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네르바의 생존경제학 - 경제를 바라보는 새로운 패러다임
미네르바 박대성 지음 / 미르북스 / 2009년 11월
평점 :
절판


작년 이맘때다. 갑자기 이사 결정을 하고 덜컥 집이 나가버렸다. 작년 이맘때 부동산 거래가 얼마나 얼어붙었는지 알만한 사람은 다 알것이다. 그런데 나는 정작 몰랐다. 계획성도 없고, 경제관념 조차 없던 나는 당장 이사갈 집을 찾아 찬바람 속을 헤메게 되었다. 그 와중에 동생은 아고라의 경제대통령 미네르바를 들먹이며 거의 울부짖듯이 계약금을 날리라고 전화로 메일로 닥달을 해대었다.
그리고 1년간 많은 일이 있었다. 개인적인 변화도 그랬지만 경제대통령 미네르바에게도 큰 변화였으리라.
나 개인적으로는 계획성없고, 경제관념까지 없다는 것은 거의 생존력을 포기한 것이나 마찬가지란 것을 알게 된 것이 가장 큰 변화였다면 변화일까.

역시나 경제 이야기는 쉽지 않다. 뭐가 뭔지 알아보기 힘든 경제지표에, 경제용어, 도저히 이해가 가지 않는 경제 시스템... 그래도 포기할 수는 없다.
해고가 사회적 사형선고나 다름없고, 최저생계비를 낮게 잡아 사회복지 예산을 깎아 대규모토목건설 사업에 충당하며, 체감 물가 상승률은 임금상승률을 뛰어넘는 현재의 불합리한 경제체제에서 살아 남는 법은 더 열심히 일하고 저축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공부하고 스스로 판단할 줄 아는 경제적 사고를 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어렵지만 한장 한장 읽어나가면서 정부 발표와 소비자 체험물가가 왜 다른지, 집값은 앞으로 어떤의미가 있는 것인지, 펀드를 그냥 저렇게 퍼질러 놓아야 하는지, 보험과 연금은 믿고 있어도 되는 것인지에 대해 정말 진지하게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는 책읽기 였다.

개인적인 생각을 덧붙히자면, 기업이 잘되고 부자가 잘 살아야 우리 모두가 잘 살게 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 정부는 기업이 잘되고, 부자가 잘 살면 그밖의 다른 이들에게도 콩가루라도 떨어지지 않겠느냔 주장을 펴고 있다. 그러나 그것은 진실이 아니다. 하나하나의 개인들이 희생해서 잘 살게 되는 것은 소수의 ’그들’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