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녀의 연쇄 독서 - 꼬리에 꼬리를 무는 책들의 연쇄
김이경 지음 / 후마니타스 / 2012년 7월
평점 :
절판


김이경.  눈에 몹시 익숙한 이름이다. <순례자의 책>, <이것은 옛날이야기>, <마녀의 독서처방>...

내가 읽은 책은 없다. 그러다 발견한 책, <인사동 가는 길>.

몇년 전 인사동 나들이길에 아이들에게 사주었던 그림책이다.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인사동이 곱게 그려진 그림책이 너무 예뻐서 정작 아이들보다는 내가 좋아했던 그림책이다.

<마녀의 연쇄 독서>가 책을 소개하는 책이라는 것 외에도, 이 김이경이 바로 그 김이경이라는 것이 이 책을 선택한 큰 이유가 되었다. 그다지도 예쁜 책을 쓴 이를 따라서 책을 읽는 것은 꽤 기쁜 일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꽤 기쁜 일이 될 것이라는 나의 짐작은 틀리지않았다. 연쇄독서가 무엇보다 인문서 중심이었다는 것과, 그녀의 서평이 자신의 '앎'을 자랑하기 위한 글이 아니라는 것이 좋았다. 책 앞에 그녀가 얼만큼 겸손한 마음이었는지, 나는 그냥 느낄수가 있다.

 

내가 미처 모르는 그 인연들 덕분에 이 아슬아슬한 세상에서 나는 태연히 책을 읽고 무사히 살고 있습니다. 부끄럽고 미안하고 고맙습니다. 책에서 읽은 모든 것을 잊어도 이 고마움은 잊지 않겠습니다. 모두 고맙습니다.(에필로그 중)

 

책을 읽다보면, 책이 책을 낳는 상황은 쉽다. 책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라도 연쇄독서를 하고 있을 것이다. 읽다보면 읽고싶어지는 책은 무한히 생기기 마련이니까. 작가에 의해 촉발되는 연쇄독서, 책 속에서 만난 책을 찾아가는 연쇄독서, 키워드를 따라가는 연쇄독서.. 꼬리에 꼬리를 무는 책들은 미처 읽지못해 쌓이고 금새 무더기가 되어 나를 압박하기도 한다. 그래도 끝을 모르는 내 책 욕심이여.

이 책에서 김이경은 자신의 느낌을 따라간다. 그 느낌은 자의라기 보다는 책이 주는 느낌, 책이 지시하는 책을 따라가는 것이다. 그리고 나는 김이경을 따라 책사냥의 길을 나섰다.

 

지난주말, 봉사를 해보겠다고 찾았던 노인 요양원에서 세시간만에 튀어나오며 '나는 그저 입만 산 책상물림일 수 밖에 없구나' 생각했다. 죽음을 앞둔 치매 노인들의 말간 눈동자를 차마 마주보지 못하고, 뼈만 남은 노인의 애먼 다리만 세시간을 문지르다 '나는 할 수 없다'라고 두손 두발 다 드는 내 자신이 몹시 한심했다. 

함께 사는 세상, 서로 돕는 세상, 봉사, 복지.. 경험이나 몸소 체험하기 보다는 책 속에서 배우고 익히며 학습한 것이기에, 실존하며 나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노인 앞에서는 눈물로 앞을 제대로 보지 못하는 촌스러운 상황을 연출하고 만 것이다.

책을 읽는 것도 그렇다는 생각이 든 요즘이었다. 습관처럼 늘 책을 읽지만, 실제로 내가 변화되고 있는 것을 눈앞의 현실로 체감하기가 쉽지 않다. 통찰력을 키우고, 스스로 발전하기 위한 독서보다는 재미있고, 쉽게 읽히는 책들을 은연중에 찾고 있는 요즘의 나는 별로 달라지는 것이 없는 것 같은 내 모습에 서서히 지쳐가고 있는 중이었는지도 모르겠다.

또한 아무리 책을 읽고 새롭게 내가 변화된다 해도 세상은 결코 바뀌지 않으리라는 절망이 책을 읽을수록 더 커져가는 것만 같기도 했다. 이런 나에게 '세상은 변하지 않는다며 스스로의 나태와 비겁을 합리화해 온 지난 시간이 미안해서 울고, 이제라도 그것이 잘못임을 배운 것이 기뻐서 행복합니다. 선은 무력하고 정의는 속절없으며 언제나 권력이 이긴다고 믿었는데, 그래서 참 재미가 없었는데, 이 책을 읽고 그렇지 않다는 걸 알았습니다. 그래서 재미있고 행복합니다.(227 쪽)'는 김이경의 고백은 정신이 번쩍 들 만큼 짜릿하다.

 

'어둡다고 불평하기 보다 작은 촛불 하나라도 밝히는 것이 낫다'라고 한 것이 공자인지 마더 테레사인지 나는 정확히 알지 못하지만, 이 책을 표현하는 가장 적당한 말이라 생각한다.  눈 앞에서 마술처럼 번쩍하고 바뀌는 세상따윈 애초에 어디에도 없다. 자기 자리에서 할 수 있는 만큼 최선을 다하며, 틈틈히 책을 읽고, 늘 생각하고, 읽은만큼 행동하려 노력하고, 안된다고 절망하며 주춤거리다가 다시 한번 내딛는 발자국으로 세상이 변화되는 것이 아닐까.

김이경의 서평집을 읽고 지난주말 맛보았던 절망이 희망으로 바뀌는, 팔뚝 근육에 불뚝 힘이 솟는 느낌이 들었다.

은근히 내게로 젖어든 책들은 나를 흔들고, 내 주위를 흔들고, 언젠가는 세상이 흔들리기를 소망한다.

후마니타스, 고마워요. 이런 좋은 책을 망설임없이 출판해 주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