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편한 가족관계증명
김예은 지음 / 주안애 / 202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협찬 #서평

>>
<<불편한 가족관계증명>>은 불편한 진실을 마주하게 한다. 우리 모두가 한 번쯤 겪었거나 여전히 겪고 있을지 모르는 가족의 현주소를 적나라하게 표현했다.
전쟁이 남긴 상처로 고아가 된 아버지 기호, 가난에서 벗어나고 싶었던 어머니 정애, 취업을 못한 백수 아들 정호. 한 지붕 아래 살고 있지만 남보다 못한 가정을 보여준다.
각자 마음속에 깊은 외로움과 상처를 품은 채, 서로에게 표현하지 못하고 사는 그들. 겉으로는 평범한 가족이지만, 속을 들여다보면 누구보다 불편한 감정으로 얽혀 있다.

“모두가 애썼지만 아무도 다정하지 못했습니다”
아버지 기호는 평생 책임감 하나로 버티며 살아왔지만, 정작 가족에게는 인정받지 못한 채 불편한 존재가 되었다.
어머니 정애는 가난을 벗어나려 했지만 아등바등 사는 현실은 그대로인데다, 남편의 잔인한 말에 존재가치를 느끼지 못하고 산다.
아들 정호는 돈때문에 싸우는 부모의 걱정을 덜어주고 싶어도 못하는 현실이 불편하다.
소설을 읽을수록, 우리네 가정의 한 단면을 들여다보는 듯한 기시감이 느껴져 독자 또한 불편해지는 소설.
다정하고 싶지만 어색하고, 서로를 위한다고 하면서도 끝내 마음을 전하지 못하는 모습은 결코 특별한 상황이 아니라, 지금도 많은 가정에서 반복되는 일상의 풍경일 것이다.

이보다 더 나빠질 수 없다. 언제 깨져도 이상할 게 없는 얇은 얼음판을 아슬아슬하게 들고 있는 모습이다.
하지만 그 불편함조차 가족을 지탱하는 힘일 수 있음을 깨닫게 하는 소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족이기에 작은 기쁨 하나에 모든 상처가 치유되는 마법이 일어나는 것이다.
사춘기 아들의 낯선 애교, 남편의 보너스, 반찬이 유난히 맛있던 저녁 밥상 등.
소설은 불완전한 가족 속에서도 희망을 발견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발견하게 한다.

<<불편한 가족관계증명>>은 가족으로 인해 상처받은 독자에게 가족의 의미를 되새겨 보게 할 소설이다.
또한 나는 그들에게 어떤 모습으로 비춰질까 하는 질문을 남겼다.
다정하지 못했던 지난 시간을 돌아보며, 오늘 하루만큼은 조금 더 따뜻해지고 싶어진다.
상처와 외로움 속에서도 여전히 서로를 지켜내려 애쓰는 존재로 서로의 자리를 지키는 모든 가정의 회복을 바라게 된다.



>>
>밑줄_p10
부모에게 얹혀사는 서른 중턱의 아들 심정을 눈곱만큼도 헤아려 주지 않는 아버지였다. 변변한 직장 없이 논다고 감정도 없는 줄 아는 모양이다. 한 지붕 아래 사는 가족인데 왜 이렇게 불편하게 만드는지 모르겠다. 하루라도 모르는 척하고 그냥 출근할 수는 없을까. 정호는 소리 없는 비명을 지으며 괴로워했다. 부모에게는 이미 불편한 존재였다.

>밑줄_p99
"다 당신 때문이야. 돈만 아낄 줄 알지, 가족을 아낄 줄은 전혀 몰라."
남편은 평소처럼 소 닭 보듯이 쳐다보고 아무 대꾸 없이 나가버렸다. 늘 그래왔듯이. 늘 그랬던 것처럼. 아무것도 묻지 않고 아무것도 책임지지 않았다.

>밑줄_p112
기호는 현관으로 따라나서는 아내의 말에 깊이 상처받았다.
그동안 고단하게 돈을 벌었던 이유는 가족을 아끼기 때문이었다. 어쩌다 서로를 이해하지 못하고 존중하지 않으며 용납하지도 않는 가족이 되었을까.



>> 이 서평은 주안애(@judanlovebooks)서평단 자격으로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불편한가족관계증명 #김예은 #주안애
#중편소설 #국내소설 #불편한가족 #가족의의미
#신간도서 #책추천 #소설추천
#북스타그램 #책스타그램 #서평스타그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