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데일 카네기 내면성장론 ㅣ 데일 카네기 초판 완역본 시리즈
데일 카네기 지음, 이종인 옮김 / 현대지성 / 2025년 6월
평점 :

*본 서평은 서평단으로 선정되어 도서를 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데일 카네기의 책은 [인간관계론]을 통하여 알게 되었다. 학창시절 사람과의 관계에 어려움을 겪을 때 그 어려움을 해소하고자 찾다가 읽게 되었던 책이었다. 그래서 데일 카네기의 이름을 잊을 수가 없었다. 그때 이 책을 읽었던 경험이 나의 인간관계를 풀어나가는데 어느 정도 도움을 줬으리라고 생각이 들지만 정확히 기억이 나지는 않는다. 그래도 자기개발 강사로서 그리고 자기개발 서적의 저자로서 기억은 강력히 내 머리속에 심어졌다. 그래서 다시 한번 [인간관계론] 또는 그의 다른 서적을 읽고 공부해야 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다. 그러던 중, 그의 책 [내면성장론]을 알게 되었고 호기심이 생겨 읽게 되었다.
엄밀히 말하면 데일 카네기의 [내면성장론]은 자기개발서는 아니다. 에이브러햄 링컨, 미국 대통령의 전기이다. 자기개발서인줄 알고 읽게 된 책이었지만 링컨 대통령에 대한 흥미가 있었기에 읽기로 하였다. 내가 알고 있는 링컨 대통령의 이야기는 임기 중에 남북 전쟁이 있었고 노예를 해방하였고 누군가에게 암살을 당하였다는 것이 전부였다. 이 책은 그의 가난했던 어린 시절부터 뜨거운 사랑을 했던 청년기, 변호사와 의원을 거쳐 대통령이 되기까지의 이야기들이 담겨있다. 그의 삶은 항상 창창대로, 행복한 길만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정말 불우했던 어린시절, 교육의 기회가 부족하였음에도 독서와 지식에 대한 관심이 그를 있게 만들어 주었고 수많은 실패가 그의 성장을 도운 것은 아닌가 생각이 든다. 또한 그의 올바른 가치관은 그를 위대한 대통령이 될 수 있게 도와주었던 것 같다.
데일 카네기의 [내면성장론]을 읽으며 느꼈던 것은 성공 또는 목표의 달성을 위해서 개개인의 역량과 환경이 중요한 것 같다. 올바른 방향을 가지고 계속 배우고 도전하는 개인의 노력과 주위 가족이나 조력자의 푸쉬는 좋은 결과물을 만들어 주는 재료와도 같은 것 같다. 특히 이 책에서 링컨이 생각과 행동이 빠르지 않다고 이야기 한다. 그런 그를 움직일 수 있도록 재촉하고 압박한 그녀의 부인이 없었다면 우리가 생각하는 위대한 미국 대통령은 없었을 것이다. (그녀를 보는 관점이 바뀌고 있고 다양하지만) 그녀가 내조를 잘하고 링컨에게 행복을 갖다 준 것 같지는 않지만 그를 움직이게 만든 것은 사실이니까 말이다.
이 책을 통하여 3가지는 실천하고자 다짐했다. 첫번째는 끊임없는 배움, 두번째는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끊임 없는 도전, 마지막은 심리적 동기부여(마감일을 정하든, 내가 행동할 수밖에 없는 이유 설정등을 통하여)이다. 마지막 다짐을 정한 것은 나 또한 링컨처럼 행동과 생각이 빠르지 않기 때문이다. 도전도 중요하고 지식도 중요하지만 결국엔 행동을 해야 변화가 있을 거라는 생각때문이다. 나를 달달볶을 악처가 없다면 내 안의 악처를 만들어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