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로 간 과학자 - 태양과 화산, 유적이 있는 이탈리아, 그 자연과 문화를 찾아 떠난 여행!
안운선 지음 / 럭스미디어 / 2010년 5월
평점 :
절판


책을 첫 표지부터 꼼꼼하게 보게 만드는 단아한 모습의 저자 안운선씨는 화학자이며 1930년생이다. 80세가 되는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이탈리아를 여행하면서 책을 썼다는데 대해 일차적으로 감탄을 하게 된다. 나이 때문에 글이 진부할꺼라 생각하면 오산이다. 글의 전체적인 느낌은 젊은 배낭족이 적은 여행기처럼 에너지가 있고, 위트가 있기에 지루하지 않게 읽을 수 있었다. 또한 글을 청산유수처럼 써내려가서 읽고 보며 상상하는 오감을 만족시켰다. 이탈리아하면 많은 것이 있다는 걸 알지만, 딱히 나열하기엔 지식이 부족한 터였는데 이번 기회에 많은 것을 배우고 알게 되어서 역사를 새로 배운 느낌이 든다. 
 

저자는 이탈리아의 곳곳을 자유롭게 여행하면서 있는 그대로 표현하고 있다. 보통 여행서의 경우에는 그 지역의 좋은 점을 나열하고 나쁜 점은 은근슬쩍 감추려고 하는데, 이 책의 경우에는 저자의 경험을 토대로 불만족스런 부분까지 적혀있어서 오히려 실질여행에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 비둘기에게 먹이를 주라고 콩 한줌을 주면서 나중에 값을 내라고 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유리공예품을 만드는 공장에 들어가 공예품 만드는 시범을 보이고는 돈을 내라고 하는 행위를 당당하게 꼬집어 주는 지조 있는 지은이시다. 가끔 여행을 하면서 저지른 실수에 대한 이야기를 몰입해서 읽다보면 꼭 내가 저지른 실수 같아 얼굴이 붉어질 때도 있었다.

 


 

 

이탈리아는 도시국가로 분할되다가 19세기 후반에 단일 국가로 통일되었기 때문에 고유문화와 유적이 각 도시마다 잘 보존이 되어있다고 한다. 그래서 이탈리아를 제대로 여행하려면 단기간에는 어려울 것 같다. 저자가 쓴 여행기는 밀라노, 돌로미테 국립공원, 베네치아, 피렌체와 토스카나, 로마, 나폴리, 시칠리아를 중심으로 써내려갔다. 이탈리아 지명이 영어지명으로 흔히 불린다는 사실을 이번에 알게 되었다. 이태리(이탈리아), 시실리(시칠리아), 밀란(밀라노)은 영어로 부르는 지명이라고 한다. 반대로 영어보다 이탈리아어가 익숙한 경우도 있다. (로마, 나폴리, 토니로 등) 사진과 함께 여행지의 곳곳을 역사와 문화중심으로 설명을 하는데 돌로미테 국립공원에서 볼 수 있는 미주리나 호수의 절경은 사진으로 봐도 대단했다. 또한 피렌체의 두오모 대성당의 사진은 견고함과 웅장함을 사진으로도 느낄 수 있어서 너무 좋았다.

 


 

그런데 제목에서 보듯이 '과학자'의 이야기는 언제 나오나 싶은데, 책 곳곳에 Science Tip 을 두어 과학상식과 훌륭한 정보를 알려주고 있다. 'CO2의 양면성'에서 보면 우리는 이산화탄소의 부정적 기능만(온실효과) 부각시켜 알고 있었는데 긍정적 기능을 간과한 것에 대한 지적이 인상 깊었다. 또한 '지구온난화', '지하수'에 관한 내용을 보며 새삼 자연환경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주고 있었다. 과학자라서 그런지 여행했던 곳 중에서 박물관에 전시된 아이스맨을 보러간 일이 참 인상 깊다. 나또한 관심 있어 하는 부분이기에 자세히 읽어보게 되었는데, 빙하에서 발견된 미라가 오스트리아소속인지 이탈리아의 것인지의 논란 속에서 11m차이로 이탈리아가 승리했다는 부분이 참 재미있게 들렸다. 여행과 더불어 지식도 쌓게 된 이 책을 간직하며 언젠가 이탈리아에 가면 저자가 말한 곳을 꼭 둘러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