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불법 조어선이 우리 해경 단속정을 침몰시켰는데도 정부는 고작 '유감'과 '재발 방지'만을 요청했다고 하죠? 고개를 숙여야 할 중국 정부는 되려 한국 정부가 '이성적'으로 문제를 처리하기 바란다고 큰소리(?) 쳤구요.

 

중국 어선의 불법 조어가 한 두해 일어난 일도 아닌데 왜 강력히 대처하지 못하고 앵무새처럼 '미워요' '하지 마세요'류의 유감과 재발 방지만을 요청하는 걸까요? 힘없는 70대 시위 농민을 가혹한 살수로 죽게 할 만큼 자국민에게는 강한 공권력을 행사하면서 말이지요.

 

혹 기득권의 이익을 수호하기 위해 그런 것은 아닐까요? 우리와 이해 관계가 밀접한 중국의 심기를 건드리면 중국과 여러가지 면에서 이해 관계가 얽힌 기득권에 - 대기업같은 -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생각에서요. 그렇지 않다면 심각한 주권 침해 행위에 '유감' 운운하는 나약한 태도를 취할 이유가 어디 있을까요?

 

기극권 지키기에 급급하여 국민의 안전과 국가의 체면을 도외시한 대표적인 행태가 바로 친일파들의 소행이죠.

 

사진은 한 친일파의 시예요. 비록 시 한 수이긴 하지만 이 시를 읽어보면 친일파의 행태가 어떠했으리라는 걸 짐작할 수 있어요.

 

 

春翁七十氣昻然     춘옹[이토 히로부미]은 칠십 노인이면서도 기세가 높아

活佛身兼到上仙     살아있는 부처요 하늘에 오른 신선이라

誰識平生勞苦意     평생 수고한 뜻을 누가 알리요

只憂西勢漸東邊     다만 근심하는 것은 서양의 세력이 동쪽으로 몰려 옴이라

 

時 隆熙三年 七月   융희 3년 7월

於京城翠雲亭        경성의 취운정에서

賦別伊藤公爵一絶  이토공과 이별하며 절구 한수를 지었다

書爲井上君雅囑     이노우에군께서 부탁하여 썼다

韓國從一品 農商    한국 종 1품 농상공 대신

趙重應                 조중응

 

 

이 시는 취운정에서 열렸던 이토 히로부미 송별연에서 지은 거예요. 지은이는 놀랍게도 대한제국의 농상공대신 권중응이에요. 이토를 살아있는 부처와 신선에 비유하는, 자국 일본인이 읊조리기에도 낯부끄러운, 이 시를 대한 제국의 - 거의 주권을 잃어가는 처지이긴 했지만 - 대신이 지었다니 기가 막힐 노릇이에요. 그런데 더 기가 막힐 노릇은, 위 시의 내용을 보면, 일본이 내세우는 서세동점의 논리에 도취되어 제 나라를 일본에 맡기려는 것에 자긍심마저 갖고 있는 것 같다는 점이에요. 일본이 있기에 서양 오랑캐에 넘어가지 않게 됐다는 감사의 생각을 갖고 있거든요(이 시는 경술국치(1910) 한 해 전인 1909년 7월에 지어졌어요). (한동안 논란이 됐던 '식민지 근대화론'이란 이런 권중응의 인식과 괘를 같이 하는 거겠죠.)

 

국민의 안위와 국가의 체면은 오간데 없고 오로지 강자에 빌붙어 기득권을 수호하려는 이런 친일파의 행태는 해방 후 청산되어야 할 역사적 과제였어요. 그러나 미군정이후 친일파의 재등용으로 이들이 기득권의 자리를 다시 차지하게 됨에 따라 우리 현대사에는 '생존'만이 난무하고 '명예와 권위'는 오갈데 없는 처지가 되었지요.

 

모든 구악(舊惡)이 친일파에게 있다고만은 할 수 없죠. 그러나 상당 부분 친일파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것 또한 사실이에요. 역사적으로라도 반드시 청산을 해야 기득권 수호를 위해 사대(事大)의 비굴한 모습을 보이지 않는 나라에 한걸음 더 다가설 거예요.

 

※ 사진과 번역은『'거대한 감옥, 식민지에 살다』(민족문제연구소 편, 2010) 58-59쪽에서 인용했어요.

 

한시의 한자만 한 번 읽어 볼까요?

 

春翁七十氣昻然   봄 춘/ 늙은이 옹/ 일곱 칠/ 열 십/ 기운 기/ 우러를 앙/ 그럴 연

活佛身兼到上仙   살 활/ 부처 불/ 몸 심/ 겸할 겸/ 이를 도/ 위 상/ 신선 선

誰識平生勞苦意   누구 수/ 알 식/ 평평 할 평/ 날 생/ 수고로울 로/ 쓸 고/ 뜻 의

只憂西勢漸東邊   다만 지/ 근심 우/ 서녘 서/ 세력 세/ 차차 점/ 동녘 동/ 가 변

    

昻, 憂, 漸이 좀 낯설어 보이죠? 자세히 살펴 보도록 하죠.

 

은 日(날 일)과 卬(우러를 앙)의 합자예요. 높이 들어 올리다란 의미예요. 가장 높은 곳에 있는 것이 해이기에 日로 뜻을 표현했어요. 卬은 음을 담당하면서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높은 곳에 있는 존재는 우러러보게 된다는 의미로요. 들 앙, 우러를 앙. 昻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昻貴(앙귀, 물건 값이 많이 오름), 昻聳(앙용, 높이 솟음)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心(마음 심)과 頁(머리 혈)의 합자예요. 얼굴[頁]에 수심이 가득할 정도로 마음 속 근심이 많다는 의미예요. 근심 우. 憂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憂患(우환), 憂鬱(우울) 등을 예로 들 수 있겠네요.

 

은 氵(물 수)와 斬(벨 참)의 합자예요. 물 이름이에요.  氵로 뜻을 표현했어요. 斬은 음을 담당해요(참→점). '차차'라는 의미는 본뜻에서 연역된 거예요. 수량이 차츰 불어난다는 의미로요. 물이름 점. 차차 점. 漸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漸次(점차), 漸進(점진) 등을 예로 들 수 있겠네요. 점수(漸水)는 지금의 안휘성 선성현에서 발원한 물을 가리키던 명칭이었어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의 한자를 허벅지에 열심히 연습하시오.

 

   昻 높을 앙   憂 근심 우   漸 차차 점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鬱   (   )貴   (   )次

 

3. 친일 문인의 작품을 하나 소개해 보시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6-10-12 09:2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0-13 08:38   URL
비밀 댓글입니다.

cyrus 2016-10-12 17: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친일과 망각>을 읽고 있는데, 친일파의 후손들의 적반하장식 태도에 크게 실망했습니다.

찔레꽃 2016-10-13 08: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적반하장`이라는 말이 참 적실한 표현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