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퀀텀의 시대 - 인류 문명을 바꿀 양자컴퓨터의 미래와 현재
이순칠 지음 / 해나무 / 2025년 10월
평점 :

*본 서평은 서평단으로 선정되어 도서를 받아 작성하였습니다.
스마트폰이 처음 나왔을 때 사람들의 느낌이 이랬을까?
우리는 어쩌면 증기기관이 우리 사회를 바꿨을 때처럼, 컴퓨터 기술과 인터넷 통신이 우리 사회를 바꿨을 때처럼 변화의 기로에 있는지 모르겠다. 하루 하루가 갈수록 빅데이터 기술, AI 기술, 자율주행 기술, 양자컴퓨터 기술이 발전하고 우리 사회의 변화 시작을 알리는 것 같은 뉴스 타이틀을 볼때마다 나는 무엇을 준비하고 무엇을 알아야 하는지 걱정과 기대를 하고 있다. 그러나 그 기대와 달리 빅데이터 기술, AI 기술, 자율주행 기술, 양자컴퓨터 기술 등이 어떠한 원리로 운영되고 돌아가는지 잘 알지 못하고 어떤 회사와 나라가 이 기술을 주도하고 있는 알지 못한다는 사실은 나를 슬프게 하였다. 옛 격언처럼 모른다는 것은 잘못이 아닐 것이다. 배우려고 하지 않는 것이 잘못일 것이다.
그래서 이 책 『퀀텀의 시대』를 펼치게 되었다. 학창시절 물리에 약하다 못해 흔히 말하는 수포자가 아닌 물포자였다. 그런 나에게 목차의 양자역학이라는 단어는 책을 읽기전부터 두려움을 주었다. 두려움을 이겨내고 책을 읽다보니 완벽하게 이해는 못했을 지라도 양자역학이 무엇인지 양자역학이 어떻게 물리학을 바꾸고 영향을 주었는지 어렴풋이 알게 되었다. 그리고 그 기술이 어떠한 기술로 나아갈지도 배우게 되었다. 『퀀텀의 시대』는 과거, 미래 그리고 현재를 보여주며 양자컴퓨터가 무슨 원리인지 그리고 양자컴퓨터가 펼칠 미래를 보여준다. 양자역학에서 물체의 중첩이 양자컴퓨터의 1과 0의 중첩을 이해하게 해주었고 그것이 지금의 컴퓨터 속도를 뛰어넘을 거라는 기대는 빅데이터 기술, AI 기술, 자율주행 기술에 어떠한 영향을 줄지에 대한 기대로 옮겨지게 되었다.
우리는 선택할 수 있다. 시대의 흐름에 그저 떠내려가며 편승할지, 아니면 그 기술이 무엇인지 이해하며 그 시대의 흐름에 올라탈지 말이다. 새로운 것을 배우고 이해한다는 것을 어려울지 모르지만 그 노력은 우리를 배신하지 않을 것이다. 물리학을 싫어할지라도 관심이 없을지라도 『퀀텀의 시대』를 읽으며 우리에게 어떠한 미래가 펼쳐질지 읽어보는 것은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