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먼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제목 그대로 '눈먼 자들의 도시'가 펼쳐진다.

작가는 어쩌면 나같은 독자를 위해 이 글을 썼는지도 모르겠다.

왜냐면... 등장인물들의 이름이 없다.

워낙에 소설책 등장인물의 이름 외우기에 약한 나는 읽고 있는 도중에 옆에서 쿡 찌르고,

"지금 읽는 책의 주인공 이름이 뭐야?"라고 물어도,

눈만 멀뚱멀뚱 쳐다보면서 "..." 답변을 하지 못 하기 때문이다.

 

나름 주인공도 있고, 주변인물도 있지만 처음부터 끝까지 그들은 '처음 눈 먼 남자' '의사' '의사부인'으로 불리어진다.

처음 부분에 나오는 이야기들은 순서대로 잘 기억해야할 필요가 있다.

운전하다가 신호대기에 서 있던 어느 순간 눈이 먼 남자로부터 이야기가 시작되면서, 그의 귀가를 도와준 남자, 그의 부인, 그를 치료목적으로 본 의사, 그리고 그 병원에 있던 다른 대기자들 등등 처음 눈이 머는 병이 시작된 사람(원인)으로부터 시작되는 이야기의 전개와 등장인물의 등장 순서에 따라 눈이 머는 병이 전염되기 때문이다.

 

평소에 아주 힘든 기억은 "까맣게" 잊었다라고 표현하고, 자기도 모르게 잊혀진 기억은 "하얗게" 잊었다라고 표현한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이 소설 속의 등장인물들은 모두 "하얗게" 세상이 변하는 "하얗게" 눈머는 병을 전염병으로 받고, 주게 된다.

 

유일하게 눈이 멀지 않은 '의사의 부인'은 눈먼 자들의 도시를 관찰하게 되고, 눈먼 자들의 집단이 어떻게 변해가는지를 그대로 표현하게 된다.

사람이 둘이상 모이면 '질서와 규칙'이 요구되는데, 정신병원이라는 공간에 처음 모이게 된 눈먼 자들의 집단은 그 집단이 거대화 되면서 점점 무질서와 무법의 세계로 변하고 그 안에서 강자와 약자가 생겨나게 된다.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 질서와 규칙으로 정신병원이라는 그들의 유일한 공간속 환경은 엉망이 되고, 유일하게 눈이 보이는 '의사부인'의 눈으로 본 그 광경은 지옥이 따로 없을 정도이다.

 

처음 한 남자로부터 시작된 눈머는 병은 온 세상이 다 걸리게되어, 더이상 그들을 한 곳에서 사육할 필요가 없어지면서 이야기는 또다른 사회를 보여준다.

그들 사이에서 서로 도우며 살아가는 모습, 그리고 비를 기다리는 그들의 모습에서 우리는 인간 사회의 아름다운 면을 잠시 찾아볼 수 있다.

그리고 눈 먼 순으로 다시 시력을 되찾게 되는 그들.

 

어쩌면 시력을 하얗게 잃었다가 다시 찾게되는 그 모습으로 작가는 사회의 질서와 규칙을 무시하는 이 사회의 '눈먼 자'들에게 경고를 보내는 것은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