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를 어머니라 하면 항상 그러한 어머니가 아니다."

 

<노자>에 나오는 "도를 도라 하면 항상 그러한 도가 아니며, 명을 명이라 하면 항상 그러한 명이 아니다"를 응용해서 표현해 봤어요. 어머니라 부르는 그 분을 어머니란 말로 다 정의 할 수 있을까요? 혹 부족하여 다른 말을 첨가한다면 어머니를 제대로 정의할 수 있을까요? 불가능할 거에요. 그러나 정의 불가능한 그 분이 존재하시는 것만은 분명하죠. 그 어떤 이치 -- 흔히 진리라고 일겉는 -- 도 마찬가지 아닐까요? 그것을 말로 정의하기는 어려울거에요. 그러나 정의 불가능하다고 그것이 존재하지 않는 것은 아니겠죠.

 

사진의 주련을 읽어 보실까요?

 

古佛未生前(고불미생전)  옛 부처님 나시기 전부터

凝然一相圓(응연일상원)  의젓한 동그라미 하나

釋迦猶未會(석가유미회)  석가도 알지 못했다 했으니

迦葉未能傳(가섭미능전)  가섭이 어이 전하리

本來非白(본래비조백)  본래 검지도 희지도 않고

無短亦無長(무단역무장)  짧지도 길지도 않다네

 

본래부터 존재한 그 무엇을 말하고 있어요. 그것은 무엇으로 표현할 수 없기에 동그라미로 표현했을 뿐이며, 말로 이해되거나 전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에 석가도 가섭도 불가능한 일이라고 언급하고 있어요. 아울러 그것은 늘 그 모습 그대로라고 말하고 있어요. 

 

동양화에서 사용하는 표현 기법중에 홍운탁월(烘雲托月)이란 것이 있어요. 구름을 통해 달을 표현하는 방법이죠. 한 공간을 비워둔 채 주변을 어둑한 구름으로 표현하여 간접적으로 달을 표현하는 거에요. 위 시는 바로 이런 방법으로 본래부터 존재한 그 무엇을 말했다고 볼 수 있어요. 본래부터 존재한 그 무엇을 언표(言表)하는 것이 불가능하기에 에둘러 표현했고 그것을 인식하는 것은 상대에게 맡기고 있는 것이죠. 홍운탁월로 달을 보게하는 것처럼요.

 

여기서 드는 의문점 하나. 출세간(出世間)을 해야 본디부터 존재한 그 무엇을 깨달을 수 있는 걸까요? 전, 절.대. 아니라고 봅니다. 왜냐구요? 본디부터 존재한 그 무엇은 어디에나 편만(遍滿)해 있다고 보기 때문이지요. 그렇지 않다면 그 무엇은 보편성을 갖기 어렵고, 보편성을 갖기 어려운 그 무엇이라면 추구할 가치가 없을 거에요. 하여 저는 출세간하여 본디부터 존재한 그 무엇을 찾으려고 하는 것은 올바른 구도의 자세가 아니라고 봐요.

 

사진은 마곡사 대웅보전 주련이에요.

 

한자를 한 번 읽어 보실까요?

 

古佛未生前  옛고/ 부처불/ 아닐미/ 날생/ 앞전

凝然一相圓  엉길응/ 그럴연/ 한일/ 형상상/ 둥글원

釋迦猶未會  석가석/ 부처이름가/ 오히려유/ 아닐미/ 깨달을회

迦葉未能傳  부처이름가/ 사람이름섭/ 아닐미/ 능할능/ 전할전

本來非白  근본본/ 올래/ 아닐비/ 검을조/ 흰백

無短亦無長  없을무/ 짧을단/ 또역/ 없을무/ 긴장

 

