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 (RAIN) - 자연.문화.역사로 보는 비의 연대기
신시아 바넷 지음, 오수원 옮김 / 21세기북스 / 2017년 7월
평점 :
절판


(Rain=)

우리가 생각하는 지금의 비는 과학적 측정에 따라 또는 지역적 특성에 따라 맞아도 맞지 말아야 혹은 대비해야 하는 도시와 시골 그리고 위험과 위험하지 않은 그저 생활 속에서 적지 않은 인간의 삶에 기여하고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시도 즉 비가 너무 많이 와서 적게 올 수 있도록 너무 안 오니 비가 많이 오도록 그 또한 과학적으로 접근하고 시도하는 현대문명.

과학은 조금은 배제하고 비(Rain)을 자연, 문화 그리고 역사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을 비의 연대기로 우리에게 들려주고 그 연대기 속에 우리의 삶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하는 책이다.

역사 속 비와 인간의 관계 그 짧은 역사 속에 우리가 비를 바라보는 자세는 마치 그동안 신과도 같은 존재를 과학이라는 미명아래 마치 인간이 신이라도 된 듯 좌지우지하려 하니 비가 존재였다면 아마도 웃지 않았을까?

자연 속에 비, 문화 속에 비 그리고 역사 속에 비

좀처럼 비에 대해 문학과 과학이 지극히 공생 관계로 웃고 울고 화내고 원망하는 존재에서 고맙고 사랑스럽고 그 누군가엔 위로와 희망 그리고 생명줄 같은 존재이기에 더없이 귀중한 존재이기도 한 비!

작가의 애정 어린 물의 윤리water ethics’를 지구인에게 보내는 메시지이자 미래의 인가들에게 보내는 항소이유서 같은 책이다.

인간들이 비와의 전쟁이라도 치를 것 같은 이 시대에 다가 올 미래의 비와의 공존은 또 다른 과학적 접근도 아니요 윤리도 아닐 것이다.

그저 자연의 이치로 자연의 섭리로 다시 고대인들이 바라보았던 그런 시각이 우리에게 필요하지 않을까?

요즘처럼 무더운 날씨에 비가 오지 않아도 자신에게 어린 시절 비에 대한 추억을 어린 자녀에겐 또 다른 물의 윤리water ethics’로 소낙비를 피해 대청 루에 부채질하며 아이들과 시원한 물을 마시며 대화할 수 있는 책이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