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미경의 인생미답 - 살다 보면 누구나 마주하는 작고 소소한 질문들
김미경 지음 / 한국경제신문 / 2016년 5월
평점 :
절판

#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답은 '나를 가장 사랑하는 답', '나 스스로를 지독히도 끝까지 사랑하는 답' 을 인생미답이라 말하고 있는 작가 김미경의 이야기. 아니, 어쩌면 우리들의 이야기일지도 모르겠다. 김미경작가 특유의 옆집 언니 같은 문체로 토닥토닥 거려주는 느낌의 책들... 그래서 내 책꽂이에는 언제나 아트스피치, 드림 온, 꿈이 있는 아내는 늙지 않는다가 꽂혀 있는지도 모르겠다.
정말 많은 주제를 가지고 짤막짤막하게 작가의 인생을 통해 녹여낸 스토리들. 역시나 김미경 작가의 인생엔 가족이 빠져선 안 될 소재인 것 같다. 여태 읽었던 김미경 작가의 모든 책이 그랬듯이.
오히려 짤막짤막해서 틈틈이 읽어도 좋을 법한 책. 가볍게 넘기기 좋기도 하지만, 넘긴 후엔 나를 돌아볼 수 있는 긴 여운이 남는 책인 것 같다.
# 특히나 내가 관심 있게 읽었던 부분은 자존감 부분이었다. 자존감을 낮게 만드는 이유 중 하나가 도전하는 삶이라고... 하지만 그 도전의 성공과 실패는 언제나 햄버거의 빵 아래와도 같아서 늘 붙어있기 마련인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 자존감을 회복하는 일이다. 작가는 쉬어야 한다고 했다. 내가 잘할 수 있는 일을 하면서 다시 도전할 수 있게 재충전하려면 내가 잘하는 일이든, 놀이든, 뭐든 하면서 내 자존감을 그렇게 회복시켜야 한다고 했다.
# 가정교육 그리고 엄마와 딸
책을 읽으면서 엄마가 많이 생각났다. 그리고 먼 훗날 성인이 될 나의 자녀를 위해서라도 나도 꾸준히 기록을 해야겠구나 생각했던 시간들. 굳이 엄마가 매번 하는 잔소리처럼, 예전에 엄마는 말이야~ 이런 게 아니라, 책 한 권의 엄마의 인생이 들어있다면, 그리고 그것을 내 자녀가 본다면 더없이 훌륭한 산 교육이 되지 않을까 싶다. 이 엄마도 지금 나이는 처음이야. 너도 자식 노릇 처음인 것 처럼, 나도 엄마 노릇이 처음이야. 엄마는 이렇게 컸고, 이런 생각을 하고 살았고, 너를 간절하게 기다리며 이렇게 생각을 했단다. 힘들때는 이렇게 극복했고, 울기도 많이 울었어. 엄마도 이렇게 완벽하지 못한 사람이야. 그래도 널 안는 순간 모든 슬픔과 걱정들이 사라졌단다. 너는 나에게 이런 존재야. ... 이렇게 기록된 글을 본 자녀는 어떤 생각을 할지... 너무 궁금하다. 나의 성장과정을 내 자녀가 봤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처음으로 했던 순간.
살다 보면 얼마나 많은 일들이 생깁니까? 돈을 다 잃고, 시험에서 떨어지고 또는 가정에 큰 문제가 생기는 등의 아픔을 겪고 있다면 한번 생각해보시면 어떨까요? "그때 시절은 다시 생각하기도 싫어요"라고 도망치지 말고 부러진 부분을 정면으로 응시해보세요. 소리에 놀라서 오랫동안 방황하고 있지는 않은지 생각해보세요. 놀라지도 충격받지도 마요. 소리는 사건의 일부분일 뿐입니다. 내 인생에 일어난 온갖 사건의 주인이 되는 게 중요해요. 남 탓하면 주인 없는 몸은 아무도 돌볼 사람이 없어요. 여러분은 꼭 스스로 몸의 주인, 상처의 주인이 돼보시기 바랍니다. p.19
우리는 행복에 대해서 사실은 굉장히 인색해요. 후한 점수를 주는 것 같지는 않아요. 그래서 행복이라는 말 자체도 흔하게 쓰는 단어는 아니죠. 일상생활에서 우리가 "어머, 좋다", "아, 잘됐네"라고 얘기하지, "아, 행복해"라는 말은 잘 안쓰죠. "I'm so happy." 이런 말 미국 사람들은 굉장히 자주 쓴단 말이에요. 또 "Are you happy?"하고 자주 물어보기도 하고요. 조금만 기분이 좋아도 행복하다고 말하는 사람들이지만 우리는 정말 가슴 밑바닥에서 긁어 오는 그런 것만 행복이라고 말해야 할 것 같은 착각이 들거든요. p.21
사실 미혼엄마들은 대단히 용기 있는 사람들이에요. 낳을까 말까 하는 순간 '낳자'라는 힘겨운 선택을 했고, 입양을 보낼까 내가 키울까 하는 고뇌의 순간에 '한 아이의 엄마로 평생 살겠다'라는 위대한 선택을 한 사람들이잖아요. p.46
그날 미혼엄마들에게 이런 얘기를 해줬어요. 애기만 성장시킬 게 아니라 너희도 성장해야 해. 같이 성장한다 생각하고 매일 더 열심히 살아보자. 언젠가 아이들이 컸을 때 "고생했어요, 엄마. 나를 키워주느라고." 이렇게 엄마의 등을 어루만질 수 있는 아이로 꼭 키워야 한다. 그러려면 엄마가 같이 커야 해. 이런 얘기를 했거든요. p.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