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은 먹는 게 아니에요! 네버랜드 아기 그림책 112
이안 쇤헤르 글.그림 / 시공주니어 / 2010년 6월
평점 :
품절


내가 어릴땐 책이 정말 귀했다. 책을 많이 사줄 형편도 아니었고 그때는 책읽기의 중요성
이 지금처럼 부각될때도 아니었다.난 대부분 학교에서 책을 빌려봤다.대출수첩에 한칸한
칸 채우는 재미를 쏠쏠하게 느끼며 말이다. 그렇게 책을 읽었기에 굉장히 소중히 다루었
던 기억이 난다. 지금도 물론 책에 낙서도 하지 않고 접지 않고 필요하면 책갈피를 사용
하고 메모가 필요하면 따로 메모지를 붙였다. 절대 책을 베고 자지도 않았다.하지만 요즘
책들은 많은 용도(?)로 사용되는 듯 하다.유아프로그램을 보면 책으로 기차길도 만들고 
책을 세워 집도 만들고 책 쌓기 놀이도 하고 그만큼 책이란 존재가 접하기 쉬운 존재가 
된듯하다.책읽기의 유용함이 강조되면서 요즘 아이들 책없이는 상상할수 없는 하루하루
의 연속인듯하다.아이들이 뱃속에 있을때부터 엄마 아빠의 목소리로 책을 읽어주고 어린
아이들도 쉽고 재밌게 안전하게 즐길수 있도록 헝겊책 팝업북 등 책의 종류도 많아지고
있다. 우리집 아이도 마찬가지다. 글자를 알고 나서부터야 책을 정식으로 읽기 시작했지
그전엔 완전 놀잇감으로 알았다.방바닥에 쭈욱 미끄러지게 하면서 스케이트라고 하질 
않나 책을 쭈욱 늘어놓고 징검다리라고 하면 밟고 다니기도 한다. 그럴때면 심장이 쿵.. 
내려앉는듯하다. 나 어릴땐 안그랬는데..하면서 말이다. 한글을 떼고 요즘 유치원에 다니
면서 좋아하는 책은 유치원에 가져가기도 한다.친구들과 같이 본다고. 헌데 그렇게 가져
간책은 멀쩡히 살아돌아오지를 못한다 ㅠ.ㅠ 몇장은 기본으로 찢어져 있고 어느 페이지
는자취를 감추기도 하고. 그 친구들을 일일이 쫓아다니며 그러지 말라고 할수 없고 친구
들과 본다고 가져가는 아이를 말릴수도 없고 속상할때도 가끔있다. 
<책은 먹는게 아니예요 - 보는거예요>이 책을 보니 딱 우리 아이와 친구들에게 보여주
고 싶은 책이다. 글밥도 많지 않고 왼쪽은 글씨 오른쪽은 그림으로 간결하게 표현되어
있어 아이들이 딱딱하게 느끼지 않고 쉽게 공감할수 있는 내용이다. 

     

다. 글밥도 많지 않고 왼쪽은 글씨 오른쪽은 그림으로 간결하게 표현하고 있어 아이들
이 딱딱하게 느끼지 않고 쉽게 공감할수 있는 내용이다. 그 림또한 친근한 동물들을 
주인공으로 익살스런 표정 사실적인 동작들로 아이에게 많은 공감을 이끌어내는거 
같다. <입에 넣지 마세요. 눈으로 보세요> <친구랑 읽을때는 조용히>등 실생활에서 책
읽을때 주의하고 조심할점을 큰글씨로 나타내고 있다. 특히나 <음식을 나를때는 쓰지
마세요.책은 읽는 거니까요.> 요 부분에선 아이와 함께 빵 터져버렸다. 가끔 내가 하는
모습이기 때문에.. 부끄러워 혼났다. 책을 보며 아이또한 많은 공감을 하고 고개를 끄
덕거렸다. "엄마 이렇게 하면 안되지~~" 안되는 걸 알면서 엄마인 나도 아이도 책에 
나오는 행동을 많이 했던거 같다.책 마무리 부분에 <다 읽은 책은 친구에게도 빌려주
어요>라는 말을 읽고 아이의 반응이 바로 튀어나왔다. "엄마 오늘 다 봤으니까 내일 이
책 가져갈래요. 친구들과 같이 보게요." "ok!! 엄마 접수했다~~ 가르쳐주지 않아도 아이
스스로 깨닫게 되니 그보다 좋은일이 어디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