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타트업 설계자 - 한 시간 만에 100만 달러 매출 ‘제프 워커 신드롬’의 시작 ㅣ 스타트업의 과학 5
제프 워커 지음, 김원호 옮김 / 윌북 / 2025년 5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자유롭게 작성한 글입니다)
Production Launch Formula, PLF.
#제프워커 의 #스타트업설계자 (#윌북 출판)에서 알려주는 강력하면서도 심플한 인터넷 마케팅 방법이다.
⠀
인터넷만 끊기지않고 있는 환경이라면 어떤 나라에서라도 통할 것이라고 여겨지는 PLF는 이름만 몰랐을 뿐 우리의 삶에 이미 어마어마하게 녹아들어있다.
⠀
지금당장 메일함이나 메시지함을 열어보면 PLF가 적용된 광고가 수두룩하게 도착해있다.
⠀
스팸메일 아니야? 할 수도 있지만
제대로 된 PLF는 스팸메일이 아니다.
메일을 열게하고 상품에 호기심을 가지게 하는 것.
그것이 진정한 PLF이고 <스타트업 설계자>가 우리에게 알려주고 하는 내용이다.
⠀
곧 어떤 상품을 정식 런칭할 예정인데 귀한분들에게 먼저 런칭정보를 알려주고 이 메시지를 받은 사람들만 알수있는 선공개기간(프리런칭, 오픈카트데이)에 특별한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다고, 그 뒤 (클로즈카트데이)정식 런칭일에는 정상가격(높은가격)으로 구입하여야 한다고 캘린더에 당장 일정을 추가하라고.
⠀
익숙하지 않은가?
이것이 PLF의 주요개념인 ‘프리런칭’이다.
사전 마케팅의 개념인 프리런칭은 몇 주, 몇 개월 전에 고객에게 제품 런칭일을 미리 고지하여서 제품에 대한 기대감과 중요하게 여겨지는 VIP라는 한정성에서 오는 만족감으로 고객과의 신뢰감을 구축한다.
⠀
지갑을 열어 당장 제품을 구매하라 같은 직접적인 구매 메시지는 넣지않고 고객 스스로가 구매의사를 늘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포인트이다.
⠀
그리고 프리런칭의 마지막에는 구매의사에 불을 지피는 ‘희소성’을 강조해야한다. 한정수량이든, 압도적인 가격차이든 ‘압도적인 판매조건’과 ‘희소성’을 적절히 섞어 활용해야한다.
⠀
그렇게 스스로를 소수라, 특별하다고 믿는 고객들의 피드백을 소통하며 개선해나가며 런칭을 두번 세번 하다보면 다음 런칭을 기다리는 충실한 고객들(팬 같은)이 생겨나고 사업은 탄탄대로로 올라간다.
이러한 내용도 ´PLF 이후의 삶‘이라는 챕터에 수록되어 있다.
계속해서 사업을 이끌어 갈 수 있는 팁도 담겨있으니 이토록 친절하고 세밀하고 효과만점인 마케팅서적은 없을 것이다.
⠀
<스타트업 설계자>에는 이 ‘압도적인 판매조건’과 ‘희소성’에서 적절함을 만들어내는 방법이 친절하게 적혀져있다.
⠀
쉬운 개념인 만큼 이해하는데에 많은 노력이 필요하지않다.
하지만 무언가를 들어는 봤는데(이 상태를 ‘알고있다’라고 가정하면)나중에 이게 그거였어? 같은 상태의 정보 또는 지식이 허다하지 않은가(이것을 지식이라 부를 수 있을까 의문이다.)
⠀
우리도 얼추 들어봤던 ‘프리런칭’의 방식을 우리가 써먹을만큼 정확히는 알지 못했던 것이다.
<스타트업 설계자>를 읽으면 20여년동안 수많은 사람들에게 성과로 증명된 PLF를 이용할 수 있을만큼 정리해서 머리에 세길 수 있다.
⠀
런칭한지 53분만에 100만달러의 수익을 올리고, 전업주부 (속칭 미스터맘)였던 사람이 어떻게 일주일만에 수억의 매출을 올릴 수 있었는지 사례들을 들어가며 개념들을 알려주기 때문에 기존의 딱딱한 마케팅 책과는 비교도 되지않을 정도로 몰입해서 쉽게 읽을 수 있는 것도 큰 장점이다.
⠀
인터넷을 이용하는 PLF는 초기자본이 거의 들지않는 것도 장점이다. 보통 사업을 해보려고 마음먹고 알아보더라도 초기자본이 적게는 몇천 크게는 억단위가 필요한 것을 보고 겁이 나서(당연하다 가진돈도, 심지어 빚을 내서 해야하는데 당연히 겁이 난다)시도하지 못하고, 돈이 없어 하고자 했던 것을 하지 못했다는 생각에 일상의 삶도 더 만족스럽지 못하게 될 수도 있다.
⠀
이미 큰 금액을 들여 만들어놓거나 대량으로 사놓은 상품들이 판매되지 않아 창고에 적재되어있는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상품을 준비하는데 든 비용에 상품을 보관하는 창고대여비까지 계속 돈이 나가고있는데 더이상의 지출은 힘들다.
⠀
그럴때 PLF가 큰 힘이 되어줄 것이다.
⠀
<스타트업 설계자>의 원제가 <Launch>시작이다.
⠀
시작을 앞두고있는 모든 스타터Starter에게 이 책을 바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