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과 혀 - 제7회 혼불문학상 수상작
권정현 지음 / 다산책방 / 201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평에 앞서 제7회 혼불문학상 수상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혼불문학상심사위원회는칼과 혀에 대한 심사평에서 " 중국인 요리사 첸과 관동군 사령관 모리, 조선 여인 길순, 세 사람의 시점으로 일제의 군국주의를 비판하는 형식을 취하면서 내적으론 미의 본질, 나아가서는 인간의 본질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있는, 가벼우면서도 무거운 수작"이라고 평가했다.

 

작품에 대한 취재도 능력의 하나이지만 그 모든 것들을 주제에서 벗어나지 않게 적절히 버무리고, 그 작업과정에서 진정성을 놓치지 않는 것은 거의 천부적 자질이 없이는 불가능한 부분이다.” “만주라는 붉은 땅에서 역사의 현재를 짚어내는 권정현 작가의 예리하고 섬세한 눈은 한중일 민중 사이의 소통 가능성을 은밀하게, 그러나 위대하게 제시한다. 한국소설사에서 한중일 역사적 대립과 갈등을 넘어 세 나라 간의 공존가능성을 타진한, 그리고 그것을 높은 예술적 경지로 끌어올린 경우는 그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거니와, 그런 점에서 보자면 칼과 혀는 이전에는 보기 힘들었던 도발적이고 혁신적인 소설임에 틀림없다. 좀 더 과감하게 말하면 지구가 하나의 공동체가 된 이 지구시대에 걸맞은 소설적 모험이며 동시에 한국소설 전반이 드디어 지구시대라는 새로운 영토에 들어섰음을 알려주는 표지다.”(심사평 중에서)

 

3() 3() 3() 3()

배부른 짐승은 먹이가 자신의 주변에 돌아 다녀도 쳐다보지도 않는다.”

 

1945년 일제 패망 직전의 붉은 땅 만주를 배경으로 전쟁을 두려워하는 일본 관동군 사령관 모리와 그를 암살하려는 중국인 요리사 첸, 조선인 여인 길순 세 명이 번갈아가며 이야기를 들려주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칼과 혀의 중심에 있는 모리[야마다 오토조 (山田乙三)]는 광동군 사령관 실제 인물을 묘사했지만 그는 단 한번 직접적으로 전투 병력을 지휘하여 전쟁을 경험하지 못한 참모급이 광동군 사령관으로 부임한 것은 우리가 알고 있는 731부대는 오히려 전쟁지휘 보다도 점령지에 대한 그들이 필요로 한 인물은 전투병도 전투지휘관도 아닌 그들의 비밀생체실험을 추진할 수 있는 인물이라서 일까? 누구는 얘기한다. 전투경험도 용기도 없는 사람이라서 소련군에 투항했다는 혹 자는 얘길 한다. 나는 아리라고 본다. 작가의 의도는 모르겠지만 그런 모리라는 인물을 선정했을지 모른다.

전쟁 중 점령지의 자경단에게 요리로 목숨을 갖고 장난질?

이해가 된다. 작가의 의도는 몰라도 내가 아는 관동군의 만행으로 봐선.......

 

한중일 그들이 처해진 환경 속에 한명은 파리 목숨을 너무 많이 지휘하고 한명은 그 목숨을 결정하는 사람을 죽이려 하고 또 한명은 망국을 떠나 한명을 죽이려는 한명의 부인으로 그리고 그 목숨이라는 것을 결정 하는 한명이 반해 자신의 황궁에 데리고 있는 설정 속에 이야기.

 

죽이려는 자와 죽을 사람의 칼과 그들의 허기를 달래줄 한 끼 음식으로 이야기를 만들어 간다.

칼과 혀, 이 짧은 두 글자 속에 모든 이야기가 담겨진 것 같지만 칼과 혀 사이에 특별함이 묻어 있다. 그 특별함은 독자의 몫이다.

 

특이한 것은 그 중심 속 조선인은 중국인의 부인으로 그것도 광동사령관이 첫눈에 반한 여인으로, 왜일까?

 

그들의 공존은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 의문스럽지만 두 남자에게 한 여인이라는 공통된 분모라고 생각한다.

 

가볍게 생각하면 어려울 것 같고 어려울 것 같으면서도 쉬운 문체가 1인칭 적 33색은 독자에게 미묘한 감정을 이끌어내는 힘이 줄거리를 나열하는 것보다 그 미묘함을 나타내 주고 싶다.

 

올 가을 <칼과 혀>로 떨어진 단풍잎을 보는 것 같다.

 

한 접시의 요리보다 더 중요한 것은 그 접시에 담긴 요리사의 진심이다. 모든 일에는 흥하고 망함이 있다. 너희들이 매 순간 중심을 잃지 않을 때, 우리를 위협하는 제국주의자들의 힘도 무뎌지는 것이다. 그러니 집으로 돌아가거든, 자신이 오늘 하루 소꼬리를 잘라내는 데 썼던 그 칼이 진정으로 필요한 곳이 어디인지 고민해보기 바란다. 소꼬리 찜은 전쟁이 끝난 뒤 다시 배우자!” (54)

 

나의 하루는 먹는 것으로 시작해 먹는 것으로 끝난다. 먹는다는 것은 내게 잠시나마 이 전쟁과 직위를 잊게 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 요리가 우리를 구원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121)

 

가끔 인간의 삶과 죽음을 관통하는 문 하나가 저 부엌 어딘가에 숨어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해. 어느 부엌이든 문을 열고 들어가면 주린 배를 채울 무언가가 숨어 있게 마련이지. 죽이고 죽는 전쟁쯤은 잠시 잊어도 좋은 그곳.” (230)

 

나는 여전히 말하고 싶다. 이제 우리의 내기는 끝이 났다고. 나는 무엇도 요리하지 않았고 당신은 무엇도 먹지 않았다. 우리는 다만 외로웠을 뿐이라고. 나는 요리를 했고 당신은 접시를 비웠다. 불과 싸우던 나의 시간도, 맵거나 짜거나 달콤하거나 시었을 온갖 요리의 맛들도, 우리를 아프게 했던, 시대가 만들어낸 순간의 고통일 뿐이라고. 한 접시의 요리가 깨끗이 비워지는 순간 우리는 비로소 증오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다고.” (318-31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