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 왕께서 음악을 심히 좋아한다고 들었나이다.

 

양혜왕: (얼굴 빛을 붉히며) 제가 좋아하는 것은 선왕의 고상한 음악이 아니라 세속한 저급한 음악입니다.

 

맹자: 왕께서 음악을 좋아 하신다면 제나라는 잘 다스려질 것입니다. 음악에는 고상한 음악과 저급한 음악이 따로 없습니다.

 

양혜왕: 그게 무슨 말씀이신지요?

 

맹자: 혼자 음악을 즐기는 것과 다른 이와 함께 음악을 즐기는 것 중에서 어느 것이 더 즐겁겠습니까?

 

양혜왕: 그야 다른 이와 함께 즐기는 것이 더 좋지요.

 

맹자: 소수의 사람과 음악을 즐기는 것과 다수의 사람과 음악을 즐기는 것 중에서는 어느 것이 더 즐겁겠습니까?

 

양혜왕: 그야 다수의 사람과 함께 즐기는 것이 더 좋지요.

 

맹자: 이제 대왕께 음악과 정치의 상관에 대해서 말씀드려 보겠습니다. 왕께서 음악을 즐기는데 백성들이 음악 소리를 듣고, "저 지긋지긋한 음악 소리! 저 음악 때문에 우리 부자와 형제처자는 이산가족이 되지 않았는가!" 하거나, 왕께서 사냥을 나가시는 걸 보고 "저 보기도 싫은 행렬! 저 사냥질 때문에 우리 부자와 형제처자는 이산가족이 되지 않았는가!" 한다면, 이는 다른 이유가 아닙니다. 대왕께서 백성들과 함께 즐기지 않으셨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반대로 백성들이 대왕의 음악소리와 사냥행렬을 대하여 "대왕께서 무탈하신가 봐. 음악도 즐기고 사냥도 하시네!" 한다면, 이는 다른 이유가 아닙니다. 대왕께서 백성들과 함께 즐기셨기 때문입니다. 대왕께서 백성과 더불어 함께 즐기신다면 제나라는 잘 다스려질 것입니다.

 

 

사진의 한자는 '동락정'이라고 읽어요. 함께동, 즐거울락, 정자정, '함께 즐기는 정자'라는 뜻이지요. 동락의 의미는 <맹자>에 나오는데, 해당 부분을 인용해 봤어요. 백성이 지배자의 도구와 수단에 불과하던 시절 맹자는 백성이야말로 가장 존귀한 존재이며 지배자는 백성과 함께 할 때 성공할 수 있다고 주장했죠. 당대에는 너무 우활한 주장을 한다하여 무시 당했지만 맹자의 주장은 시대가 흐를수록 정채를 발했고, 지금도 여전히 그 빛을 잃지 않고 있죠. 사진은 고창읍성에서 찍은 거에요. 경인년(2010년) 맹춘(초봄)에 설곡이란 분이 쓰신 걸로 되있네요. 동락, 새삼스레 그 의미가 간절하게 느껴져 셔터를 눌렀어요.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은 凡(범인범, 평범한 사람. '무릇범'으로도 많이 사용)과 口(입구)의 합자예요. 많은 사람들의 말하는 내용이 한가지다(동일하다)란 의미예요. '함께'란 의미는 본뜻에서 연역된 것이지요. 하나가 되려면 함께해야 한다는 의미로요. 同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同苦同樂(동고동락), 同志(동지)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두가지로 설명해요. 하나. 나무 거치대[木] 위에 큰 북[白]과 작은 북[幺] 두 개를 설치한 모습이다. 둘. 거문고나 비파의 초기 형태를 표현한 것으로, 울림통[木] 위에 늘여놓은 현줄[幺幺]의 모습을 그린 것이다. 가운데[白]는 현줄을 누르고 있는 손가락을 그린 것이다. 둘 다 일리가 있죠? 어떤 식으로 설명하든 樂을 '음악, 악기'라는 의미로 보는 것은 동일해요. 樂은 '음악악, 즐거울락, 좋아할요'의 세 가지 뜻과 음으로 사용해요. 본래의 의미 -- 음악, 악기-- 에서 연역된 것은 짐작하실 수 있겠죠? 樂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音樂(음악), 娛樂(오락), 樂山樂水(요산요수)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高(높을고)의 축약형과 釘(못정) 축약형의 합자예요. 사물을 고정시키는 길쪽한 못처럼 높다랗게 특정 지역에 설치하여 나그네들을 안정시키는 집이란 의미예요. 진한시대에는 10리 마다 이 정을 설치하여 도둑을 방비하고 나그네들이 묵어갈 수 있게 했어요. 지금 우리가 생각하는 '정'과는 좀 다른 용도였죠. 亭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樓亭(누정), 亭子(정자)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의 한자를 외울 때 까지 허벅지에 열심히 연습하시오.

 

    함께동  즐거울락  정자정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쓰시오.

 

    娛(   )  樓(   )  (   )苦(   )樂

 

3. 다음을 손바닥에 한자로 쓰시오.

 

    동락정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양물감 2016-01-21 18: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늘은 쉽네요. ^^

찔레꽃 2016-01-21 22:3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하양물감님을 위해 일부러 쉽게 한 건 아니었는데... 묘하게 그렇게 됐네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