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트한테 이 차도 팔 수 있었을지 몰라. 내가 왜 안 팔았지? 열 명은 더 구했을 거야. 열 명... 열 명은 더 살릴 수 있었는데.”

 

영화 쉰들러 리스트의 한 대사이다. 쉰들러는, 주지하는 것처럼, 본래부터 유대인 구조에 뜻이 있었던 사람이 아니었다. 자신의 사익 추구를 위해 불가피하게 유대인을 고용했다 회심하여 진심으로 유대인을 구하기에 나선 사람이다. 본의 아니게 선행을 하게 된 사람, 이라고 말해도 무방하다.

 

물려줄 건 가난밖에 없어요.”

 

장 외조카가 입버릇처럼 하는 말이다. 자녀에게 재산을 물려주면 분란만 일어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공감하면서도(그런 사례를 많이 봤기에) 마음 한구석에 의문이 인다. ‘혹시 가진 재산이 많지 않고 자녀도 많기 때문은 아니시고?’ 그러나 분명한 건 장 외조카가 본의 아니게 선행을 하게 된 사람, 이라는 점이다. ()의 대물림이 없어 사회의 공익 증가에 기여했기 때문이다.

 

전국시대 기세를 떨쳤던 묵가 사상이 일순간에 사라진 것에 많은 이들이 의문을 품는다. 그 원인을 추정하는 언급 중에 사적 정서와 이익을 과도하게 억제했기 때문이라는 주장이 있다. 공감이 간다. 공익을 중시해야 한다는 것을 모르는 바 아니지만, 그것이 과도하게 개인의 정서와 이익을 억제하면 그 어떤 주장도 오래가기 어렵다. 사회주의나 공산주의가 자본주의를 압도하지 못한 것도 그런 이유 때문이 아니겠는가.

 

그러나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 사상이라 해도 그 정신 자체가 무의미하지는 않을 것이다. 묵가 사상이나 사회주의 혹은 공산주의가 강조하는 공익의 가치를 그 누가 무시할 수 있겠는가. 그 정신은 길이 남을 터이다.

 

사진은 대대손손(代代孫孫)’이라고 읽는다. ‘자손에서 자손으로 대를 이어라고 직역할 수 있겠고, ‘영원히라고 의역할 수 있겠다. 전통시장에서 산 뱅어포 포장지에 쓰여있는 글씨이다. 1950년에 가게가 시작됐다는 내용을 덧붙여 전통 있는 가게의 믿을만한 제품이란 의미로 사용한 듯하다.

 

대대손손문구 자체의 의미는 무애무덕하고 외려 긍정적인 의미도(전통의 계승이라는) 있으나, 이 말이 사익과 연결되면 일순간에 부정적인 의미로 전락한다. 비아냥 혹은 욕설로 사용하는 대대손손 잘 먹고 잘살아라!”가 그것이다. 이 말은 공익의 가치를 무시하고 사익의 추구에만 혈안이 된 이들을 질타하는 말이잖은가. 공익을 과도하게 추구하는 것도 문제이지만 사익의 과도한 추구 역시 문제인 것이다. 더구나 그것이 대를 이어 지속된다면 문제는 더 심각해진다. 사회에는 재화의 양이 한정돼있는데 그것이 소수에게만 지속해서 집중된다면 사회가 안정을 잃고 불안이 가중될 것이기 때문이다.

 

시장의 일개 점포 주인이 대를 이어 장사한다고 사익에 혈안이 된 이들이라고 보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분명한 건 우리 장 외조카에 비해 의도치 않은 공익 기여에는 한 걸음 뒤 쳐진다는 점이다. 장 외조카의 본의 아닌 선행은 그 자체로는 무의미하기까지 하지만 대를 이어 사익을 추구하는 이와 대조하면 큰 가치와 의미를 지닌다.

 

을 자세히 살펴보자.

 

(사람 인)(문지방 익)의 합자이다. 중간에 있으면서 내외를 이어주는 문지방처럼 내용과 형식을 바꿔 이어간다는 의미이다. 대신할 대. 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 代身(대신), 代理(대리) 등을 생각할 수 있겠다.

 

(아들 자)(이을 계)의 합자이다. 아들 뒤에 계속되는 존재, 즉 손자라는 의미이다. 손자 손. 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 子孫(자손), 孫婦(손부) 등을 들 수 있겠다.

 

그대는 자녀에게 어떻게 하고 있는가, 라는 질문이 귓가에 들린다. 하하, 인터넷에 글 따위나 끄적거리는 백면서생에게 무슨 물려줄 재산이 있겠는가! 얘들아, 그러나 이 아빠는 본의 아니게 공익의 가치를 높이는 매우 훌륭한 행동을 하고 있단다. 아빠를 너무 무시하지 말렴. 하하하.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카스피 2021-05-29 03: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삼성을 필두롷 한 우리의 많은 기업들이 직원들을 고용하기 위해 사업을 한것은 아니겠지요.물론 유일한씨같은 분들이 계시지만 대부분 자기의 부와 그 부를 자식들에게 물려주기 위해서 열심히 일을 한 것일 겁니다.자식에 대한 사랑과 애착이 없다면 굳이 밤낮을 가리지 않고 일할 필요가 없으며 또 가족들도 그걸 알기에 일정부분 희생을 감내하는 것이 겠지요.개인적으로 경제활동을 하면서 제대로 세금을 냈다고 한다면 자식에게 물려주는 재산에 대해 굳이 과도하게 증여나 상속세를 물리는 것은 좀 과하단 생각이 듭니다.물론 남양우업처럼 부정적인 느낌을 주는 기업들도 있지만 님이 말씀처럼 과도하게 사적재산에 대해 부정시 한다면 누가 자신을 희생하면서 기업을 일으킬지 모르겠군요^^;;;

찔레꽃 2021-05-31 11: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요는 공익과 사익의 적절한 균형일 것입니다. 현 우리 사회는 이 균형이 많이 깨진 것 같아요. 그리고 이는 사익 추구에 무게추가 더 실려있기 때문이 아닌가 싶습니다. 사익 추구가 과도하게 되면 불평등이 심화되고 이는 사회문제로...개인의 노력으로 성취한 부는 당대에 족하고 자손에게는 가급적 대물림 안하는 것이 공정사회를 위한 첫걸음이지 않을까 싶어서... ^ ^ 논쟁하고 싶은 마음은 없습니다 ^ ^ 그럴 역량도 안되고요. 그냥 저런 생각하는 사람도 있구나 생각해 주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