멋진 신세계 문예출판사 세계문학 (문예 세계문학선) 2
올더스 헉슬리 지음, 이덕형 옮김 / 문예출판사 / 199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통이 없다. 슬픔도 없다. 늙음도, 추함도, 빈곤도, 병에 걸릴 위험도, 피로도, 하물며 가족도 없다. 따라서 모든 인간은 행복하다.(가족은 모든 인간 행복의 원천이며, 모든 불행의 근본이기도 하더라는 것이 지금까지 살아본 내 결론이다) 모든 인간은 병 속에서 태어나며 태어나기 이전에 계급이 정해진다. 또한 주어진 계급에 맞게 규격화된 정서를 주입받고, 수시로 '소마'라는 약물을 통해 정서를 조절한다. 이들은 계급을 거스르는 감정은 미처 느낄 필요도 이유도 없는 상태로 태어나 계급에 맞게 종사하다 죽는 것이다. 그들에겐 죽음도 슬픔이 아니다. 오히려 사회에 필요한 '인'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 죽음이다. 때문에 죽음조차도 고통이나 두려움이 아닌 것이다. 이곳은 진정한 유토피아, 인간이 꿈꾸는 가장 멋진 이상향이다. 올더스 헉슬리가 그린 '멋진 신세계'야 말로 진정한 이상향이 아닌가. 그야말로 현실의 세계는 고통과 슬픔, 빈곤과 질병, 인간적 가치의 훼손으로 온통 불구덩이 지옥같은 풍경이니까 말이다.

어차피 태어나기 이전부터 존재가치가 결정되는 것이라면, 그에 대한 불만을 느낄 어떠한 여지도 없는 상태가 오히려 인간에 대해 제대로 존중되는 사회라고 보아야 하는 것이 아닐까? 모두 같은 인간으로 태어나지만, 그 가치는 보이지 않는 계급으로 나뉘고 한 단계라도 높은 곳으로 오르기 위한 암암리의 투쟁이 판치는 것이 현세가 아닌가 말이다.

 

상층계급으로 태어났지만 어떤 실수에 의한 것인지 하층계급의 열등한 육체를 가진 버나드 마르크스와 지적으로도 육체적으로도 완벽한 상층계급의 헬름홀츠 왓슨이 자유의지를 가진 이상향에 대한 반역자로 드러나고, 거기에 야만국에서 온 야만인이 그들의 반역을 가속화시키다 붙잡혔을 때, 총통 무스타파 몬드는 말한다. 구분의 팔은 물 밑에 있고, 구분의 일은 물 위에 있는 빙산과 같은 형태가 최적의 인구라고.

구분의 팔은 물 밑에, 구분의 일은 물 위에... 이러한 사회적 계급의 모습은 오늘날의 모습이 아닌가. 이상향이든 현세든 이러한 상태를 벗어날 수 없는 것이라면, 차라리 올더스 헉슬리의 이상향처럼 물 밑에 존재하는 이들이 그들의 신분에 대해 어떠한 불만도 느끼지 않는 상태가 오히려 인간 가치를 훼손하지 않는 사회가 아닌가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책을 옮긴 이덕형 교수는 과학기술의 진보, 기계문명의 발달이 전체주의 사상과 밀착된 유대를 가질 때 어떠한 인간적 비극과 노예화가 초래될 것인가 하는 점에 이 작품의 의의가 있는 것이라고 말한다.

 

조지 오웰의 <1984>를 읽고서는 폭력앞에 인간성 따위는 있을 수 없다라고 생각했는데, 올더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를 읽고서는 무엇이 인간성이라는 것인지에 생각해 보게 된다. 고통을 느끼는 상태,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는 상태가 인간의 가치를 존중하는 상태인지 의심스러워진 것이다. 자유의지로 선택할 수 있는 폭이 넓지 않을 때, 차차리 선택하려는 의지조차도 없는 것이  오히려 인간 가치를 위배하지 않는 상태가 아닌가 하는 위험한 생각을 하게 된 것이다. 노예일지라도 고통을 느끼지 않는다면.... 그것으로 된 것이 아닌가 하는...

오, 그러나 이것은 인간의 자유정신에 위배되는, 노예상태를 동경한다고 고백하는 것과 같은 위험하고도 치졸한 상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