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이 답이 되는 순간 - 어떤 세상에서도 살아가야 할 우리에게 김제동과 전문가 7인이 전하는 다정한 안부와 제안
김제동 외 지음 / 나무의마음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요에도 테스형을 부르는 가요가 나왔다. 소크라테스는 대화법으로 제자를 가르쳤다고 한다. 공자도 제자들과의 대화로 많은 제자를 거느릴 수 있었고, 덕 높으신 스님들은 선문답을 하시면서 세상에 대한 깨달음을 얻도록 했다던가...그래서 이 책의 제목 '질문이 답이 되는 순간'을 듣고는 테스형을 부르는 가수가 더 생각이 난거 같다.

김제동의 톡투유 프로그램을 졸린 눈을 비비며 매주 챙겨본 나는 사회자의 실력(특히, 말로 처음 본 사람들과 짧은 시간에 래포를 형성하고 무장해제 시켜 자신의 이야기를 풀어내도록하는 실력)과 청중들의 따뜻한 시선과 무대 위에 초대된 게스트의 전문가적 멘트와 무대 한켠의 가수들 그 모든게 너무도 따뜻하고 포근해서 챙겨보았더랬다.

이 책은 말로 풀어내는 실력이 대한민국의 으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김제동의 사회로 물리학자 김상욱 교수, 건축가 유현준 교수, 천문학자 성채경 교수, 경제전문가 이원재 대표, 뇌과학자 정재승 교수, 국립과천과학관 이정모 관장, 대중문화전문가 김창남 교수 이렇게 일곱 분의 인터뷰식 대화가 실려있다. 코로나시대 청중없는 톡투유를 보는 기분이었다. 조금은 알쓸신잡 같은 분위기도...

대학때 은사님 한 분은 박사는 아주 작은 부분만 깊이 공부하기 때문에 세상을 가장 모른다고 하셨다. 그런데, 한 분야에 깊이를 가진 사람들은 그 깊이있는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보기 때문에 일반 사람들이 보는 관점과 살짝 다르게(아니, 깊이있게) 해석하기도 한다. 물리학자 김상욱 교수의 세상은 멈춰있는 것이 하나도 없다는 이야기, 건축가 유현준 교수의 지하에 물류 터널을 만든다면 도시 모습이 완전히 달라질 것이라는 이야기, 천문학자 성채경 교수의 달 뒷면에 사는 사람은 집값이 쌀거라는 이야기, 경제전문가 이원재 대표의 재분배 이야기, 뇌과학자 정재승 교수의 사랑의 대차대조표 이야기가 내게는 대학때 은사님을 떠올리게 했다.

다행이도 사회자인 김제동님은 일반인이어서 나처럼 많은 분야에 관심이 많고, 알고 싶은 것도 많고, 전문가들을 만나기 전에 그들에 대해 조사하고 그들의 책을 미리 읽고 준비가 탄탄했기 때문에 전문가들에게 내가 궁금해할만한 질문을 쏙쏙 해주셔서 인터뷰를 읽으면서 내가 그 자리에 함께 앉아서 대화를 듣는 느낌까지 들었다.

두툼한 책 두께에 걸맞지 않게 금방 파르락 넘어간 책장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종이달 2021-12-04 01: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