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겨울이면 검정 옷에는 염소 갖옷을 입었고, 흰 옷에는 어린 사슴 갖옷을 입었으며, 노란 옷에는 여우 갖옷을 입었다."
동일 색상으로 내외의 옷을 갖춰 입으면 단정해 보이죠. 위 주인공도 그걸 알았던 것 같아요. 안에 입는 옷과 밖에 입는 옷의 색깔을 동일하게 맞추고 있거든요. 이렇게 멋을 부린 사람은 누구일까요? '공자'예요!
위에 인용한 내용은 <논어> 향당편에 나오는 한 구절이에요. 향당편에는 공자의 일상 모습이 나오는데, 좋게 얘기하면 섬세하고 나쁘게 얘기하면 까탈스러운 모습이에요. 시장에서 사온 음식은 입에 안대고, 고기도 바르게 썬 것이라야 먹고, 옷은 꼭 정색(正色)을 고집하고…. 4대 성인(聖人) 중에 가장 별스런 분인 것 같아요. 소크라테스나 석가 · 예수가 음식을 타박하거나 옷차림에 신경 썼다는 것은 들어 본적이 없는 것 같거든요.
"옷은 사회적인 인간 관계에서 무언의 언어로 작용하며 상징적인 표현력을 지녔을 뿐만 아니라 그 개인의 성격, 태도, 분위기 등이 나타나는 자아로 확대되기도 한다(인용 출처:http://blog.daum.net/youngmoodw/12848695)." 공자는 옷이 갖는 이런 메시지 기능을 잘 이해하고 있었던 것 같아요. 그가 다소 까탈스러운 복장을 통해 전달하고자 했던 메시지는 무엇이었을까요? 일관성(一貫性), 정도(正道)같은 것이 아니었을까 싶어요(박대통령이 4.13 총선에서 빨간 옷을 입고 새누리당을 지원한 것과는 격이 달라요!).
사진의 한자는 귀공자(貴公子)라고 읽어요. 친절하게 한자 옆에 한글 음을 달아 놓았어요. 강경 처가에 들렀다가 찍었어요. 이 집 양복을 입으면 귀공자로 변신하나 봐요. 요즘 시류에 맞지 않는 다소 촌스런 이름이지만 왠지 진실한 느낌이 들더군요.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분명히 드러낸 상호같아서요. 느낌은 신선하지만 의미가 불분명한 외래어 상호보다는 나은 것 같지 않나요?
한자를 살펴 볼까요? 貴와 公만 알아 보도록 하죠.
貴는 貝(조개 패, 재물 혹은 돈의 의미로 쓰임)와 臾(簣의 초기 형태, 삼태기 궤)의 합자예요. 삼태기에 재물(돈)을 담아 지불해야 할 정도로 값비싼 물건이란 의미예요. 귀할 귀. 貴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貴金屬(귀금속), 貴賓(귀빈) 등을 들 수 있겠네요.
公은 八(背의 초기 형태, 등 배)와 厶(사사 사)의 합자예요. 사적인 것과 등을 돌린 것, 즉 공적인 것이란 의미예요. 공 공. 公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公私(공사), 公益(공익) 등을 들 수 있겠네요.
학생들에게 교복을 입히는 것에 대한 찬반 의견이 분분하죠. 적어도 옷이 갖는 메시지 기능만 놓고 본다면 학생들에게 교복을 입히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한 것 같아요. 자신의 메시지를 간접적으로 전달하는 교육 훈련을 원천 봉쇄하고 있기 때문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