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 역시 친구가 중요하다. 그것도 아주 오래 묵은. 술 안 먹고 맨정신으로 앉아서도 어색하지 않게 계속 얘기할 수 있고, 술 먹고 정신없이 떠들다가 아예 정신을 놔도 걱정없는 그런 친구.  

 김연수의 약간의(라고 쓰고 아주라고 읽는다) 칙칙함과 김중혁의 약간의 잘난척에 왠지 거부감을 느껴 온 게 사실이지만, 이렇게 친구간에 주고 받는 대꾸질을 읽다 보니, 잠깐 그들의 술자리에 동석하는 게 즐거울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만 그래도 역시 그들의 술자리에는 끼지 않는 게 좋겠다는 게 결론. 나까지 괜히 말이 많아질 것 같으니...

어쨌거나 그들이 1년간 살펴 본 수많은 영화들은 기억나지 않지만, 그들의 설렁설렁 넘어가는 익살이 가끔 안겨준 미소 만큼은 가끔 생각날 듯 하다. 응? 왜? 

김중혁이 느낀 '타인의 불행이 주는 위로'에 대한 공감은 다른 분이 친절하게도 기사로 써 주셨으니 링크로 대신하고,  나도 '오스카 와오의 짧고 놀라운 삶'을 봤는데 기억나지 않는 '따끈따끈한 최신 꼴통 제품에 구미가 당기지 않을때, 그건 바로 철 들 때가 되었다는 뜻이다'라는 문장을 다시 읽게 해 줬고, 김연수가 소개한 '걸어도 걸어도'는 비록 아직 보지 못했으나 이시다 아유미의 '블루 라이트 요코하마'를 알게 됐으니 그건 땡큐. 그러니 오늘의 '옛날 노래를 듣다' 차지는 당연히 ...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라로 2010-08-26 02: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김연수 왠지 안땡겨서 책 사놓고 읽지도 않았는데 함 들춰볼까?싶게 만드시네요,,^^;;
아유미의 블루 라이트 요코하마는 따라부르기 그리 어렵진 않겠지만 아유미가 부르는거처럼 사랑스럽겐 부르지못할것 같아요,,ㅎㅎㅎ

hanci 2010-08-26 22: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단둘이 만나면 어색한데 셋이 만나면 그 어색함이 상쇄되는 것과 비슷한 거 아닐까요? 읽다 보면 그들의 수다에 함께 하고픈 충동이 일어납니다. ^^
'블루라이트 요코하마'는 68년 노래인데 이시다 아유미의 퍼포먼스는 지금의 아이돌과 비교해도 전혀 손색이 없습니다. 노래부르는 중간에 가사에 맞춰 무릎을 살짝 꺾는 장면에서, 이 노래가 히트하지 않으면 무슨 노래가 히트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을 했다지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