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선재에 가보셨나요?

 

주인잃은 궁을 돌아볼 때 마다 왠지 모를 슬픔이 느껴지는데 낙선재에서는 그 슬픔이 좀 더해요. 그리 멀지 않은 시기까지 이곳에 박제된 역사의 인물이 아니라 동시대를 호흡했던 인물이 살았기 때문에 그런 것 같아요.

 

가까운 시기까지(1989) 낙선재에 살았던 주인은 이방자 여사죠. 일본명으로 마시모토 마사코인 이분은, 잘 알려진 것처럼, 조선의 마지막 황태자였던 영친왕 이은과 정략 결혼을 했던 여인이죠. 정략 결혼이란 정치적 계산에 의해 맺어진 것이기에 정치적 상황 변화에 따라 당사자들의 운명은 춤을 추게 돼죠. 일제 강점기와 해방이란 역사의 소용돌이에서 두 사람은 한 · 일 양국 어디로 부터도 환영받지 못하는 처지가 되어 시련의 세월을 보내죠.

 

1963년 이방자 여사는 일본에서 한국으로 영구 귀국하게 돼요. 이승만 정권 시절 입국을 거부당했던 것과 달리 박정희 정권의 배려로 귀국하게 된 것이죠. (그러나 이 배려라는 것도 다분히 정치적 계산이 깔려 있다고 볼 수 있어요. 이전 이승만 정권은 혹여 모를 정치적 부담때문에 이들의 입국을 거부했는데, 이 당시는 이미 이은 황태자가 병자의 신세였기에 정치적 부담을 느낄 필요가 없었기 때문이죠.) 이후 이방자 여사는 낙선재에 기거하며 시누이였던 덕혜옹주와 병자가 된 남편을  수발하며 지내죠. 이방자 여사는 돌아가기(1989) 전까지 자선사업에 전력을 기울였고 자신을 일본인 마시모토 마사코 보다는 조선의 황태자비 이방자로 인식하며 살았죠.  (어렸을 때 이분의 자선 사업을 보도하는 방송을  본  기억이 나요.) 그래서 그럴까요? 한국인에게 이 분은 몇 안되는 호감가는 일본인으로 꼽히죠. 

 

사진은 '낙선재' 현판이에요. 좀 이상한 것 같다구요? 하하, 눈치 채셨군요. 그래요, 이 현판은

이방자 여사가 머물던 그 '낙선재' 현판이 아니예요. 그 낙선재 현판은 이렇게 생겼지요.

 

 

앞에 나온 '낙선재'는 이 '낙선재'와 동음이의(同音異義)의 현판이에요. 일부러 동음이의를 취한 것인지, 모르고 한자를 다르게 쓴 것인지는 확인할 길이 없네요(처가 취재해 온 것인데, 별 생각없이 그냥 찍어왔다고 하더군요).

 

앞에 나온 '낙선재'의 한자와 이방자 여사가 머물던 '낙선재'의 한자를 읽어 볼까요?

 

洛은 물이름 낙, 善은 착할 선, 財는 재물 재, 樂은 즐거울 락, 齋는 집 재예요. 앞에 나온 '낙선재'는 의미 풀이가 잘 되지 않지만, 굳이 풀이한다면 '낙양에서 생산되는 좋은 재화'라는 의미로 풀이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물론 여기에는 '낙양'을 차를 생산하는 장소로, 그리고 '차'를 투자 가치가 있는 재화로 볼 수 있다는 전제가 있어야 하지요. 또 하나의 전제는 커피집에서 차도 판매해야 한다는 점이구요(이 현판을 쓰는 집은 커피 집이거든요. 현판 아래에 Coffee House라고 써있는 것 보이시죠?). 이런 세 가지 전제가 다 가능하다면 이 '낙선재' 현판은 나름대로 의미가 있는 현판일 거예요. 좋은 차를 판매하는 곳이란 의미가 될 테니까요.

 

이방자 여사가 살던 '낙선재'의 의미는 '선한 일 하기를 즐거워하는 집'이란 의미예요. 쉬운 말로 바꾸면 '선행의 집' 정도로 풀이할 수 있어요. 이방자 여사는 한국에서의 생애를 봉사와 자선 사업에 바쳤는데 집 이름에 걸맞는 삶을 살았다고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은 氵(물 수)와 各(각각 각)의 합자예요. 지금의 감숙성 합수현 백어산에서 발원하여 황하로 유입되는 물을 가리켜요. 물이름 락. 낙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洛陽(낙양), 洛書(낙서, 낙수의 거북 등에서 얻었다고 전해지는 주역과 관계있는 특별한 그림)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羊(양 양)과 言(말씀 언)의 합자예요. 양처럼 순하고 온화하게 말한다는 의미예요. 여기서 '착하다, 좋다'란 의미가 연역되었죠. 착할(좋을) 선. 善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善惡(선악), 善意(선의)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패(조개 패)와 才(재주 재)의 합자예요. 재물이란 의미예요. 조개는 고대에 화폐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貝로 의미를 표현했어요. 才는 음을 담당하죠. 재물 재. 財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財産(재산), 財力(재력)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거치대에 올려 놓은 북을 그린 거예요. 木(나무 목)이 거치대이고 위에 있는 白은 큰 북, 幺幺는 작은 북을 그린 거예요. 보통 '음악 악'으로 사용하는데 음악 연주시 대표적인 악기의 하나인 북을 그려 음악이란 의미를 표현한 것이지요. '즐거울 락, 좋아할 요'로도 사용하는데 모두 본뜻에서 연역된 거예요. 음악을 연주하면 즐겁고, 또 음악은 대개 사람들이 좋아하는 것이잖아요? 음악 악, 즐거울 락, 좋아할 요. 樂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音樂(음악), 娛樂(오락), 樂山樂水(요산요수)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示(神의 약자, 귀신 신)과 齊(가지런할 제)의 합자예요. 신에게 제사를 드리기 전 몸과 마음을 절제하고 깨끗이 한다는 의미예요. 示으로 이 의미를 표현했죠. 齊는 음을 담당하는데(제→재),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몸과 마음을 절제하고 깨끗이 하면 심신(心神)이 흩어지지 않고 가지런해진다는 의미로요. '집'이란 의미는 본뜻에서 연역된 거예요. 몸과 마음을 절제하고 깨끗이 하기 위해 머무는 공간이란 의미로요. 집 재. 齋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위에서 나왔던 樂善齋(낙선재), 愼獨齋(신독재, 조선의 유학자 김집의 호로 '삼가하고 조심하는 집'이란 의미예요)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의 한자를 허벅지에 열심히 연습하시오.

 

   洛 물이름 낙    착할 선    재물 재    즐거울 락    집 재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娛(   )   (   )力   (   )意   (   )陽   愼獨(   )

 

3. 개업을 가정하고 한자로 상호를 지어 보시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양물감 2016-05-25 22: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역시 1,2번은 수월케, 3번은 주관식엔 약해~~ 하며 위안중입니다.

2016-05-25 23:0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5-26 12:0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5-26 13:08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