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에 바닷가에 나갔다가 사진을 한 장 찍었어요. 질문, 사진 속의 배는 움직이고 있는

             걸까요? 정지해 있는 걸까요? ^ ^  어떤 스님의 대답을 빌어 멋지게 대답하면, 사진 속

             의 배는 움직이고 있는 것도 정지하고 있는 것도 아닙니다. 그저 제자리에 있을 뿐 입니

             다. 움직이거나 정지한 것은 님의 마음일 뿐입니다. ^ ^                                          

 

             각설. 바닷가에 외로이 떠있는 배를 보면 늘 생각나는 노래가 있어요.   


             저기 떠나가는 배 거친 바다 외로이                                                                
             겨울비에 젖은 돛에 가득 찬바람을 안고서                                                        

             언제 다시 오마는 허튼 맹세도 없이                                                                
             봄날 꿈같이 따사로운 저 평화의 땅을 찾아                                                        

             가는 배여 가는 배여 그 곳이 어드메뇨                                                                 
             강남길로 해남길로 바람에 돛을 맡겨                                                                  

             물결 너머로 어둠 속으로                                                                                 
             저기 멀리 떠나가는 배                                                                                

             너를 두고 간다는 아픈 다짐도 없이                                                                
             남기고 가져갈 것 없는 저 무욕의 땅을 찾아                                                        

             가는 배여 가는 배여 언제 우리 다시 만날까                                                         
             꾸밈없이 꾸밈없이 홀로 떠나가는 배                                                                

             바람소리 파도소리 어둠에 젖어서 밀려울 뿐                                                     
             바람소리 파도소리 어둠에 젖어서 밀려올 뿐                                                       

 

             정태춘씨의 '떠나가는 배'에요. 정태춘씨의 초기 노래중 대표적인 노래이죠. 정씨 스스

             로 현실도피적인 노래였다며 자폄(自貶)한 곡이긴 하지만 애상적인 곡조와 시적인 가

             사로, 본인의 생각과 달리, 널리 대중들에게 사랑받았던 곡이죠. 청춘의 한 시절 저도

             즐겨 불렀어요. ^ ^                                                                                  

 

             가사의 핵심 단어는 평화(平和)와 무욕(無欲)이에요. 그런데 왜 정씨는 평화와 무욕의

             땅을 찾아가려는 것을 현실도피적이었다고 자폄했던 것일까요? 그렇죠! 현실에서 평화

             와 무욕을 찾으려하지 않았기 때문이지요. 그런데, 역으로 되짚어, 과연 현실에서 평화

             와 무욕을 찾을 수 있긴 한걸까요? 제가 보기엔 성취불가능한 가치가 아닌가 싶어요.        

             생명있는 존재에게 어찌 평화와 무욕을 기대할 수 있겠어요. 그건 무생명체에게나 가능

             한 것이지요.                                                                                           

 

             그렇다면 현실에서 가능한 가치는 무엇일까요? 맹자의 표현을 빌면, 가욕(可欲)과 과

             욕(寡辱)이 아닐까 싶어요. 보편적으로 인정받을만한 욕심을 내는 것을 가욕이라 하고,

             욕심을 줄이는 것을 과욕이라 하지요. 보편적으로 인정받을만한 욕심[가욕]이란 물질

             적인 욕심이 아니고 선(善)에 대한 욕심이고, 욕심을 줄이는 것[과욕]은 물질적인 욕

             심을 절제하는 것을 의미해요. 현실에서 가능한 가치는 모든 악이 사라진 평화와 아무

             런 욕구가 없는 무욕이 아니라 욕심의 긍정적 방향전환[가욕]과 절제[과욕]이지요. 유

             교에서 평천하(平天下)의 바탕에 수신(修身)을 두는 것은 바로 이런 이유때문이에요.

 

             정태춘씨는 이후 '떠나가는 배'류의 노래보다는 '아 대한민국'같은 류의 현실고발적인

             노래들을 부르지요. 정태춘씨의 이러한 방향 전환이 현실에서 평화와 무욕을 실현하겠

             다는 의지를 담은 것인지, 아니면 제가 말한 가욕과 과욕의 가치를 실현하겠다는 의지

             를 담은 것인지는 모르겠어요. 그러나 분명한 것은 정씨가 노래에 대한 가치 의식을 개

             인에서 사회로 고양시켰다는 점이에요. 훌륭하다고 평가할 수 있는 대목이죠.        

 

             그런데 아쉽게도 정씨는 현실고발적인 노래를 부른 이후 일반 대중들과는 거리가 멀어

             졌죠. 아마 경제적인 타격도 꽤 컸을 거에요. 그러나 자신의 길을 꿋꿋이 걸은(걷고 있

             는) 그의 모습은 많은 이들에게 깊은 감명을 줬죠(주고 있죠). 저도 그런 감명을 받은

             사람중의 하나에요. 정태춘씨는 대장부 가수에요. 맹자는 대장부를 이렇게 정의하죠.

              "천하의 가장 넓은 집에 거처하며 천하의 가장 바른 자리에 서서 천하의 대도를 행한다.

             부귀가 그를 타락시키지 못하며 빈천이 그의 뜻을 굽히게 하지 못하며 위세가 그를 굴

             종시키지 못한다."                                                                                    

 

             정태춘씨를 너무 높였나요? ^ ^ 아무튼 한국의 '빅토르 하라'라는 말을 들을만한 가수입

             니다. ^ ^                                                                                                            

 

 

             한자를 알아 보도록 할까요? '떠나가는 배'의 키워드인 平和와 無欲을 알아 보도록 하죠.

             平은 평평할평, 和는 화(목)할화, 無는 없을무, 欲은 바랄욕이에요. 다 아시죠? ^ ^;;

 

             平, 和, 無는 전에 다뤄서 欲만 좀 자세히 알아 보도록 하겠어요.                                     

 

            은 谷(골짜기곡)과 欠(모자랄흠)의 합자에요. 모자라기에 채우고자하는 마음이란

             뜻이에요. 谷은 음을 담당하는데(곡 -->욕)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골짜기에 물이 쉽

             게 채워지지 않듯 쉽게 채워지지 않는 마음 상태란 의미로요. 欲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欲望(욕망), 欲心(욕심) 등을 들 수 있겠네요. 欲은 慾으로도 표기해요.       

 

             오늘은 정리 문제가 필요없겠죠? ^ ^ 대신 정태춘씨의 노래를 들어 보도록 하죠.        

             내일 뵈요~ :-)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카타유 2016-01-01 12: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금년 총선이 걱정이네요. 새해 복많이 받으세요.

찔레꽃 2016-01-01 13: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 걱정이에요. 님께서도 새해 복많이 받으셔요. (_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