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토란국 대신 만둣국 - 소중한 맛에 대한 산문집
이범준 지음 / 책책 / 2025년 1월
평점 :
#서평
>>
방아잎을 곱게 다져 넣은 김치전.
들깨가루만 듬뿍 넣은 미역국.
산초가루와 고추가루를 넣은 경상도식 추어탕.
비가 오니까, 몸이 으실으실 추우니까, 입맛이 없으니까.
날씨와 기분에 따라 떠올랐던 음식이라 생각했다.
하지만, <토란국 말고 만둣국>을 읽고 깨달았다.
잊고 지냈던 추억 속의 맛과 향을 떠올렸다는 것을.
저자는 한 음식을 정갈하게 소개한다.
음식에 대한 유래와 만드는 방법, 음식이 가진 고유의 맛까지.
영화 <리틀 포레스트>나 영화 <카모메 식당>에서 나오는 독백처럼, 재료 본연의 맛을 차분한 목소리로 소개하는 글귀가 많다.
그리고, 중간 중간 소개되는 저자와 주변 사람들의 추억.
정성들여 만든 음식을 대접할 이 중에 귀하지 않은 이가 있을까.
저자는 어머니의 음식과 나의 음식, 사랑하는 이(남편, 딸, 친구)들의 음식으로 추억은 나누어 소개했다.
내 어린 시절의 추억은 흐릿하게 남았지만, 그 자리에 함께한 음식의 향과 맛은 지금도 선명하다.
가장 행복했거나 가장 서러웠으므로.
같은 이름을 가진 음식을 먹을때마다 그때 그 시절을 떠올리게 된다.
"다신 이 음식을 안 먹는다 했는데..."
"그 때 그 맛을 낼 수가 없어."
라는 말을 하며 추억을 곱씹게 되는 것이다.
음식 하나로 과거와 현재가 이어지고, 그때 함께 했던 사람과 지금 함께 하는 사람이 연결되는 경험.
음식이 이렇게 대단한 힘을 가졌다는 것을 미처 몰랐다.
"어떤 음식들을 함께 차려낼까?"
잘 어울리는 재료들을 선정해 다듬고 조리를 하는 과정엔 함께 먹을 이를 고려한 마음이 있다.
음식엔 늘 사람이 있었다.
좋은 게 있으면 먹여주고 싶은 마음.
맛있는 걸 먹으면 그 사람과 다시 와야겠다는 마음.
늘 마음이 함께였다는 것을 느끼게 되는 시간이었다.
>>
>밑줄_p15
열 살도 안 된 어린아이가 돌나물물김치 맛을 제대로 알았을 리 없을 텐데 왜 그리 과식했을까?
이제 와서 그날을 떠올려보니 서글픈 감정이 마음에 맺힌다. 어린 나는 엄마를 마땅찮아 하시는 할머니의 마음에 들고 싶었던 것 같다.(...) 할머니를 추억하며 글을 쓰는 지금도 나는, 표현은 투박했지만 유달리 손녀딸에게 깊은 정을 주셨던 할머니와 늘 보호의 대상이던 엄마 그 사이 어딘가에 서 있다.
>> 이 서평은 저자 이범준 (@less_better_beautiful)으로부터 협찬 제안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토란국대신만둣국 #이범준 #책책
#에세이 #음식에세이 #추억 #가족 #사랑 #인연
#신간도서 #책추천 #에세이추천 #신간도서추천
#북스타그램 #책스타그램 #서평스타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