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죽음과 함께 사라지는가 - 달라이 라마와 유전자의 생명토론
아리 아이젠.융드룽 콘촉 지음, 김아림 옮김 / 영림카디널 / 2018년 5월
평점 :
절판


나는 기독교지만 너무도 사랑하는 반려묘를 잃게 된 후 불교의 '윤회사상'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너무도 그리워서 언제 어떤 모습으로라도 내 곁에 돌아오길 바라며, 그렇게라도 사랑하는 반려묘를 볼 수 있다면 무슨 짓이라도 하고 싶을 정도로 그리움이 아주 컸다. 그때부터 불교의 문화에 관심을 갖게 되었는데 이 책은 기독교든 불교든 믿는 종교를 떠나서  종교와 과학의 콜라보 강연처럼 윤회사상과 최신 생물학 지식이 서로 통할 수 있음을 가르쳐준다. 서구 과학의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불교의 관점이 이들에게 새로운 길을 열어줄 수 있음에 신기하면서도 놀라웠다.

미국의 생물학자가 불교 티베트 승려들에게 과학을 가르쳐주고 승려들은 자신들의 관점으로 과학을 풀어내고 또 이해하려는 부분들이 참 놀랍고도 신비로웠다. 인도의 '다람살라'에서 시작된 달라이 라마와 유전자의 생명 토론의 프로젝트는 미국 에모리 대학교 생물학 교수인 아이젠과 티베트 승려들의 인연으로 시작된다. 책의 도입부에 '세균도 의식이 있는 존재인가?'라는 물음에.. 개미나 벌레는 몰라도 세균이?라며 고개를 젓게 되었다. 그러나 세균 속에 우주가 있다는 말이 무슨 말인지 책을 통해 깨닫게 되었다. 세균이 어떤 목적을 가지고 움직이기 때문이다. 증식을 시키고 먹을 것을 찾아 나서는 것을 보며 세균 또한 의식이 있는 존재가 아닐까?라는 질문을 하게 된다. 그렇다면 불교의 사상을 따라가보면 누군가는 세균으로 환생할 수도 있고 세균도 사람으로 환생할 수도 있다는 것 아닌가? ' 그러니 우리 모두는 세균에게 연민과 관심을 가져야 한다'라는 결론을 내게 된다. 사실 인간의 몸속 한 곳 한 곳에 자리한 세포는 아무것도 아닌 것 같지만 우리 몸에 있는 인간 세포보다 세균세포가 더 많고 우리가 아는 유전자 암호 보는 거의 절반이 바이러스에서 기원했다고 한다. 


별것 아니라고 생각한 몸속 세포 하나가 우리 몸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굉장히 많은 역할을 한다는 것, 어찌 보면 내 몸의 주인이 내가 아닐 수도 있다는 심오한 말은 많은 생각이 들게 만들었다. 죽음 이후의 생각은 해보지 않았는데 죽음에서 탄생까지 그리고 탄생에서 죽음에 이르기까지 매 순간 살면서 동시에 죽고 그렇게 생은 이어진다는 말이 머릿속에 남는다. 과학은 근거를 바탕으로 이야기하지만 종교와의 협력을 통해 새롭고 무한한 가능성을 열어준 것과 인간은 결국 서로 의존하는 존재이며 지구라는 행성에 사는 모든 생명체는 서로 기대며 의존하며 살아간다는 것을 배웠으며 마음의 평정을 유지할 수 록 삶은 행복해지는 반면 자기중심적이고 이기적일수록 우리가 겪게 되는 불행과 두려움은 배로 커진다는 것도 기억에 남는다. 이 부분은 익히 알고 있었지만 또다시 배우게 되었다. 세속 윤리를 어떻게 과학적 논의와 연결할 수 있는지 궁금했는데 종교를 믿는 사람이라면 확실히 과학과 종교, 윤리를 바라보는 달라이 라마의 생각을 이해하기가 훨씬 쉬워질 것 같다. 어렵게 읽은 책이었지만 읽고 나니 신비롭고 감사하다. 장차 10년에 걸쳤던 달라이 라마와 미국 에모리 대학교수들의 프로젝트를 책으로 만나게 되어 영광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