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좀 쉽게 배울 수 없니?"
"글쎄..."
오래 전 한 친구가 '한자'를 배우고 싶은데 쉬운 방법 좀 알려 달라고 했어요. 난감하더군요. 조금씩 꾸준히 해야 한다고 밖에 말할 수 없는데, 그런 말은 해봤자 친구 귀에 들리지도 않을 것 같더군요.
이후 친구의 말은 제게 숙제가 됐어요. 공부 시기를 놓친 이들이 한자를 쉽게 익힐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생각하게 된 것이지요.
이제 그 답에 가까운 것을 얻게 됐어요. 이번에 펴낸 제 책이 그거예요. 천천히 제 책을 읽으면 -- '천천히'가 매우 중요해요 --한자를 어렵지 않게 익힐 수 있어요.
한자에 대해 애툿한 마음을 갖고는 있으나 배움의 시기를 놓친 이들에게 제 책은 좋은 벗이 될 것이라고 봐요.
공부 시기를 놓친 이들이 책 사기에 부담되지 않도록 책 가격도 저렴하게 매겼어요. 380쪽이 넘지만 가격은 12,000원 이에요. 할인을 받으면 1만원에 살 수 있도록 일부러 그렇게 매겼어요. 사진도 많고 편집도 시원하며 내용들이 짤막짤막해서 읽기에 부담이 없어요. "지은이의 다정다감한 이야기를 듣다 보면 자신도 모르게 한자의 매력에 빠져든다."란 광고 문구는 단순한 미사여구는 아니랍니다. ^ ^
이런 좋은 책을 어찌 아니 홍보 할 수 있겠어요? ^ ^ 임들께서도 저의 홍보에 동참해 주시지 않겠어요? 홍보에 동참해주실 아름다운 임들께서는 댓글 -- 책을 받아보시기 편한 주소 -- 남겨 주셔요. 당.연.히 무료로 보내 드려요. 짤막한 서평이라도 남겨 주시면 백골난망일 것 같구요.^ ^
한자 공부를 해보실까요? 책 표지에 나온 '군말'의 한자어인 '췌언(贅言)'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죠.
贅는 敖(놀 오, 여기서는 '내놓는다'란 의미)와 貝(조개 패, 여기서는 '돈'의 의미)의 합자예요. 물건을 내놓고 돈을 빌린다는 뜻이에요. 전당을 잡힌다는 의미지요. 이 글자의 일반적인 뜻은 '군더더기'인데, '전당 잡힌다'는 본뜻에서 연역된 거예요. 구차스럽게 물건을 맡기고 돈을 빌린다는데서 군더더기란 의미가 나온 것이지요. 군더더기는 본질에서 벗어난 다소 구차스러운 것이잖아요? 전당할 췌, 군더더기 췌. 贅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贅行(췌행, 쓸데없는 행위), 贅子(췌자, 빚보증으로 채권자의 집에 맡긴 아들) 등을 들 수 있겠네요.
言은 二(上의 초기 형태, 위 상)와 舌(혀 설)의 합자예요. 혀로부터 나오는 것이 말이란 의미예요. 말씀 언. 言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言行(언행), 言論(언론)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의 한자를 허벅지에 열심히 연습하시오.
贅 군더더기 췌 言 말씀 언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論 ( )行
3. 자신이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췌언'이 있으면 말해 보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