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을 지키는 법 - 천재 뇌신경과학자가 알려주는
조나 레러 지음, 박내선 옮김 / 21세기북스 / 2017년 5월
평점 :
품절


사랑을 지키다.

무수한 사랑으로 전쟁과 평화 그리고 또 다른 갈등과 고뇌 등 태초부터 현재 그리고 미래에도 사랑의 딜레마에 빠져들 것이다.

사랑을 지킨다? 지키는 법이 있다? 아마도 희망일 것이다. 모든 사랑은 영원할 수도 영원하려 하지 않기 때문이다.

역사적 시대적 사랑도 변화는 것 같다. 의미가 변한다기 보다는 마치 사회성 언어로 변화하는 것 같다. 나만 그렇까?

어느덧 가족에 대한 사랑이 의무로 변하는 것이 가장 큰 변화라고 본다.

내 자녀는 어떤 사랑을 지키는 법이 있는지 한번 볼까요?

 

 

둘째 딸 서평이네요.

 

추상적이면서도 과학적인 사랑의 정체를 밝히기 위한 심리학자들의 실험과 경험담이 돋보인 책이다.

하지만 사랑이라는 것의 정확한 정체를 알아내기보다는, 책의 제목 그대로 사랑을 지키는 것에 더 초점을 두었다. 심리학자들의 실험과 경험담에서 나온 사랑이라는 것의 의미를 어림잡아 사랑을 통한 행동을 해석하고 실천하면 된다.

이 책을 읽고 스스로 사랑이란 무엇인가 생각해보지만, 여전히 알 수 없는 추상적인 개념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책의 심리학자들의 사랑에 대한 이야기의 공통점은, 사람은 사랑을 갈구하는 존재이며, 사랑으로 삶의 의미를 찾고, 사랑 때문에 기뻐한다는 것이다.

이것을 보고 내가 내린 사랑의 정의는 일종의 생존 시스템이 아닐까 한다.

사랑이 존재하게 될 때 인간이나 동물은 기쁨을 느끼고, 삶의 의미를 찾는다. 그리고 종족 번식이 수월해지고, 사랑을 많이 받은 후손은 정신이 건강하여 곱게 자란다.

이것은 남녀 사이의 관계 뿐 만이 아니라, 특히 인간의 사회성은 생존과 결부되기 때문에 가족이나 다른 개체와도 결속을 위한 사랑을 느낀다.

이렇게 사랑은 추상이면서도 과학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