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 이게 왠 일이야! 급 행복해지네!!"
연말정산을 해보니 근 50만원 가까이 물어내게 됐어요. 호봉이 높고 공제될 항목이 많지 않으니 어느 정도 예상은 했지요. 그래도 이렇게 많이 내게 될 줄은... 막상 물어낼 금액을 대하니 약간 허탈하더군요. 그런데 담당자에게 서류를 냈는데, 내야 할 액수가 5만원 가량으로 줄은 거예요! 기쁨의 탄성이 절로 나오며 급 행복해졌어요. 이유는 장인 어른이 인적공적에서 빠졌기 때문이었어요. 공제신고서에 이름을 등록하긴 했지만 공제 항목을 체크 저장하지 않았던 거지요. 오류를 잡아준 담당자가 얼마나 고맙던지... 보태어, 행복이 참 별거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사진은 영화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의 한 장면이예요. 박창희(이병헌 분)가 가네마루(송영창 분)를 죽인 뒤 그의 방을 걸어 나오는 장면이죠. 가네마루는 박창희에게 지도를 회수해 오라고 했는데, 박창희는 엉뚱한 물건을 가져오죠. 게다가 가져온 물건을 내놓기 전 가네마루에게 예정했던 액수보다 과도한 보수를 요구하구요. 가네마루는 비위가 상했지만 애써 감정을 삭이며 박창희가 요구하는 액수를 준다 하죠. 그런데 엉뚱한 물건을 건네받자 분노가 폭발하여 박창희를 욕하고, 이에 격분한 박창희는 가네마루의 목에 칼을 꽂죠. 격한 감정때문에 서로 욕하고 살인까지 저질렀지만 기본적으론 돈 때문에 발생한 일이죠.
많은 경우 돈은 사람을 울리기도 웃기기도 죽이기도 하고 살리기도 하죠. 하여 오죽하면 돈에다 신의 위치를 부여하여 전신錢神이란 말까지 만들었겠어요. 사람이 만들어낸 물건이지만 사람을 지배하는 것이 바로 돈이죠. 저 자신 조금은 돈에 초월적인 사람이라고 생각했는데 연말정산을 하면서 저의 속물근성을 보게 되었어요. 돈을 덜 내게 되자 환호성을 지르고 행복까지 끌어들이는 것을 보니 철저히 속물이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저도 전신의 지배(?)를 받고 있다는 걸 뒤늦게 깨달았어요.
사진의 한자를 읽어 볼까요? 탐욕스러운 가네마루여서 그런지 집에도 돈에 관계된 액자가 즐비하군요.
재보만실財寶滿室, 부귀길상富貴吉祥, 금옥만당金玉滿堂이예요. 재보만당은 재물과 보물이 집(방)에 가득하다란 말이고, 부귀길상은 부하고 귀하고 길하고 상서롭다란 말이예요. 금옥만당은 황금과 옥이 집에 가득하다란 말이고요. 모두 부귀공명을 바라는 말들이지요. 재財는 재물재, 보寶/宝는 보배보, 만滿은 가득할만, 실室은 집(방)실이라고 읽어요. 부富는 부유할부, 귀貴는 귀할귀, 길吉은 길할길, 상祥은 상서로울상이라고 읽어요. 금金은 쇠금, 옥玉은 구슬옥, 당堂은 집당이라고 읽어요.
낯선 한자를 좀 자세히 살펴 볼까요?
吉은 士선비사와 口입구의 합자예요. 학문과 덕행을 닦은 선비의 입에서 나오는 말은 다 좋은 말이다란 의미예요. 吉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吉運길운, 吉兆길조 등을 들 수 있겠네요.
祥은 示(神의 약자, 귀신신)과 羊양양의 합자예요. 양처럼 순하고 착한 이에게 신이 내리는 복이란 뜻이예요. 상서롭다란 의미는 본뜻에서 연역된 거예요. 복은 좋은 것이다란 의미로요. 祥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祥瑞상서, 嘉祥가상 등을 들 수 있겠네요.
金은 土흙토와 흙속에 묻혀있는 금\ /과 소리를 담당하는 今이제금 의 합자예요. 처음에는 백금인 은, 청금인 납, 적금은 동, 흑금인 철, 황금인 금을 통칭하는 의미였는데 후에 황금이란 의미로만 사용하게 되었어요. 황금이 이들 다섯가지 금 중에서 가장 우수하여 대표가 된 것이죠. 金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黃金황금, 金錢금전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의 한자를 허벅지에 열심히 연습하시오.
吉 길할길 祥 상서로울상 金 쇠(황금)금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쓰시오.
黃( ) ( )兆 ( )瑞
3. 다음을 한자로 써 보시오.
부귀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