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비밀의 요리책
엘르 뉴마크 지음, 홍현숙 옮김 / 레드박스 / 2009년 2월
평점 :
절판



 엘르 뉴마크, Elle Newmark 지음 | 홍현숙 옮김 | 레드박스 | 2009 3

  

 보통 소설을 읽으면 처음에는 지루해하다가 이야기가 본격적으로 전개되고 나서야 흥미가 생기는데 비해, 지금 이야기하려는 비밀의 요리책 : 요리책 속에 인류의 비밀을 감추다, The Book of Unholy Mischief’는 충격적이고 의뭉스러운 촌로(村老)의 죽음으로부터 말머리를 풀어나간다. 그래서 이 점이 독특하다 싶은 생각이 들만큼 처음부터 이야기에서 눈을 뗄 수가 없게 만들었다. 다시금 말해 그 만큼 재미있었다는 말이다.

 사실 책의 초반부에서 나는 영화 향수 : 어느 살인자의 이야기, Perfume’과 영화 일루셔니스트, The Illusionist’를 떠올렸다. 저자는 이야기 속 등장인물은 페레로 주방장을 통해 음식이 사람과 영혼을 교묘하게 움직일 수 있다는 사실을 이야기 여기저기에서 보여 주며 앞서 언급한 영화 속 줄거리를 떠올리게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소설은 환상적인 요리에 대한 세밀한 묘사를 계속해서 보여주면서도 앞서 소개한 영화가 보여준 전례를 그대로 따르지 않는다. 요리사를 순전히 요리하는 사람에 한정시키지 않고, 글로 된 기록을 모아야 하는 몇 안되는 귀족 아래의 일꾼으로 의미를 확장시킨다. 그리고 그 속에 영화 다빈치 코드, The Da Vinci Code’를 떠올리게 하는 기독교를 둘러싼 음모를 환상적인 요리사 이야기에 덧붙인다. 그래서 신비로운 조리법에 대한 이야기는 15세기 중세 유럽의 로마 교황의 권위를 약화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생각되는 숨겨진 그노시스파의 복음서를 찾아 쫓고 쫓기는 이야기로 바뀐다.
 
 

  돼지 발로 만든 음식의 느끼함을 가라앉힐 포도주 한 잔. 심지어 석류 한 개를 훔친 것 같은 사소한 일이 우리를 생각지도 못한 길로 인도할 수 있다. -  P. 135

 이런 이야기 전개 속에서 저자는 독자에게 자신이 살아 오면서 경험하고 느꼈을 것으로 보이는 교훈을 슬며시 집어 넣는다. 신기한 요리 이야기가 권력을 둘러 싼 살인과 음모에 관한 이야기로 필연적(必然的)인 바뀌는데도 저자는 이러한 필연도 결국은 사소한 우연(偶然)에서 시작한다고 말한다.

 사람들은 자기가 믿고 싶은 걸 믿지. 믿음이 사실보다 더 강력한 힘을 발휘한다.  – P. 451

 그 뿐만이 아니다. 아미란스 수플레를 통해서는 타임 패러독스 : 시간이란 무엇인가?’ ‘The Harmony 조화로운 인생 : 진정한 부를 이루는 5가지 절대 조건!’ 같은 책을 읽으면서 깨달았던 과거, 미래, 현재 지향형 시간관 중에서 현재 순간 집중해야 하면서도 과거와 미래에 중요성을 간과하지 않아야 한다는 사실과 믿음이 주는 강력한 힘에 대해 넌지시 독자에게 알려준다.

 그렇지만 아쉬움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특히 책 속 주인공 루치아노와 루치아노가 사랑했던 프란체스카의 이야기에서 허전함이 계속해서 남았다.

  하지만, 너무나도 재미있게 읽어 나갔던 책이라는 사실은 변함이 없기에 
읽어보기를 과감히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상사 매니지먼트
무라야마 노보루 지음, 신은주 옮김 / 은행나무 / 2009년 2월
평점 :
절판


 무라야마 노보루, 村山 昇 지음 | 신은주 옮김 | 은행나무 | 2009 2 
  

 나는 천상천하(天上天下) 유아독존(唯我獨尊)의 마음으로 내 윤리(倫理)와 가치(價値)를 통해 세상을 바라봤다. 그러던 것이 나이가 서른의 초입(初入)에 들어서면서부터 사람들과의 관계가 보이기 시작했고, 그 중요성 또한 스스로 깨닫기 시작하면서 전에는 눈이 가지 않던 책에도 왕왕(往往) 관심을 갖게 되었다. 지금 이야기하려는 책 상사 매니지먼트, Chief management’도 이러한 유형에 속하는 책이다.

