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비늘 ㅣ 푸른사상 소설선 72
이수현 지음 / 푸른사상 / 2025년 9월
평점 :
#협찬 #서평
>>
이수현 작가의 소설 <<비늘>>은 가족 안에서 일어나는 폭력과 그로 인해 생긴 상처를 끌어안고 사는 사람들의 이야기이다.
하지만, 주인공을 포함한 등장인물들은 아픈 과거에 머무르지 않고, 벗어나기 위한 용기를 내고 치유의 시간을 보낸다. 내면의 아픈 상처 위에 돋아난 비늘이 어느 새 부드러워지고 떨어져나가는 순간을 그려낸 어른들의 성장소설이었다.
주인공 강도희는 어릴 때 아버지의 폭력을 견디며 자랐다. 그 상처로 감정을 표현하지 못하게 되었고, 마음을 꼭 닫아 걸고 살았다.
아픈 시간을 견뎌내고 지금은 이혼 전문 변호사로 일하면서, 가정폭력이나 양육비 문제로 힘들어하는 사람들을 돕는다. 과거의 자신처럼 힘없이 당하고 있는 의뢰인들의 고통을 외면하지 않고 힘든 현실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힘껏 돕는다. 그게 바로 도희 자신을 돕는 일인지도 모른 채.
도희와 그녀의 의뢰인들이 가진 비늘은 각자의 아픈 과거를 상징하는 동시에 그들이 버텨온 삶이었다.
도희는 신비로운 능력이 있다. 그 능력으로 의뢰인들의 비밀을 엿볼 수 있었고, 거짓을 찾아낼 수 있었다.
자신의 힘이 아닌 이 신비로운 능력 덕분에 의뢰인들을 도울 수 있다고 생각하던 도희.
그 신비로운 힘이 사라진 후, 혼란스럽기만 했던 도희가 여전히 새로운 의뢰인들을 도우며 사는 것으로 이야기는 끝이 난다.
결국 상처 입은 사람들을 돕는 건 초자연적인 능력이 아니라, 자신을 믿는 힘과 의뢰인들의 상처를 치유하겠다는 도희의 의지였다는 걸, 소설은 증명한다.
“비늘은 상처가 아니라, 살아냈다는 증거야.”
저자는 도희를 통해, '살아냈다'라고 표현의 의중을 증명하고, 돋아난 비늘이 치유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상처를 없애려 애쓰기보다, 그것을 인정하고 마주할 때 비로소 치유가 시작되는 법.
도희는 스스로를 믿는 마음으로 자신과 타인을 모두 구한다.
‘치유’란 누군가 대신해주는 기적이 아니라, 자기 자신을 믿고 일어서는 과정임을 깨닫게 하는 소설.
도희와 의뢰인들이 자신의 비늘을 마주하고 벗어날 용기를 냈듯, 우리도 각자의 비늘을 통해 가장 아픈 상처를 치유할 수 있음을 일깨운다.
말 못할 상처가 있는 당신에게 이 책이 닿기를.
자신의 비늘을 확인하는 것으로 치유의 시발점을 삼길 바라며, 이 소설을 추천한다.
>>
>밑줄_p21
그녀 곁엔 따뜻한 가족도, 마음을 기댈 친구도 없었을 것이다. 자연스레 내가 아팠던 시절을 떠올렸다. 확신은 없었다. (...)
나는 안다. 이런 사람들에게서만 풍기는 기운이 있다는 것을. 삶의 구겨진 탄성 속에서 은근히 스며 나오는, 눅진한 피로의 냄새. 조바심과 무력, 비탄이 겹겹이 쌓여 묵직하게 번지는 그 고단한 기색이, 어느새 내 마음속까지 스며들고 있었다.
>밑줄_p58, 59
어머니의 마음을 감히 짐작건대 그녀의 마음 속 비늘은 지난한 가정 폭력으로 두꺼워지고 무뎌졌을 테다. 그 비늘을 뜯어내기까지 생살이 상하는 아픔을 무릅쓰고, 결정을 감내해야 했을 것이다. 일평생 무구한 자식들을 보호하려 애를 썼던 나의 아픈 비늘, 어머니.
>> 이 서평은 저자 이수현(@dltngus1515)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비늘 #이수현 #푸른사상
#장편소설 #국내소설 #가정폭력 #상처 #치유
#신간 #책추천 #소설추천
#북스타그램 #책스타그램 #서평스타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