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사랑일까 - 개정판
알랭 드 보통 지음, 공경희 옮김 / 은행나무 / 200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사랑일까>는 앨리스와 에릭이 사랑하고 고민하고 결국 헤어지게 되는 과정을 철학적으로 분석한 소설로, 이를테면 연애에 대한 다큐멘터리라고 보아도 좋겠다. 누구와 왜 어떻게 사랑에 빠지게 되는지, 사랑했던 두 사람은 무엇때문에 어떤과정을 거쳐 헤어지게 되는지를 두 남녀의 연대기적, 지역적, 심리적 분석을 통해 하나하나 설명하는 것이다. 그러기위해 수많은 철학과 이론을 들어 설명하고 있는데, 그것이 전혀 어렵지 않고 오히려 흥미진진한 것이 과연 세간의 평처럼 놀라우리만치 지적인 연예소설이라고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물질이 세상의 전부는 아니라 주장하고, 혼자만의 시간을 소중히 여기며 사랑은 실용적인 목적에 이용는 것을 참을 수 없어 하는 앨리스는 광고회사에서 잘나가는 커리어 우먼이다. 그녀는 얼핏 냉소주의자처럼 보이지만 그녀의 내면에는 거부당할 것에 대한 두려움이 있다. 거부에 대한 두려움은 거의 강박증에 가까울 지경으로, 예를들면 소수의 특권층에게 화제가 되고 있는 레스토랑에 드나드는 사람들을 아니꼬운 시선으로 바라보았지만, 막상 새로 사귄 애인이 그 레스토랑에 저녁식사를 예약 해두었다는 것을 알고나자 레스토랑에 대한 시선이 싹 바뀌는 식이였다. 내가 가질 수 없는 것이라면 애초부터 나와 맞지않다거나 내가 좋아하지 않아 무시한다는 식의 허세를 부려보지만 사실은 대상에게 거부당하지 않겠다는 끊임없는 갈망으로 몸부림치는 것이 앨리스인 것이다.

그런 앨리스는 어느날 파티에서 마음에 썩 드는 남자 에릭을 만나고, 그들은 첫눈에 서로에게 호감을 가지며 그 이후의 순서는 매우 도식적이다. 그러나 앨리스가 사랑하는 남자는 에릭이라는 사람 그 자체가 아니라, 자신의 머릿속에 이미 존재해 있던 매력있는 남자상을 에릭으로 부터 발견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앨리스에 대한 에릭의 사랑 또한 마찬가지지만, 어찌보면 누군가를 사랑한다는 것은 내가 만든 이상형에 대한 갈증을 채우는 것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어느 한 일면을 보고(대개는 외모겠지만) 반한 상대의 보이지 않는 면까지를 상상하고, 그에대해 사랑에 빠진다. 그러다 문득 상상했던 그 모습의 사람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되면 사랑은 삐걱거리게 되는 것이다.

 

앨리스가 지금 에릭을 사랑하는 것일 리가 없다면, 그녀는 아마 사랑을 사랑한 것이다. 이 동어 반복적인 묘한 감정은 무엇인가? 이것은 거울에 비친 사랑이다. 감정을 자아내는 애정의 대상보다는 감정적인 열정에서 더 많은 쾌감을 도출하는 것을 뜻한다. -74쪽

 

누군가 자신을 사랑한다면 그 이유가 어떻든 무슨 상관이냐고 묻는 남자 에릭과 자신이 어떤 상태에 있건 비록 아무것도 아닐 때일지라도 그저 자신이라는 이유만으로 변함없는 사랑의 맹세를 필요로 하는 여자 앨리스의 이별은 그들이 사랑에 빠지게 된 경위만큼이나 정해진 순서인 것이다. 

나로 말하자면 에릭의 생각에 가까운 편으로, 어떤 이유 때문에 사랑하게 되었더라도 결국에는 상대 그 자체를 사랑하는 것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세포들의 조합일 뿐이라는 우리는 매순간 다른 존재가 되며, 그렇더라도 매순간 '나'는 한결같은 존재임을 부인할 수 없다. 사랑하기 이전의 다소 침울한 모습도, 사랑에 빠져 세상 모든 것을 경이롭게 여기는 모습도 역시 '나'라는 것이다.

처지에 맞지 않아 아예 처음부터 자기 취향이 아니라고 손사레 치던 레스토랑을 그곳에서의 단 한번의 식사로 내 인생 최고의 레스토랑으로 여기게 된다고 해서 레스토랑을 가기 전과 후의 내가 달라지지는 않는 것이다. 구두 끈을 매는 모습이 매력적인 것도 '나'이며, 걸을 때 무게 중심을 뒤에 두어 신발이 뒤축부터 볼썽사납게 닳게 하는 것도 여전히 '나'라는 것이다. 그러니 구두끈을 매는 모습에 한 눈에 빠져 사랑하게 되었지만, 이후 구두 뒤축부터 닳게 하는 그의 걸음걸에는 혐오감을 갖는다해도 그 사랑이 잘못된 선택은 아니라는 것이다. '나'라는 존재는 처음부터 뭉뚱그려진 것이 아닌 한겹 한겹이 모인 결과물이기 때문이다. 그러니 우리가 사랑에 빠지게 되는 것과 그 후 사랑에서 빠져나오게 되는 것에 대한 연대기적이고, 지리적이며 또한 심리적인 그 모든 관점들의 해석이 어쩌면 전혀 무의미한 일일 수도 있겠다. 어떻든 사람은 정체되어서는 살 수 없는 유기체이고, 사랑 또한 움직이는 것이니까.

 

에릭과 결별 후 앨리스는 자신의 말에 귀를 기울이고, 자신이 아무것도 아닌 상태일 때 조차도 자신을 사랑해 줄것으로 여겨지는 필립과 새로운 사랑을 시작하는 것으로 이야기는 결말이 나지만, 이 역시도 에릭의 경우와 크게 다른 사랑은 되지 못할 것이라는 지레짐작을 해 본다. 결국 사랑은 내 머릿속의 이상형과 나누는 것이니까 말이다. 그러니 사랑을 사랑했다는 동어반복적인 묘한 감정을 사랑이라고 정의한다고 해서 크게 잘못 된 일은 아닐 것이란 생각이 든다.  따라서 이 책의 제목은 '우리는 사랑일까'이기 보다는 '우리는 사랑할까' 혹은 '우리가 사랑을 알까' 정도가 적당하지 않았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