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것이 산산이 부서지다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71
치누아 아체베 지음, 조규형 옮김 / 민음사 / 200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세기 말 영국의 침략으로 서서히 무너져가는 나이지리아의 작은 마을 우무오피아를 배경으로 하는 <모든 것이 산산이 부서지다>는 남자로서의 '명예'를 가장 중요시 하는 주인공 오콩고가 부족의 전통과 함께 무너져가는 과정을 그렸다.

 

오콩고의 아버지는 음악과 시를 사랑하고 전쟁을 싫어하는 사람이었다. 가족을 부양하고, 부를 쌓고, 전통을 고수하기 위한 살인도 마다하지 않는 것이 남자다움으로 치부되던 이보족에게 오콩고의 아버지는 유약하고 게으른 사람으로 여겨졌다. 그를 보고 자란 오콩고는 자신이 아버지의 아들인 것을 부끄러워했고, 무엇보다 그는 아버지와 다른 사람이 되고자 했다. 이로인해 의식적으로 공격적이고, 권위적인 사람이 된 오콩고는 청년시절에는 마을에서 가장 강한 씨름선수로 이름을 날렸고, 악착같은 노력으로 점차 부를 늘려갔으며, 전쟁시에는 앞장을 서는 등의 노력을 통해 진정한 남자에게만 하사되는 칭호를 받은 명예로운 사람이 되었다. 이처럼 남자다운 명예를 삶의 기준으로 삼은 오콩고는 자신이 나약하다고 여겨질 것을 두려워해 친아들 처럼 소중히 여겼던 소년 이케메푸나를 죽인다. 그러나 이케메푸나의 죽음은 후에 오콩고의 친아들 은워예가 오콩고와 마을의 전통을 떠나는 계기가 된다.

 

한편 오콩고는 여신의 뜻을 거슬러 마을에서 유기한 추방을 당한다. 오콩고가 마을을 떠난동안 우무오피아에는 교회가 세워지고, 영국정부가 들어서서 마을의 기초와 전통을 흔든다. 교회는 없는 사람으로 치부되던 부랑자를 비롯하여 부족에게 소외된 사람들에게 관용을 베풀고, 그들을 개종시키면서 세를 확장했다.  또한 영국여왕을 앞세운 정부는 새로운 법을 만들고 토착민들에게 그를 지킬 것을 강요한다.

7년후 우무오피아로 돌아온 오콩고는 마을사람들이 기독교로 무장한 영국의 침략을 묵인하는 것을 보고 충격을 받는다. 힘과 권위, 남자다운 명예를 소중히 하는 오콩고에게 그것은 부족이 나약해졌다는 증표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 개인일뿐인 오콩고가 바꿀 수 있는 것은 그 자신의 운명 이외에는 아무것도 없었다. 무섭게 들이치는 새로운 시류를 받아들일 수 없었던 강한 남자 오콩고는 부족의 운명과 함께 산산이 부서질 수 밖에 없는 것이다. 그러나 작가 아체베는 묻고있다. 정말 그 외의 다른 방법은 없었던 것이냐고. 우무오피아 마을에 온 초기의 선교사 브라운 씨 처럼 자신들과 다른 아프리카를 이해하고 포용할 수 있는 더 나은 방법은 정말 없었던 것이냐고.

 

아체베는 이 소설을 통해 유럽인의 쪽으로도 아프리카인 쪽으로도 치우치지 않은 공정한 시각을 보여주고자 했다. 그는 영국이 침략하기 전의 아프리카가 지상 낙원 이었다라거나, 아프리카 전통의 몰락이 영국 탓이라고 말하지 않는다. 우무오피아를 비롯한 나이지리아의 여러 부족이 몰락하게 된 것은 새로운 힘에 대한 마을 사람들의 협력이 없었다면 가능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오콩고나 오비에리카의 입을 통해 여러번 밝히고 있다. 그러나 여러 작은신들의 분노를 피하기 위한 야만적이고 잔혹한 아프리카의 주술적 행위가 문명인이라고 자처하는 백인들이 자신들의 신을 따르지 않으면 지옥불이 기다리고 있다 라고 협박하는 행위와 다른 것이 무엇이냐고 묻는다. 그 물음은 유럽의 문화건 아프리카의 문화건 서로 다른만큼 각각 존중받아야 마땅하지만, 그렇지 못했던 역사적 사건을 그리고 있는 것이다.  <파이 이야기>를 쓴 캐나다 작가 얀 마텔은 <각하 문학을 읽으십시오>에서 <모든 것이 산산이 부서지다>에 대해 '아프리카인과 유럽인의 만남이 불행한 방향으로 흘러간 이유는 어느 한쪽이 열등했기 때문이 아니라 둘 모두가 상대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탓'라고 했다. 서양에서 보는 아프리카에 익숙한 우리로서는 그의 말에 귀기울이지 않을 수 없다.

 

아체베의 다른 책 <신의 화살>와 마찬가지로 <모든 것이 산산이 부서지다> 역시 결혼식이나 장례식, 축제 등의 아프리가 전통문화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하고 있다. 우리로서는 이해할 수 없는 허식이나 주술행위가 많다라고 여겨지지만, 이방인의 눈에 보이는 우리의 전통문화 역시 다르지 않을 것이다. 서로 다름을 이해하고 포용하며 존중하는 것, 이것이 세계문학을 읽어야만 하는 근거이며, 아체베의 소설이 널리 읽혀져야 하는 이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