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 인터넷이 우리의 뇌 구조를 바꾸고 있다
니콜라스 카 지음, 최지향 옮김 / 청림출판 / 2011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인터넷이 우리의 사고 방식을 얕고 가볍게 만든다! “

각종 소셜 네트워크가 우리의 사고 방식을 빼앗고 있다! “

세계적으로 유명하고 IT비즈니스 계의 영향력이 있다는 리콜라스 카의 말이다.

미래의 인간 사고 방식에 경종을 울리는 강연이다. 인터넷의 발달로 황폐해 지고 사고 방식이 단순하며 그 단순함 조차도 아웃소싱으로 문화가 시들어 간다고 한다.

이 책은 그런 인터넷 즉 스마트폰의 발달과 인터넷의 사용으로 사고 방식에 문제와 그로 인한 문화의 피폐해짐을 경고하고 있다.

이 책을 덮는 순간, 책을 쓰레기 통으로 버리고 말았다. 물론 다시 책장 구석 진 곳에 꽂아 두긴 했지만……

니콜라스 카는 유명한 강연자이자 영향력 있는 유명 저널 지에 기고하는 자신의 명예와 지위가 무너질까 봐 두려운 나머지 세계인들을 상대로 사기를 치고 있다. 얕은 지식과 마술과도 같은 말 장난으로 세치 혀끝에 개인의 욕심을 버리지 않는 모습이 불쌍해 보이기까지 해, 직접 대화를 해 보고 싶다.

만나면 딱 한가지만 묻고 싶다.

[ 스마트폰의 소셜네트워크 그리고 수많은 문자와 영상 통화를 하면서도 우리들은 왜? 그토록 자주 지인들과 만나는가? ] , 네트워크 및 통신만 사용하지 하루가 멀다 하고 직접 만나서 대화를 원하고 함께 즐기는 문화를 선택하는가? 사진과 동영상 그리고 전문가의 설명만 들으면 그만인 것을 몇 개월, 몇 년의 돈을 모아서 그곳으로 여행을 떠나는가? 묻고 싶다.

이 책은 인터넷과 스마트 폰 등 기기만 있고 사람은 없다. 그것도 세계인들이 없다.

마치 제품에다가 넌 왜 고장이 났냐? 하고 질문하는 것과 무엇이 다를까?

사고 방식이 얕다? 전 세계인의 문화와 인종이 다른 사람들이 대화를 하고 한 문제로 피 터지게 설전을 벌인다. 때론 주관적으로 때론 객관적 사실에 입각한 사진과 영상 및 전문가의 참여가 이루어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답이 없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보자!

다수 민족을 위해 소수 민족을 희생해야 한다? “ 이 문제에 대해 저자인 니콜라스 카의 답변을 듣고 싶다.

아마도 쉬운 대답을 하지 못할 것이다. 바로 그 점이다.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사용한다고 사고 방식이나 지식, 그리고 기억에 대한 건망증과 문제 의식 없이 도용하는 정보에 대한 문제 의식을 바로 알지 못하는 것에 역설한다. 그것은 소수의 유저에 존재하며 그런 인식 조차도 점점 발전하는 인터넷 세상을 바로 본인의 독점적으로 알고 혼자만의 것인 양 떠들고 다니는 인터넷 권력 자리가 위태롭게 만들기에 단 한번도 스마트폰과 아이패드 및 창조적인 제품을 만들어 보지 못한 절름발이 지식인이기 때문이다. 네트워크로 전 세계인들과 소셜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논의를 하거나 대화의 창을 마련 했다면 현 시대의 발전으로 통신의 혁명이라는 인터넷, 그 중심에 스마트폰과 아이패드 같은 기기에 찬사를 했을 것이다. 그리고 더욱 더 이 시대를 이끌어 가는 젊은이들에게 새로운 미래를 만들 것을 주장했을 것이다.

본인만 알고 강연하던 모든 정보와 지식이 이젠 아마존의 밀림 속 원주민에게도 클릭 한번으로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는 것에 두려움이 있을 것이다. 이 책은 그 두려움을 자신의 얕은 지식과 배경을 바탕으로 불필요한 문제를 이 사회에 던져 소모성 논쟁을 만들고 있다.