낯선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은 冫(冰의 원글자, 얼음빙)과 疑(의심할의)의 합자예요. 의심하여 머뭇거리듯 날이 추워져 물이 흐르지 못하고 얼어 정체되어 있다는 의미에요. 이런 것이 바로 엉긴 상태죠. 凝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凝固(응고), 凝結(응결)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口(圍의 옛글자, 에워쌀위)와 員(인원원)의 합자예요. 둥그렇게 에워쌌다란 의미예요. 員은 음을 담당해요. 圓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圓滿(원만), 楕圓形(타원형)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釆(분별할변)과 睪(엿볼역)의 합자예요. 죄의 유무를 분별하여 살펴보고 무죄인 경우 풀어준다란 의미예요. '풀석'이라고 읽어요. 釋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釋放(석방), 保釋(보석)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석가석'이라고 읽는 것은 산스크리트어  Śākyamuni를 釋迦牟尼(석가모니)로 음역한데서 비롯된 거에요.

 

는 辶(쉬엄쉬엄갈착)과 加(枷의 약자, 칼가)의 합자예요. 본래 죄인의 목에 칼을 씌워 행동을 부자유스럽게 하듯 보행자들의 통행을 차단하는 물건이란 의미예요. 바리케이트라고 할 수 있지요. 산스크리트어  Śākyamuni釋迦牟尼(석가모니)로 음역하면서부터 '부처이름가'로 주로 사용하게 됐어요. 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伽藍(가람, 절), 迦陵頻伽(가릉빈가, 극락정토에 있는 새 이름)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艹(풀초)와 枼(입엽)의 합자예요. 초목의 잎새란 뜻이에요. '잎사귀엽'이라고 읽어요. 고을이름일 때는 '섭'으로 읽기도 해요. 葉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落葉(낙엽), 葉縣(섭현, 하남성에 있는 고을 이름)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산스크리트어 Kāśyapa을 迦葉(가섭)으로 음역하면서부터 '사람이름섭'으로도 사용하게 됐어요.

 

는 본래 草로 표기했어요. 草는 艹(풀초)와 早(일찍조)의 합자예요. 도토리[艹]란 의미예요. 早는 음을 담당하죠(소리값 변함. 조-->초). 도토리를 물에 불리면 물빛이 거무스름해지죠. 그 물로 염색을 하기도 했어요. 그래서 검다란 의미도 갖게 됐죠. 후에 '도토리, 검다'란 의미는 艹를 뺀 '皂' 혹은 '皁'로 표기하게 됐고, 草는 초본과 식물이란 의미로 사용하게 됐어요. 皂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皂物(조물, 도토리), 皁巾(조건, 검은 두건)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의 한자를 허벅지에 열심히 연습하시오.

 

   엉길응   둥글원   풀석, 석가석   부처이름가  잎사귀엽, 사람이릅섭   검을조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    (   )牟尼  (   )    (   )   (   )滿    (    )

 

3. 다음 시를 읽어 보시오.

 古佛未生前/ 凝然一相圓/ 釋迦猶未會/ 迦葉未能傳/ 本來非白/ 無短亦無長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cyrus 2016-02-09 21: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공들여 쓰신 글에 이런 말을 하면 안 되지만, 열린책들 이벤트에 참여하려면 열린책들에서 나온 책들을 찍은 사진을 올려야 합니다.

오늘 찔레님의 글을 읽게 돼서 늦게 설날 인사를 하게 되네요. 연휴 잘 보내셨지요? 마지막 연휴 잘 보내시길 바랍니다. ^^

찔레꽃 2016-02-09 22: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하, 그런가요? 전 뭔가 뜨기에 그냥 체크했을 뿐인데... 그만 둘랍니다. ^ ^ cyrus님도 연휴 잘 보내시길! 늘 관심 가져주셔서 감사해요.

cyrus 2016-02-11 19:13   좋아요 0 | URL
열린책들 출판사에 나온 책이 있으면 사진 찍어 올리면 됩니다. 한 번 참여해보세요. ^^

찔레꽃 2016-02-12 08: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쉽네요? ^ ^ 딸 아이가 즐겨 읽던 베르베르의 소설과 제가 읽었던 에코의 소설이 있는 것 같은데... 한 번 응모를? 좋은 정보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