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 사는 행복한 정치 더불어 시리즈 1
서해경.이소영 지음, 김원희 그림 / 청어람주니어 / 200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치와 무관하게 살아왔다. 정치란 나와는 정말 상관없는 일, 나 쯤이야  아무생각 없어도 정치하는 사람들이 알아서 할 일, 나 하나 관심갖는다고 달라질것도 없는 것이 정치란 생각으로 살아왔다. 때로는 정치하는 인간들 지긋지긋하다는 푸념도 함께 섞으며.. 남에게 피해주지 않고 내 생활 충실히 하면 그걸로 훌륭한 국민이겠거니 하는 생각으로 살아왔다.
나에게 있어 정치란 그저 사회시간에 달달 외워야 하는 주입식 교육 이상도 이하도 아닌거 였다. 

사람은 관계의 동물이다. 그래서 人間이다. 관계 속에서 각자 다른 의견을 갖고 만나 타협하고 조율하는 정치적인 동물이 바로 人間이다. 다만 그것이 얼마나 합리적인 것이냐 하는 것은 우위를 소수의 권력을 쥔 자에게 둘 것이냐, 일반 대중에게 둘 것이냐의 차이일 것이다. 합리적이라는 것은 어떻게 생각하면 참으로 이기적이다. 이익을 얻고자 하는 측면에서 보면 손해보는 행위는 비합리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정치권력을 쥔 자가 자신이 속한 소수의 이익집단을 위해 하는 행동을 합리적인 행위라고 생각할 수 있을까.

권력은 부패하기 쉬운 속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견제와 감시가 늘 필요하다. 그런데 나처럼 정치는 나몰라라 하는 국민이 많다면 권력을 쥔 자는 더더욱 부패하기 쉬워질 것이다. 국민이 정치와는 딴세상에 살듯 무지하고 무관심할 때, 권력과 언론이 결탁하고 국민을 속여온 일은 우리의 역사 속에서도 겪어온 일이다. 정치에 대한 관심은 어느날 뚝딱 생겨나는 것은 아니다. 살기 바빠서, 정치인들이 알아서 잘 할테니, 진창 속 같은 정치판 일은 나같은 고고한 인품이 나설일이 아니므로... 하는 생각들은 어쩌면 어린시절부터 우리가 정치에 대해 제대로 교육받지 못했기 때문일 것이다.

우리 아이들이 살아갈 세상은 달랐으면 한다. 이미 많은 부분에서 달라지고 있다. 권력은 정치인들에게 있는 것이 아니라 ’시민’에게 있다라는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시민운동이 대안이 될 것이라는 얘기다. 그렇다면 아이들이 받는 교육부터 달라야 한다. 무조건 암기하는 주입식 교육대신 이해하고 체화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더불어 사는 행복한 정치’는 잘 구성되어 있다. 근대에 일어난 실제 사건들과 전래동화, 그리고 아이들의 늘 겪는 학교생활을 예로 들어,  정치가 먼 이야기가 아닌 생활 속의 이야기 임을 재미있게 느끼게 한다.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자연스럽게 정치는 내 삶과 긴밀히 연결되어 있으며, 내 모든 삶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게 된다.

세상은 아는 만큼 보인다. 정치도 아는만큼 참여할 수 있다. 참여하면 행복해 질 수 있다.
정치는 일부 특정인의 특권이 아니다. 우리모두의 일상이다. 아이들이 ’더불어 사는 행복한 정치’를 통해 바른 정치, 모두에게 합리적인 정치를 배우기를 바란다. '더불어 사는 행복한 대한민국 만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