마치 기득권층과 비 기득권이 서로 싸움을 부추이듯이 하지만 전세계인은 이에 굴하지 않을 것이다. 인간의 문명은 권력층의 한 사람으로 이루어진 것처럼 옛 고대인들이 지배하려는 하나의 수단에서 현 사회는 공유하면서 보다 더욱 더 발전 시키려는 피 지배인들의 반란으로 나는 보고 있다.

자유, 이 자유를 위해 수천 년을 싸워 온 인간이기에 자유로움 속에서 다양한 현대 문화를 만들어 내고 그것을 더욱 발전 시키고 있는 것이다.

물론, 부작용은 있다. 부작용은 그 많은 역사와 민족에서 그 문화를 이루는 전통에 의해 많은 부작용들이 있다. 하지만 인간은 그것을 모두 극복하고 나쁜 것은 배척하고 좋은 것은 자기 것으로 만들려는 독특한 창조성을 가지고 있다. 인간은 개미나 벌과 같은 군집단위 집단이 아니다.

때론 군집으로 때론 소집단으로 보다 소수인 개인으로 더욱 세분화 되고 다양화로 발전하는 미래를 기득권층은 두려워하는 것이기에 이 책을 보고 있으며 저자인 기득권층, 그들의 두려움이 미래에 어떤 영향을 줄지 나는 더욱 관심이 간다. 왜 이들은 이처럼 두려워하는 것일까? 자신의 지식을 좀 더 다양한 곳에 아니면 더욱 새로운 것에 써야 되는데 자신의 자리를 지키고자 하는 욕심을 버리지 않을까?

언제인가 죽음이 보이거나 오랜 기간 그 자리에 머무는 사람은 자신의 욕심을 쉽게 버리지 못한다고 한다. 그런 인간의 얕은 지식으로 사고 방식을 전 세계인들에게 떠들고 있으니 그저 불쌍하다 못해 애처롭기까지 한다.

인간은 기계나 제품이 아니다. 그것을 사용하는 유저이다. 유저들은 자신과 타인과 함께 공유하고 싶어 한다.

공유 속에서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공유하면서 더욱 더 새로움에 갈망하기에 사고 방식이 얕을 수가 없다. 얕은 사고 방식으로는 많은 사람들과 대화에 나설 수가 없으며 때로는 퇴출되기에 움직이는 지식, 즉 새로운 지식으로 계속해서 업그레이드를 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바로 이러한 업그레이드가 기득권과 새로운 문화에 적응하기 어려운 비 유저들에겐 실로 두려움의 존재인 것이다.

불법 복제, 다운 등 다양한 콘텐트를 복사하듯이 따라 한다. 물론, 피해를 보는 사람들이 생겨난다. 하지만 그 피해를 보상이라도 받듯이 새로운 콘텐트로 고부가가치로 창출한다. 이것이 바로 IT비즈니스이자 미래의 경제인 것 인다.

기존 문화에 대한 소외, 역시 큰 걱정이 없을 것이다. 고대 문화를 보존 하려는 움직임은 역사적으로 가장 활발한 활동을 시작한 것이 바로 인터넷의 통신 기술이 발전하면서 본격화 되고 있다. 저자, 본인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바로 정보 공유이자 홍보로 인한 여행객 증가이다. 이 전엔 쳐다 보지도 않고 오히려 불편한 건축물로만 보던 이들이 다시금 새로운 시간으로 바라보고 보존하려 앞다투고 있다. 고대 건축과 현대 건축을 혼합하여 새로운 건축문화를 만드는 것 또한 인터넷의 발전이다.

이것이 문화의 소외일까? 다시 한번 묻고 싶다. 본인은 단 한번이라도 옛 문화를 지키려고 어떤 실천을 했는가! 이다. 떠들기만 했고 달콤한 언어로 청중을 사로 잡았다면 바로 히틀러와 무엇이 다르지 않은가? 말이다.

미래의 인터넷 문화를 더욱 발전하려면 자신의 욕심을 버리고 진실로 IT을 사랑했으면 한다.

나는 한 유저로 말하고 싶다.

그 방향을 가르치는 나침반이 되지 말고 배의 방향을 잡아주는 키가 되었으면 한다. 자동항해 장치가 되지 말라는 것이다. “

저자와 같은 유저가 생길 지 모르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