 

  사실 한 5-6년 전에도 이 책과 비슷한 내용의 책을 읽은 적이 있다. 그때도 지금과 매우 비슷한 제목의 책을 읽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그 때에는 내 할 일만 신경 쓰는 것에도 모자란 시절이었던 탓에, 책을 읽으면서도 별로 공감하지 못했다. 그랬던 주제가 시간이 흐르면서 실제 생활에서 상사와의 관계를 통해서 내가 성취할 수 있는 일의 범위가 확장 될 수도, 축소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절감하면서 상사를 대하는 태도와 방법에 대해 큰 관심을 갖게 되었다. 게다가 상사와 마찰로 고민하는 많은 선배들의 모습 또한, 이 책에 대한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이 책 상사 매니지먼트는 상사를 자신의 일을 더욱 잘하게 해 주는 귀중한 자원이자 자신의 더 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정의한다. 그런데 앞서 언급한 대로, 이 책과 비슷한 주제의 책을 읽을 경험 덕분에 이러한 정의는 이미 알고 있었다. 그래서 여기서 이야기를 풀어 갔다면, 나는 이 책에 대한 관심을 금세 잃어 버렸을 것이다. 하지만, 이 책에서는 상사에 대한 정의를 여기서 마치지 않는다. 바로 아래와 같이 상사는 완벽해야 한다는 생각을 뛰어 넘어 결함이 있는 상사 역시 내가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활용할 수 있는 자원이 될 수 있다고 말한다.

 유능한 상사는 극소수에 지나지 않는다. 상사는 자원이므로, 석유도 정제가 필요한 것과 마찬가지로 상사의 활용은 내게 어떻게 정제하느냐에 달렸다.  
                                                 –         책의 서문 중에서 – 

  
 물론 이 책이 갖는 가치는 상사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 변화에 그치지 않는다. 상사가 있으므로 해서 개인이 더더욱 발전할 수 있다는 일반론을 넘어서, 큰 들에서 보면 상사와 부하 모두 뛰어난 비즈니스 성과를 얻으려는 공통 분모가 있는 사람들로 인식의 틀을 넓히고 공통의 목표를 추구하는 사람들이라는 흔히 잊어버리고 있는 사실을 상기시켜 준다. 그 뿐만 아니라 저자는 일을 하는 자세와 커리어 career를 관리하는 방법까지 매우 상세히 이야기한다.

 하지만 책을 읽으면서 마냥 좋았던 것은 아니다. 전에 사교력 : 유쾌한 인간관계의 기술이라는 책을 읽으면서, 사교를 위한 구체적인 노하우에 감탄을 하면서도 과연 이렇게까지 계산적으로 행동하면서 살아가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가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이 있었는데, 이 책을 읽으면서도 살짝 그 때와 비슷한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내용만 놓고 보면 지금보다 훨씬 간결하게 표현할 수도 있을 것을 너무 사족이 길게 만든 건 아닌가 하는 생각 또한 아쉬움으로 남는다. 다만, 하나의 컨셉, concept에 대한 강력한 디테일, detail이 일본 실용서의 특징임을 가만하면, 그래도 이 책은 봐줄 만 하다. (Inuit Blogged 님의 블로그를 참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액정 디스플레이 기술
네무라 쇼헤이 지음, 박규창 옮김 / 겸지사 / 200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네무라 쇼헤이, 苗村省平 지음 | 박규창•민석기 옮김 | 겸지사 | 2006년 3월

10년 전만 해도 액정, liquid crystal이라 해봐야, 손목 시계나 계산기 패널이 내가 주위에서 접할 수 있는 액정의 전부였다. 그랬던 것이, 당장 내 주위만 둘러 봐도 앞에 놓여 있는 LCD 모니터를 비롯해, 휴대전화기의 창 그리고 TV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한 액정 기기들이 있을 뿐만 아니라, 경제력의 문제만 아니라면 장만하고 싶은 액정기기도 널린 세상으로 바뀌었다. 이건 순전히 생산된 액정기기를 소비자의 입장에서 봐라 봤을 때 이야기다.

전형적인 소비자의 입장이었던 내 생각은 작년 이 맘 때쯤에서 바뀌었다. 뜬금없이 CNT, Carbon nanotube에 액정을 섞어서 실험을 해라는 이야기를 듣는 순간이 바로 그 때였다. 그리고 갖고 싶었던 멋진 액정 전자기기 속 액정은 내게 스트레스의 대상이 되었다.

