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금 - 박범신 장편소설
박범신 지음 / 한겨레출판 / 2013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어머니의 희생은 많이 화자되지만 아버지의 희생에 대해 말하는 것은 좀 촌티가 나는걸로 여기는 사람도 많잖아. 알코올중독 아버지, 폭력주의 아버지, 권력 지향 부정부패 아버지. 아버지 이미지는 이런 식이야. 아버지들이 만든 안락에 기대 살면서도 그래. (207쪽)

 

업튼 싱클레어의 소설 <정글>의 주인공 유르기스는 아내의 죽음에 이어 하나뿐인 피붙이 아들조차 진흙탕에 빠져 죽고나자 그때까지 삶의 터전으로부터 도망친다. 그에게는 부양해야 할 또다른 가족(아내의 어머니와 동생들)이 있었지만, 그들은 진정한 의미에서 가족이 아니었고, 따라서 유르기스에게 강제된 책임은 없었다. 가축수용장의 비참한 노동환경을 견디며 짐승같이 '돈'만을 벌어야 할 이유가 없었던 것이다. 집과 공장을 떠난 유르기스는 아무것에도 구속되지 않고 이리저리 떠돌아 다니며 '자유'를 느낀다. 아내와 아이는 처참한 현실을 견디고 열심히 일하며 악착같이 돈을 벌어야 할 이유였지만, 그들이 사라지고 나자 돈벌이를 위해 자신을 죽여야 할 이유조차 함께 사라진 것이다.

 

<소금>의 주인공 선명우는 푸지게 눈이 쏟아지던 막내딸의 생일에 집을 나가 다시는 돌아오지 않는다. 후에 밝혀진 가출 당시의 상황은 자못 작위적이지만, 그의 가출에는 나름의 이유가 있었는데, 생물학적으로 결코 아버지가 될 수 없는 나도 그 이유에 자못 고개가 끄덕여진다. 어쨌든 그는 가족을 버린 것이 아니냐는 원망섞인 지탄 대신 충분히 그럴만 했다라고 수긍하는 것이다. 그는 자본주의 시스템 아래에서 평생 빨대와 깔대기 노릇을 하며 아내와 딸들을 위해 시종이 되어 그림자처럼 살았다. 한때 그에게도 꿈과 사랑이 있었던 시절도 있었지만, 그보다 먼저 가족으로서의 책임과 의무가 우선되었다. 선명우의 아버지는 그에게 아들로서의 책임으로 그를 옭아매었고, 그의 아내는 남편으로서, 아버지로서의 운명을 강요했다. 선명우는 바로 그것, 가족의 이름으로 져야하는 책임과 의무를 버리기로 한 것이다.

 

가출한 후 선명우는 떠돌이가 되었다. 주로 자동차에서 자고 자동차에서 먹었다. 네개의 바퀴는 어디든 그를 데려다 주었다. (223쪽)

 

가출한 후 선명우는 자유를 느낀다. 가족을 두고, 자식들을 두고 어떻게 그럴 수 있냐는 질책이 당연한 상황임에도 나는 가출한 후 떠돌이가 되었다는 이 한 문장에 가슴 속이 탁 트이는 것 같은 해방감을 느낀다. 자신의 삶에서 한 번도 주체적이지 못했다는 회한을 뇌까리는 선명우의 일생일대의 결단이 반가웠던 것이다. 그리고 어떤 면에서 보면 아버지의 울타리에서 부족함 없이 살던 그들의 가족이 '자립'이라는 것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니, 그건 그의 말대로 결과적으로 보면 나로 인해 그 애들도 인생의 새로운 찬스를 맞은 거(338쪽) 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편으론 책임과 의무를 벗어던진 선명우가 또다른 가족을 만든 것에서는 의문이 든다. 생물학적으로, 즉 핏줄로 이어진 가족이 아니기 때문에 강제되는 책임과 의무가 없다거나 또는 가볍다고 여긴 것일까. 책임과 의무가 없는 가족을 과연 가족이라 봐도 좋은 것일까. 그건 그냥 작은 생활 공동체에 지나지 않는 것은 아닐까. 언제 깨뜨려도 양심의 가책도 없고, 법적인 책임도 없는 흐지부지한 그런 관계. 자유는 있지만 결속력은 약한, 그래서 언제 깨질지 몰라 전전긍긍해야 하는. (선명우의 아내 역할을 하는 함열댁은 선명우가 자신들을 박차고 떠나갈까봐 불안한 모습이다)

 

가족이란 무엇일까. '피는 물보다 진하다',' 핏줄은 당기는 법'이라는 말로 표현되는 가족은 각 개인에게 희생을 강요한다. 부모이기 때문에 자식이기 때문에 강제되는 의무가 사랑의 탈을 쓴 희생으로 둔갑하는 것이다. 작가는 바로 이것에 대해 '아버지'를 통해 묻는다. 혹시 '가족애'는 체제가 굳건히 유지되기 위해 전파하는 이데올로기에 지나지 않는 것은 아닌가? 

때문에 선명우는 가족에게로 돌아가지 않는다. 가족을 위해 '빨대'노릇을 하며 '지겨워'를 연발하던 아버지의 자리 대신 한 사람의 인간 '선명우'로서 남은 삶을 살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다. 체제의 세뇌로 부터 벗어나 주체적인 한 인간이 되기로 결심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의 가출을 '책임에 대한 회피'라기 보다는 '용기'라고 추켜세우고 싶다. 그러나 선명우가 내 아버지, 내 남편이라도 그렇게 생각할 수 있을까? 책을 읽으며 가진 최대의 의문이다.

 

소설 속에서 작가로 등장하는 화자 역시 원치않았지만 결과적으로 아버지가 될 위기에 처하는 것으로 소설은 마무리 된다. 자식을 위해 그가 치사함을 견뎌내야 하는 것은 차치하고서, 어쨌거나 그는 아버지가 되는 것이다. 세상엔 두가지의 인간이 존재한다. 자식이거나, 혹은 부모이거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