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부 - 소금이 빚어낸 시대의 사랑, 제2회 고창신재효문학상 수상작
박이선 지음 / 다산책방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일제강점기부터 근현대사까지의 우리 나라 모습들이 사실적으로 그려졌다.

✅️ 모릿등에 위치한 염길의 본가는 자염을 만드는 일을 한다. 바닷물을 끓여서 만든 소금은 그 맛이 순하고 감칠맛이 있지만 그 과정이 힘들고 고된 것에 비해 수확량이 적었다. 대량 생산되는 천일염에 비하면 비쌀 수 밖에 없었다.
그렇게 겨우 겨우 입에 풀칠하며 사는 집에 입 하나 줄고 용돈벌이가 된다면 내지인(일본인)의 가정교사 일을 마다할 이유가 없었다. 그렇게 염길은 마사토의 가정교사가 되었고 인생의 여인 아케미를 만나게 된다.
얼마지나지않아 고창보고를 졸업하고 대학을 가게 되면서 둘의 인연은 그렇게 멈추는 듯 했지만 졸업 후 국민학교 선생님이 된 염길과 음악선생님이 된 아케미는 운명처럼 만나게 된다.
이제 함께 할 날들만 남았다고 생각하던 그 때 광복이 이뤄졌다. 기다리고 기다리던 해방의 순간이지만 아케미는 본국으로 돌아가야하는 숙명에 놓이고 말았다.
그렇게 길고 긴 이별을 앞 둔 두 사람의 운명은.....

📌p37
염길은 료스케의 말을 듣고 평소 온화하게 대해주던 가족들이 실은 가면을 쓰고 있는 것인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p240
징병제 실시는 조용했던 고창 읍내를 술렁거리게 만들었다.(...)필석도 전쟁터로 가서 개죽음을 당하고 싶은 마음은 추호도 없었기 때문에,(...)
"차라리 몸을 피해버리는 것이 상책이란 생각이 듭니다. 이래 죽으나 저래 죽으나 마찬가진께요."
📌p277
도대체 누가, 왜 댕기 머리 흔들며 이곳 모릿등에서 게를 잡고 소금 가마를 지키며 살아온 숙영을 전쟁터로 끌고 갔단 말인가.
📌p316
어떤 사람이 쏜살같이 달려가며 두 손을 번쩍 들고 외치는 소리가 들렸다.
"일본이 항복했다. 대한독립 만세!"

🌱
이 소설은 '고창신재효문학상' 수상작이다.
고창의 역사, 자연, 지리, 인물, 문학 등의 소재와 배경으로 한 작품이어야 한다는 조건이 있는 공모전이다.

소설 속 지명이나 자연 설명들은 일대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었고, 사건들은 고창의 근현대사를 아울러놨다고 해도 무방하다.
얼마나 많은 자료들을 모으고 답사를 하셨을지 감히 상상도 못할 것 같다.

일제강점기를 시작으로 일본의 패망 무렵 사회주의세력의 활동들, 징병을 피해 도망친 학생들의 활동, 해방 후 살아남으려는 일본인들의 모습 등 다양하고 사실적인 모습들을 엿볼 수 있었다.
염길과 아케미의 사랑이야기, 소금을 만들며 사는 염길 아버지 인생, 염길과 같은 나이대의 청년들의 진로 고민, 그 시절의 학교 모습들도 교과서에서 보던 것들 이외의 모습들도 알 수 있는 기회였다.

역사적 사실들을 주인공과 주변 인물들을 통해 풀어낸 염부는 결국, 그 시절을 살아낸 사람들의 이야기였다.
한 사람, 한 사람의 인생들이 모여 그 긴 시간의 역사가 이루어진 것이었다.
"빼앗긴 땅 위에서 멈추지 않고 뜨겁게 끓여낸 소금, 세월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결정체가 된다."
처럼 모두의 마음에 남은 흔적은 고스란히 역사가 되었다.

[YES24 리뷰어클럽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염부
#박이선
#다산책방
#고창신재호문학상_수상
#일제강점기
#해방전후
#미군정때까지
#소설추천
#역사소설
#도서협찬
#서평후기
#완독후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