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책은 도끼다
박웅현 지음 / 북하우스 / 201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 이 책은.
이 책은 <넥타이와 청바지는 평등하다>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 <생각이 에너지다> <혁신을 혁신하다> 등 다양한 유명광고를 기획한 박웅현작가의 독서에 관한 이야기를 담은 책이다. 수많은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기획한 박웅현이라는 사람이 궁금하기도 했고, 그 분이 어떤 책을 즐겨 읽는지 궁금한 나의 니즈를 충족시킨 책이라 할 수 있다.
이 책은 카프카가 말한 도끼와도 같은 의미로 작가에게 다가온 다양한 책들을 소개하고 있는데, 여러 고전들을 작가의 시각으로 재조명한 부분들이 참 맘에 들었다. 먼저 접했던 [여덟단어]와도 같은 문체인 강연의 이야기를 재구성한 방법을 사용했는데, 마치 내가 그 현장에 있는 것 처럼 느껴져 읽기가 수월했다. 그러나 이 부분은 호불호가 갈릴 수도 있을 것 같다.
작가는 책의 전반부에서 후반부까지 한결같은 목소리로 다독보다는 한 권의 책이라도 울림이 있어야 하는 문장을 만날 것을 강조하고 있으며, 독법에는 정답이 없기 때문에 다양한 독법을 만남으로써 나만의 독법을 만드는 것 또한 중요하다고 일관성있게 말하고 있다.
# 이 책을 읽으며.
일상, 감사, 풍요, 감동, 통찰.... 책을 읽는 내내 이 단어들이 머릿속을 맴돌았다. 작가가 울림을 받은 다양한 책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동시에 독서와 독서법에 관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 책이지만, 작가의 확고한 가치관과 철학이 책 전반에 걸쳐 녹아져내린 결과물이라고 생각을 했다. 이러한 가치들을 위해선 순간의 행복, 울림을 주는 문장을 만나야 한다는 것도 덧붙이고 있다. 순간의 행복을 잡기 위해서는 약간의 훈련이 필요한데, 그 기준을 잡아주는 좋은 방법이 바로 훌륭한 책을 만나는 것이고, 그러한 책 속에서 울림을 주는 문장을 만날 수 있다면 더없이 행복할 것이라고 말하는 작가의 생각에 깊은 공감을 표한다.
# 이 책을 읽고나서.
이 책을 보면서 내가 덧붙여 생각을 했던 부분은 바로 '다독'부분이었다. '다독 콤플렉스'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작가의 말에 부정을 하는 것은 아니지만, 울림의 경지에 이르려면 어느 정도의 다독은 동반되야 하지 않을까 생각했다. 필수라고까지는 하지 않겠지만, 어느 정도 다양한 책들을 접하면서 얻게되는 다양한 사고와 안목은 비판적 사고를 하며 독서를 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그렇게 읽을 때 우리는 그제서야 비로소 나에게 맞는 책과 그렇지 않는 책을 구별할 수 있을 "때"가 오지 않을까 싶다. 더불어 그 시기에 읽는 책중에서 울림을 주는 문장을 만날 확률이 높아지는 건 내 경험에서도 입증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부분은 개인적으로 "무작정 많이 읽는 것에서 벗어나라"가 아닌 "보여주기 식의 독서를 지양하라" 정도의 뜻으로 받아들이면 될 것 같다.
기억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감동받는 것이라고 합니다. 그래서인지 지식이 많은 친구들보다, 감동을 잘 받는 친구들이 일을 더 잘합니다. 감동을 잘 받는다는 건 풍요로운 삶을 살고 있다는 증거이기 때문입니다. 그 친구들은 돈이 있건 없건 상관없어요. 그 친구들은 나뭇잎 하나에도 감탄하고 음악 하나 들으면서 정말 좋다는 걸 알아요. 그런 친구들이 일도 잘하고 인생이 풍요롭죠. 이런 친구들을 벤치마킹해보자는 게 이 수업의 마지막 목표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p.51
대나무의 삶은 두꺼워지는 삶이 아니라 단단해지는 삶이다. 더 이상 자라지 않고 두꺼워지지도 않고, 다만 단단해진다. 대나무는 그 인고의 세월을 기록하지 않고, 아무런 흔적을 남기지 않는다. 대나무는 나이테가 없다. 나이테가 있어야 할 자리가 비어 있다. _김훈 p.85
행불행은 조건이 아니다, 선택이다. 책을 읽고 난 후 받은 감동과 여러 느낌들을 정리해보니 행불행이 이렇게 정리되더군요. 나는 불행해, 나는 행복해, 우리는 이것을 운명이라고 생각하는 것 같은데 그렇지 않습니다. 그건 똑같은 현상을 두고 내가 행복을 선택할 것이냐, 불행을 선택할 것이냐라는 것이죠. 돈이 많아야 하고, 어디에 살아야 하고, 어디에 가야 하는, 그런 건 아니라는 겁니다. 다 가졌다고 행복할까요? 우리는 행불행을 조건이라고 착각하고 살고 있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자세의 문제라는 생각입니다. 행복은 조건이 아니라 선택입니다. ‘난 행복을 선택하겠어‘하면 됩니다. 행복은 운명이 아니니까요. 삶을 대하는 자세가 만들어내는 것이지 어떤 조건이 만들어줄 수는 없는 것이죠. p.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