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뭐라도 되겠지 - 호기심과 편애로 만드는 특별한 세상
김중혁 지음 / 마음산책 / 2011년 10월
평점 :
-'재능'이란,(천재가 아닌 다음에야) 누군가의 짐짝이 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과 나에
대한 배려 없이
무작정 흐르는 시간을 견디는 법을 배운 다음에 생겨나는 것 같다.
그래, 버티다 보면 재능도 생기고, 뭐라도 되겠지.
12월에서 1월로 넘어가면 기분이 정리 - 시작이란 과정을 꼭 거쳐야 할 것 같다.
1월이 되면 새로운 마음가짐으로 시작하며 혼자 어떤 일에든 의미를 부여한달까. 1월을 시작하며 책을 고르는데 이 책의 제목이 눈에
들어왔다. <뭐라도 되겠지>
새해의 계획을 세우며 꼭 지켜야지 했던 작심삼일들도 나이들면서 이젠 지키지 않을껄
뻔히 아니까 에이~ 될대로 되라고 하는 내마음을 들킨것 같다.
그래 올해도 어찌 살다보면 뭐라도 되겠지.
-우리가 어린 시절을 그리워하는 것은 그
시절에 발견했던 온전한 기쁨을 그리워하는 것이다. 어른이 된다는 것은
무료한 일이다. 어린 시절에 온전한 기쁨을
충전해두지 않는다면 길고 긴 어른으로서의 시간을 버티기가 쉽지 않다.
김중혁작가님의 <대책없이 해피엔딩>책을 보며 그분의 글빨에 어찌나 쿡쿡거리며 웃음을 참지 못했는지 <대책없이
해피엔딩>이 영화에 대해 김연수작가와 김중혁작가가 릴레이로 평을 써놓은 책이였는데 이젠 영화에 대해 읽었던 부분은 하나도 생각나지 않고
단지 아~ 그 두분 수다 정말 웃겼어~ 이것만 생각난다. 하하;;
그래서 이 책이 출간됐을때도 구입을 전혀 망설이지 않았다. 김중혁작가님의 책이라는 믿음이 있으니까.
김중혁작가님을 수식하는 호칭이 문단의 호모 루덴스’ ‘멀티플레이어’ ‘인간 호기심 천국’라고 한다. 산문집이라 페이지가 술술 넘어가지만
페이지를 넘기다가도 가만히 생각해 보게한다. 그도 작가가 되기전엔 암울한 청춘을 보냈고 노력해, 괜찮아라고 하는 말보단 급변하게 변하는
세상속에서 나마저 급하게 살아가지 않아도 된다고 시속 100km로 달리는 차에선 바깥풍경을 오히려 제대로 볼수 없으니 우리는 그저 성실히
하루하루 걸어가면 된다고 말해주는 작가의 말들이 우리의 청춘들에게 더 많이 위로가 됐다.
그래 세상 까짓거 뭐있어? 실패해도 괜찮아 뭐라도 되겠지.
새해 첫책 올해의 시작이 이 책으로 좋은 출발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