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의 화살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76
치누아 아체베 지음, 이소영 옮김 / 민음사 / 201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프리카 현대 문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치누아 아체베의 <신의 화살>은 <모든 것은 산산이 부서지다>와 <더 이상 평안은 없다>에 이은 '아체베의 아프리카 3부작' 중 마지막 작품이다.

<신의 화살>은 1920년대 영국의 식민지였던 나이지리아의 작은 마을 우무아로를 무대로 한다. 부족의 정신적 지도자인 우무아로의 대제사장 에제울루는 영국과 기독교라는 새로운 시류 속에 부족과 화합하지 못하고 반목과 분쟁을 거듭하다 결국 파국을 맞는다는 내용이다. 여기서 아체베는 우무아로를 무너뜨린 힘은 신문물과 기독교에 있는 것이 아니라, 우무아로 내부의 분열이라고 에제울루의 입을 통해 지적한다.

우리는 우리 것도 아닌 땅덩이를 놓고 피를 나눈 우리의 형제 옥페리를 상대로 싸움을 일으켰네. 그런데 자네는 그 문제에 개입했다고 백인을 비난하는군. 두 형제가 싸우면 이방인이 수확을 거두어들인다는 말도 들어보지 못했나?(233쪽)

 

소설의 제목인 '신의 화살'이 뜻하는 것은 우무아로를 비롯한 주변 여섯 마을의 신인 '울루'의 사제 에제울루를 상징한다. 에제울루는 자신을 울루 신의 화살에 걸린 화살로 비유하며, 자신이 행하는 모든 일이 바로 울루 신의 뜻이라고 주장한다. 신이 자신을 선택했다는 권위의식은 사제로 지내는 세월 동안 신의 대리인이 아닌 한 인간의 아집으로 이어진 것이다. 자신이 백인의 감옥에 갇혀있는 동안 쌓은 분노를 부족민들을 향해 터뜨린 것인데, 당장 굶주림 앞에 서게된 부족민들은 에제울루의 사제적 능력을 의심한다. 이처럼 대제사장으로서 에제울루의 권위가 땅에 떨어진 순간 기독교는 우무아로를 비롯한 이보 부족들에게 자신들을 구원할 새로운 종교로 떠오른다. 에제울루는 동족간의 분열이 침략을 노리는 영국에게 빌미가 된다는 것을 알았으면서도, 제사장으로서 부리는 만용이 새로운 종교가 그들의 땅에 뿌리를 내리는 계기가 될 것은 깨닫지 못했다.

그러나 어쨌든 에제울루가 신의 활대에 걸린 화살이라면 대제사장 에제울루의 몰락 역시 신이 계획한 일인 것이다. 어쩌면 아체베는 뭍 사람들의 존경을 받는 신의 대리인 조차도 사실은 한 사람에 불과하며, 사제가 신을 대신을 할 수 있는 존재는 아니라는 것을 에제울루를 통해 보여주고자 한 것은 아닐까. 에제울루의 몰락이 신의 이름을 들먹이며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는 오늘날의 일부 종교지도자들의 모습과 다르게 보이지 않는다. 그들의 오만 역시도 신의 주도하에 이뤄지는 일이라면, 신은 인간에게 겸손을 가르치기 위해 그의 화살을 파멸을 향해 쏘는 일을 멈추지 않을 것이다. 아니, 그랬으면 하는 바램이다.

 

그들의 신은 고집스럽고 야망에 찬 사제에 대항하는 부족민들과 한편이 되었다. 그러니까 개인은 아무리 훌륭하다 해도 부족민들보다 훌륭할 수 없으며 어느 누구도 부족민의 의견에 반하는 결정을 절대로 얻어 낼 수 없다는 조상들의 지혜를 확인시켜 주었다.(399쪽)

 

'식민지 수탈론'과 '식민지 근대화론' 어느 한쪽으로도 치우치지 않고 객관적인 태도로 아프리카 전통 사회가 서구문화에 동화되가는 과정을 담담하게 그려내는 작가로 갈채를 받는 아체베의 <신의 화살>은 아프리카의 낯선 문화와 전통을 다루고 있음에도 읽기에 어렵지 않다. 뿐만아니라 이름 조차도 낯선 이보 부족의 결혼, 농사, 상거래, 구전되어 전해 내려오는 속담이나 아프리카 전통 가요 등의 세시풍속 외에도 집에 찾아온 손님을 접대하는 방법, 부족민들의 회합시에 상대방의 말을 경청하는 자세, 마을을 찾아온 낯선이를 대하는 태도 등을 통해 겸손하고 지혜로운 아프리카의 전통을 이해 할 수 있었다. 잘 알지 못하는 아프리카에 대한 거리감 때문에 반갑지 않은 소설이었지만, 다 읽고난 후에는 오히려 낯선 것을 이해했다는 생각으로 충만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