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분 리셋 - 모든 성공은 좋은 기분에서 시작된다
알리 압달 지음, 김고명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24년 12월
평점 :
'젊을 때 고생은 사서 한다.'라는 속담이 있다. 이 맞는 말이다. 하지만 먹고살기 힘든 요즘은 이 말이 전적으로 맞는 건 아닌 듯하다. 여기서 더 고생을 하라니! 그런데도 내 미래의 편함은 보장받지 못한다니! 그래서 사회적으로 욜로라는 말이 유행했던 거다.
자기 계발서 시장도 마찬가지다. 시중에는 많은 자기 계발서들이 나와 있다. 그런 자기 계발서들은 거의 대부분이 비슷한 이야기를 한다. 성공을 위해선 평소와 다른 마음가짐이 필요하고, 그렇기 때문에 욕구를 조절하고 고통을 감수해내야 한다고. 물론 어느 정도 공감한다. 그렇지만 과연 그 방법이 성공으로 가는 유일한 길이라고 확신할 수 있는가?
그런 의문을 단번에 해결해준 책이 있다. 600만 구독자를 보유한 전직 의사이자 현직 유튜버인 알리 압달의 《기분 리셋》이다.
POINT 1. 자기 계발서의 정석인 체계적인 구성
자기 계발서에서 내용도 중요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중요한 게 있다. 바로 구성이다. 자기 계발의 방법을 전하는 책의 특성상 아무리 좋은 내용을 담고 있어도 구성이 엉망이라면 읽기 자체가 어렵다. 그런 측면을 고려했을 때 《기분 리셋》은 과연 어떨까?
책은 총 3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 충전해라 → 2부 제거해라 → 3부 지속해라. 그리고 그 밑에는 장제목이 3개씩 달려 있다. 제목만 읽어도 어떤 내용인지 짐작이 가지 않는가? 놀이·힘·사람을 통해서 충전하고, 불확실성·두려움·마찰을 제거하고, 보존하고 재충전하고 일치시키며 지속하라…. 자기 계발서를 읽다가 흐름을 놓친 적이 많은데, 이 책은 간략하고 쉬운 언어로 큰 줄기를 잡아줘서 무리 없이 읽을 수 있었다.
본문으로 넘어가면 더 잘 짜여진 구성을 엿볼 수 있다. 1부를 예로 들어보자. 1부는 충전의 중요성을 말하면서 1장에서는 놀이로 충전하는 방법, 2장에서는 자신의 힘을 길러 충전하는 방법, 3장에서는 사람에게 힘을 얻어 충전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그리고 1장 밑에는 '모험을 창조해라', '재미를 찾아라', '부담을 덜어내라'라는 소제목이 달려있다.
그런데 소제목 하단에는 1개에서 3개의 실험들이 붙는다. 1부 1장 첫 번재 소제목인 '모험을 창조해라'에서는 '실험 1 : 캐릭터를 선택해라', '실험 2 : 호기심을 수용해라'라는 실험이 붙어 있는 식이다. 자칫 지루해질 수 있는 내용에 실험이라는 기발한 아이디어를 더해서 집중력을 높여준다.
거기다가 각 장의 마지막에는 요약이 붙어 있어 읽은 내용을 가볍게 정리하고 넘어갈 수도 있다. 이렇듯 체계적인 구성은 《기분 리셋》이라는 자기 계발서의 신뢰도를 훨씬 높여준다.
POINT 2. 뜬구름은 NO! 현실적인 실천 방안
자기 계발서를 좋아하지 않는 이유는 비현실성 때문이었다. 본인이 성공한 방법을 제시하는 건 알겠는데 너무 어렵거나, 불가능한 여건일 때가 많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분 리셋》에서 제시하는 방법은 쉽고, 간편하고, 무엇보다도 현실적이다.
예를 들어 두려움을 완화하는 방법으로 10/10/10 법칙을 제시한다. 두려움이 우리를 심각하게 마비시키는 이유 중 하나는 우리가 사소한 문제를 거대한 문제로 인식(파국화) 하기 때문이다. 이럴 때 상황을 재해석하는 인지적 재평가가 필요한데, 10/10/10 법칙이 유용하다는 거다.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져보자. "이게 10분 후에도 중요할까?", "이게 10주 후에도 중요할까?", "이게 10년 후에도 중요할까?" 이런 질문을 통해 스트레스를 야기하는 문제의 중요도를 알 수 있다. 좋아하는 사람한테 거부당하는 건 물론 중요한 일이지만 10년 후에도 그 사람을 잊지 못하고 사랑하고 있을 것인가? 취업에 실패한 건 슬프지만 10년 뒤면 다른 회사에 취업해서 이미 잘 살고 있지 않을까? 이런 식이다.
극한으로 몰고가는 자기 계발서에 질렸거나 반대로 너무 낙관적인 소리만 하는 자기 계발서가 지겨운 사람들에게 이 책을 추천한다. 특히 2025년 계획을 세우고자 하면 먼저 이 책을 읽어보길 권한다. 현실적이고 실천 가능한 방법을 제시해 주면서 다정하기까지 하니 말이다.
*출판사 서평 이벤트를 통해 받은 도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