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례함의 비용 - 막말 사회에 더 빛나는 정중함의 힘
크리스틴 포래스 지음, 정태영 옮김 / 흐름출판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때리는 폭력만이 폭력이 아니다. 언어폭력 또한 폭력이다. 책을 통해 막말 사회에서 더욱 빛날 수 있는 정중함의 힘에 대해 배웠다. 그리고 어떠한 상황에서도 '끝까지 매너는 챙겨라'라고 말하는 저자의 말을 꼭 명심해야겠다. 이 전 직장에서 상사의 폭언으로 마음의 상처를 많이 받았고 그로 인해 퇴사를 결심했던 나는 책의 내용들이 참 많이 공감되었다. 무례한 상사를 겪으며 직원의 업무능력은 현저히 떨어질 수밖에 없으며  그로 인해  실질적으로 회사에 손실이 일어날 수밖에 없다. 실제로 무례한 상사로 인해 유능한 직원이 퇴사할 경우 연봉의 4배 정도의 손해를 보게 된다고 한다.


그런데 무례함을 '무지의 산물'이라 표현하는 저자의 말처럼 막상 자신이 상대에게 얼마나 무례한 행동을 하고 있는지 모르는 사람들이 참 많다. 남들이 내게 무례하게 구는 것은 못 참아도 자신이 무례한 행동을 하고 있는지 그에 대한 인지조차 제대로 못하는 경우가 태반이다. 직장인들 대부분이 사람과의 관계에서 스트레스를 가장 크게 받고 있다. 업무 스트레스보다 인간관계로 인한 스트레스가 더 많다는 뜻이기도 하다. 나도 생각지 못하고 인지하지 못한 무례함은 없을까 궁금했는데 책을 통해 자가 진단도 해볼 수 있었고  책 속의 사례 등을 통해 내가 미처 감지하지 못했던 무례함에 대해서도 다시 한번 생각해봤다.

책 속의 명언 '모두에게 정중하고, 다수와 친하게 지내고, 소수와 스스럼없이 지내고, 한 사람과 친구가 되고, 그 누구와도 적이 되지 마라'라는 명언을 남긴 벤저민 프랭클린의 말처럼 적을 만들지 않는 것 또한 살아가며 지켜야 할 부분이라 생각 든다. 특히 많은 사람들의 무례함은 언젠가는 그 대가를 꼭 치른다고 하니 무례한 행동엔 그에 대한 책임이 따른다는 것을 명심해야겠다. 내가 상대에게 대접받기 위해서는 나부터 상대를 존중해야 하고 정성껏 진심을 다해 대해야 함을 잊지 말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