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밀 예찬 - 은둔과 거리를 사랑하는 어느 내향인의 소소한 기록
김지선 지음 / 한겨레출판 / 2022년 6월
평점 :
가끔 책을 읽다보면 뜨끔할 때가 있다.
포커페이스로, 잘 다듬어진 행동으로 숨기고 살다가 딱 걸린 기분.
그래서 들키고 싶지 않은 마음을 꽁꽁 숨겨야 할 것처럼 안절부절하게 되는 책이 바로 이 책이었다.
저 밑에서 에너지를 끌어올려 그 상황을 버텨낸다는 마음으로 헤쳐나가는 때가 많았다.
오롯이 내 몫임에도 버겁기만 했을 때 조차도
그 마음 드러내 표현하기 보다는
혼자만의 시간이 더 필요한 사람이었다.
내 사람, 공간, 시간, 정적을 필요로 하는 사람이었다.
그럼에도 나를 어떻게 생각할까 하는 마음으로 가면을 쓰고 살아온거 같다.
"너 내향적이구나.!?" 하며 뭉뚱거려 표현되는 그 말을 피하고 싶었던건지, 사회적 통념으로 외향적이고 싶었던건지...늘 갈팡질팡 하며 살아왔다.
기 빨리는 시간을 억지로 버티고 온 날은
피로 누적도가 최고치임에도 주기적으로 참석한 자리.
차라리 그 시간을 에너지 충전을 위해 쓰는게
나를 위함임을 이야기 하신다.
'나 혼자 살거야.'가 아닌 가끔은 아무도 모를 내 공간 속에서 나만의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
그렇게 에너지를 충전해서 또 세상살아갈 기운을 낸다는 것을 요목조목 야무지게 말씀하신다.
내밀한 생활의 귀함을 당연히 요구하며 살자 하시는 작가님.
이제, 안다. 알고 있다 생각했다.
그럼에도 부족했던 마음가짐을 좀 더 탄탄하게 해주신 작가님.
"맞아. 맞아."
하며 캐미좋은 친구랑 오랜 시간 이야기 나눈 것 같은 기분으로 책을 읽었다.
#내밀한 : 어떤 일이 겉으로 드러나지 아니한
📌p8~9
'내밀한'이 내가 가진 것, 즉 나의 마음, 나의 시간, 나의 이야기 등을 수식할 때, 이 단어는 타인과 나 사이에 널널한 거리를 만든다. 갑자기 변심해서 발설하지 않는 이상 나 혼자만 알고 있을 마음, 시간, 이야기...
나는 이런 것들을 아끼고 또 아낀다. 반면 '내밀한'이 관계성을 품은 단어와 함께 사용될 때, 이를테면 '내밀한 대화'라거나 '내밀한 사이'라는 말에서 나와 각별한 타인의 거리는 순식간에 좁아진다. 그런데 이쪽도 싫지 않다.
아무래도 나는 내밀함이 만들어내는 멀고도 가까운 거리를 사랑하는 사람인가보다.
#내밀_예찬
#김지선
#한겨레출판
#내밀한
#은둔과거리를사랑하는
#어느내향인의소소한기록
#완독후기
#책리뷰
#독서감상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