을 지적하고 저자들이 깊이 생각한 바를 제시한다. 예를 들어 십대에게 ‘꿈을 꾸기보다는 직업을 정하라고 강요‘하는 사회의 부조리함을 지적하고 직업은 그저 돈벌이여도 좋다, 너무 거창하게 생각할 필요 없다고 말하는 식이다. 아, 속이 다 후련하다.
동료 교사 중 걸핏하면 ‘너는 꿈이 뭐야‘를 묻는 이가 있다. 보통 질문을 듣는 아이는 교칙을 어기거나 친구와 다투거나 선생님에게 대들어서 교무실에 ‘잡혀온‘ 학생이다. 이럴 때는 꿈이 없다고 말해도 혼나고 꿈을 말해도 혼난다. 꿈이 없다고 말하면 꿈을 꿔야 한다고 야단치고 (지금 막 지어낸 듯한) 꿈을 말하면 그 꿈을 이루려면 이렇게 살면 안 된다고 혼난다. 혼내키기 위해 꿈을 묻는 것 같다.
연말에 생기부를 쓸 때에는 더 우습다. 중학생이 장래희망란에 ‘의사‘라고 적어오면 ‘더 구체적으로 내과 의사는 어떠니‘한다.
교사가 되고 싶다는 생각을 한 적은 없었다. 아무것도 안 하고 그냥 먹고 살고 싶다. 부자가 되고 싶지도 않다. 사범대에 갈 때도, 심지어 임용이 되고도 교사가 되고 싶다고 생각한 적은 없다. 아, 속이 다 시원하다. 이 정도 인간이어도 그럭저럭 살 수 있다는 게 오히려 희망적이지 않은가. 무슨 중학생 때부터 내과의사를 꿈꾼단 말인가.
이 책에는 다양한 의견이 전개된다. 통쾌한 글부터 그럴 듯한데를 지나 지금 이게 무슨 의미가 있나 싶은 글까지 다양하다. 글들의 공통점은 생각을 촉진한다는 것이다. 남들이 그렇다니까 그런 줄 알지 말고 자기 힘으로 생각해서 답을 찾아보라고 한다. 인구감소가 문제니까 문제인가보다 하지 말고 ‘혹시 이거 문제가 아닌 거 아냐?‘ 생각해 보고, ‘뽑을 사람이 없어서 안 뽑는다‘고 하지 말고 ‘투표 안하면 큰일 나는 거 아냐?‘하고 생각해 보는 거다.

+더 읽어볼 책
장 보드리야드, ‘소비의 사회‘
다카하시 겐이치로, ‘우리의 민주주의거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가 원하는 것으로부터 나를 보호하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업 - 누구나 경험하지만 누구도 잘 모르는 - 이혁규의 교실수업 이야기
이혁규 지음 / 교육공동체벗 / 201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실험에 기반하여 교육학자 랑시에르는 ‘무지한 스승‘에 대해서 논한다. 무지한 스승이란 학생들에게 가르칠 것을 알지 못하는 스승이며, 어떤 앎도 전달하지 않으면서 다른 앎의 원인이 되는 스승이다. 즉, 무지한 스승은 충분한 지식을 갖고 있지도 못하고 그것을 전달하는 적절한 교수 방법도 알지 못함에도 학습자에게 훌륭한 학습이 일어나도록 하는 그런 존재이다. ...
무지한 스승은 도대체 어떻게 학생들에게 성공적인 학습이 일어나도록 만들었을까? 그가 가르친 것은 구체적인 학습 내용이 아니다. 그가 유일하게 무엇인가를 가르쳤다면 그것은 누구나 스스로 배울 수 있다는 평범한 사실을 환기시키고, 배우는 것이 가치 있다고 학습자의 의지를 각성시킨 것이다. ...
인간 교사가 할 수 있고 해야 할 유일한 인간적인 활동은 배우는 삶이 가치 있고 추구할 만한 것이며, 그러므로 그런 삶을 살도록 학생들의 의지를 각성시키는 것이 아닐까?

아이들은, 한편으로는 "현재의 욕망을 유보시켜야 미래에 잘 살 수 있다"고 주장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현재를 즐기고 소비하는 것이야말로 가장 가치 있는 삶이다"라고 주장하는 상호 모순되는 세계를 횡단하며 살아간다. 그리고 이중구속의 상태에 놓여 있는 사람들이 정신분열증-현실로부터 이탈하는 망상형, 모든 것을 문자 그대로 받아들이는 파괴형, 자신의 내면에만 집중하는 긴장형-을 보이는 것과 유사하게 학생들도 정신정인 홍역을 치른다. 세계 최고의 스트레스와 정신 질환을 보이는 한국 학생들의 현실은 이들이 처한 상황이 이중구속의 상황과 매우 유사함을 잘 드러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매혹이란 무엇인가. 매혹이란 ‘출구 없음‘이다. ‘노 웨이 아웃‘. 그리하여 매혹이란 당신이라는 세계 속에서 내가 속수무책이 되었음을 인정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