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밀성노동의 핵심은 세심하게 타인이나 주변을 감지하고 신경쓰는 행위이며 attentiveness 타인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 특정한 물질이나 대상을 섬세하게 관리하는 행위도 친밀성노동에 해당한다. - P135
르포는 약자의 불행을 전시하는 게 아니라 약자를 양산하는 사회의 구조적 불평등과 부조리를 밝혀내는 작업이다. - P148
인간은 의식적으로는 자기 자신을 위해 생활하지만, 역사적이고 전인류적 목적 달성을 위해서는 무의식적인 도구 역할을 한다. - P17
왜 이게 검증되지 않은 가설이지? 나무가 이산화탄소 흡수하는 건 사실아닌가?
‘나무를 심으면 화석연료 탄소가 흡수된다’는 검증되지 않은 가설을 내세우면서 탄소배출권 시장이 형성되었고, - P41
재난이 젠더화된 이유는 재난 자체의 파괴력 때문이 아니다. 마치 호수의 물이 다 빠지고 밑바닥의 시체가 드러나듯이, 재난이 사회의 표면을 휩쓸어 버리고 사회의 실재를 전면에 노출하기 때문이다. 가부장제, 계급적 불평등, 인종차별, 불의, 부패, 엘리트의 위선, 국가권력의 무능력이 악취를 품으며 실제의 몰골을 드러내는 것이다. - P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