넘버스, 숫자가 당신을 지배한다 - 모르면 당하는 확률과 통계의 놀라운 실체
카이저 펑 지음, 황덕창 옮김 / 타임북스 / 2011년 3월
평점 :
절판


 

옛 선조들은 태어나면 [어느 마을 누구의 아들, 아무개]를 나타내는 호패로 신분을 나타낸다.

지금은 태어나면서부터 숫자에 의해 기록되고 숫자를 바탕으로 삶을 살다 숫자로 죽는다.

숫자의 진실은 지배자와 피지배자간의 오랜 싸움에서 공감대를 나타내는 일명 사회구성의 가장 근본이 되는 기본 구성원이라고 생각된다.

우리는 숫자에 열광하고 때로는 반기를 들고 벗어 나려는 걸까?

간단하다. 숫자의 적음에 희로애락의 삶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보다 간편함을 나타내기에 퍼센트(%)로 나타낸다.

그 수많은 통계학 속에 지배를 당한다? 그 의미가 무엇인지 이 책은 말하고 있다.

벗어나지 못하면 그 속에 속하라는 약어가 있다.

우린 태어나면서부터 숫자의 개념을 모른 채 오직 최고의 숫자를 향한 공부와 교육 받는다. 숫자 즉 통계학의 선두주자가 이 사회를 지배한다고 봐야 한다. 과학적, 객관성을 나타내는 통계학으로 사회의 구성원을 다양한 제품, 제품에 대한 다양한 사용 방법들, 그 방법에 의한 더 많은 제품, 어떻게 보면 돌고 도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 모든 것들의 앞에 단 하나의 수식어가 붙는다.

바로 [새로운]이라는 수식어다. 이 말은 최신~, 최초~, 업그레이드 등 다양한 수식어로 다양한 명사로 자리 매김 한다.

숫자에 강해야 한다? 숫자가 나를 어떻게 지배하는 지만 알면 그 숫자를 지배할 수 있다

이 사회의 구성원들은 숫자의 지배력과 숫자의 중요함을 알고는 있지만 스스로 숫자에 지배를 받고자 한다. 왜 일까? 태어날 때부터 숫자에 불과한 개인이 숫자에 지배를 받는 일이 당연한 것처럼 그것이 사회의 근본이라고 여기기에 이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이 사회에 미적분을 모르면 생활이 불가능할까? 어느 시대별 학생들의 질문을 보자! 매번 학생들의 말이다. 미적분을 꼭 알고 생활하라는 뜻이 아닐 것이다.

여러분 삶은 어떤 선택으로 살고 있습니까? 숫자를 지배합니까? 숫자에 피지배자입니까?

대부분 지배자이자 피지배자이다. 단지, 피지배자라는 피해 의식이 숫자에 나타나는 척도를 맹신하기 때문이다. 그 척도는 마음에 있고 가슴 속에 남아 있는 욕심에 숫자가 크게 보일 뿐이다.

보이는 숫자의 크기는 마음이다. 마음으로 삶을 살 수 있는 날이 온다면 그 삶은 풍요로운 행복의 기준이 되는 숫자로 바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