이 책 ‘액정 디스플레이 기술’은 내가 흔히 읽는 소설이나 사회과학 류의 책이 아니다. 액정에 대한 것들을 전반적으로 설명한 전형적인 기술서이다. 그래서 이 책은 물리, 화학, 재료, 전자 같은 다양한 학문의 학제적 성격이 뚜렷한 액정의 역사에서 시작해 재료 특성, 패널 구조와 원리, 동작 모드, 개량 기술, 응용과 전망을 함께 아울러 설명한다. 액정이라고는 사용자 입장에서 벗어나 본 적이 없었던 지라
사실, 관련 논문을 봐도 액정에 대한 기초가 없는 터라 수박 겉 핥기 식의 이해 밖에 할 수 없었고, 당연히 그것을 응용해 새로운 것을 생각한다는 것은 언감생심(焉敢生心)이었다. 그래서 관련 책을 찾던 도중 운 좋게 이 책 ‘액정 디스플레이 기술’을 접할 수 있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액정을 과학과 기술의 입장에서 바라보면 액정은 매우 다양한 분야가 서로 얽혀 있는 분야다. 그래서 책의 내용도 화학에서 시작해 물리, 재료, 전자공학에 시뮬레이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고 있다. 각각의 내용이 이해하기 만만한 것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해서 각각의 분야에서는 아주 심화된 내용을 이야기하지는 않는다. 이런 측면에서 이 책은 내게 있어서 아주 적절했다. 기본적인 용어 이해에서부터 TN(twisted nematic), IPS(in-plane switching) 그리고 VA(vertically aligned) 모드에 대한 이해와 구동 원리까지 잘 설명해 주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액정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과 함께 내 일을 해나가는데 있어서 많은 도움과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었다.

그렇다고 해서 이 책에 아쉬운 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번역서가 가지는 어색한 표현이나 영어 표현을 무리하게 발음대로 표기한 점과 일본에서 2004년에 출간된 만큼 최근의 액정 연구 동향이 미비하다는 점이 특히 눈에 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한민국 20대, 일찍 도전하라! 2030 Passion Report 1
박현우 지음 / 라이온북스 / 2009년 1월
평점 :
절판



박현우 지음 | 라이온북스 | 2009 1

 

 지금 이야기하려는 책은 대한민국 20, 일찍 도전하라!’ 이다. 서른의 초입(初入)에 들어선지 얼마되지 않기는 했지만, 그래도 제목에서 지칭하는 20대는 분명아니다. 그래서 나와는 상관 없는 내용의 책이 아닐까하는 두려움과 동시에 어떤 내용을 담고 있을까하는 호기심을 가지고 읽을 수 있었다. 거기에 한 가지 더 덧붙일 것이 있다. 어림짐작으로 저자보다 내가 한 두살 정도 많을 것 같다는 것이다. 나보다 어린 사람의 성공기를 접하면서 행여나 시기나 질투에 정작 저자가 말 하고자하는 바를 놓치면 어쩌나 하는 조바심이 들었다는 사실이다. 특히, 살아온 인생이 주는 통찰력을 충분히 갖추지 못한 채 삶에 대해 논하며 자신의 삶을 모범답안인냥 제시하는 식이라면, 분명 짜증을 내며 마지막 책장을 덮을 모습을 쉽게 떠올릴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 책은 제목이 암시하는 그대로, 저자의 성공 이야기다. 그것도 보통 학교에 적을 두고 있을 학생 시절의 성공 이야기다. 시기가 시기인 만큼 졸업을 하고도, 적절한 직업을 구하지 못하는 경우가 부지기수(不知其數)인데, 저자는 한 회사의 경영자의 위치에 있으니, 사람들의 시선을 사로잡지 않을 수가 없다. 게다가 저자가 책에서 보여주는 그의 삶의 행적(行跡)은 그 과정과정이 사람들이 보통 생각하는 성공의 모습에서 벗어나 있다.  보통 여러 책에서 이야기되는 내용이 저자의 삶을 통해, 자신의 강점에 초점을 맞추어 비전을 설정하고 프로폐셔널(professional)의 모습을 바뀌어 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렇다고해서, 의아(疑訝)함 없었던 것은 아니다. 물론 책의 뒷부분에서 개인의 역량을 뛰어넘는 팀의 역량에 대해서나 대한민국을 먹여 살릴 기업으로 발전하고 싶다고 이야기하지만, 구색(具色) 맞추기에 가깝다는 느낌이 강했다. 아직까지는 자신의 성공을 뛰어 넘어 다른 사람들의 삶을 윤택하게 하는 것을 바라보기에는 모자람이 있어 보였다는 말이다. 실행의 중요성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것임이 분명하지만, 자연과학을 비롯한 여러 학문에 있어서는 실행만으로는 부족할 때가 자주 있다. 깊이있는 사고에서 오는 통찰력(洞察力)과 실행력이 함께 할 때만이, 진정한 혁신(革新)을 이룰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책을 비판적으로 읽을 필요가 있어 보였다.

  사실 책에서 보여준 저자의 모습은 정말 인상적이었다. 자신의 재능을 바탕으로 집약적이고 꾸준한 노력을 통해 탁월한 성취를 보이고자 하는 모습을 금세 알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거기에 머물지 않고, 시간의 흐름이 주는 원숙(圓熟)함을 바탕으로 지금 보다 더 높은 곳에서 자신의 성취 못지 않게 다른 사람의 삶까지 윤택하게 만들 수 있는 모습의 저자를 보고 싶다.  


덧말. 더 관심이 있다면 아래 블로그를 가보기를 추천.  

 
http://ozhey.tistory.com/161

http://withman.net/481

http://lucifer625.tistory.com/23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