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 사이 - 나답게 살기로 한 여성 목수들의 가구 만드는 삶
박수인.지유진 지음 / 샘터사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 학창시절 우리나라 가구브랜드의 양대 산맥은 썬퍼니처와 보루네오 였다. 지금은 너무도 다양한 브랜드의 가구들로 이 두 브랜드의 옛날 가구 찾아 다시 사용하기가 유행이라고도 한다. 오빠의 고등학교 시절 구입한 저 브랜드의 책상과 의자는 내가 지금의 집으로 이사하기 전까지 30년 정도를 사용했다. 이사할때 처분한 이유도 망가지거나 비틀려서가 아니고, 그저 새로 분양받은 아파트에 들어갈때 새 가구를 들이자는 이유 하나였다.

마찬가지로 내가 고등학교 시절 구입한 식탁과 식탁의자 세트는 이름없는 작은 동네 가구점에서 통나무를 둥글둥글 깎아 옻칠처럼 까맣게 칠한 세트였다. 이 식탁세트도 25년을 사용하다 이사할때, 식탁은 처분하고 의자 4개는 집안 인테리어용으로 사용하겠다고 들고 와서 지금도 잘 사용중이다. 가끔은 의자로, 가끔은 꽃다발이 생겨서 화병 받침대로, 가끔은 또다른 용도로 사용하면서 이렇게 튼튼한 의자를 만든 분의 공을 생각하고는 한다. 넘어져 찍혀도 그것이 무늬가 되고, 월넛색이 살짝살짝 벗겨진 의자의 둥근 모서리들은 그 나름의 멋스러움이 된다. 오래 사용할수록 나무가 빛이 나는 이유는 우리의 손길에 닿아서 기름칠 아닌 기름칠이 된 이유일 것이다.

'좋은 가구는 좋은 삶으로 데려다준다.'

여자 목수이신 수인, 유진님의 공방 카밍그라운드의 모토라고 한다. 이들이 자작나무로 만드는 가구 하나하나에 들어간 정성은 이 정신에서 시작될 것이다. 아마도 카밍그라운드에서 만들어진 가구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우리집 식탁의자처럼 만든 분의 따뜻한 마음과 사용하는 사람의 생활 모습이 어우려지면서 좋은 가구로 거듭나는듯 하다.

일반 회사에서 열심히 일하던 그녀들이 뜻을 합쳐 열게 된 공방은 지금은 그녀들이 디자인하고, 만들고, 배달까지 하는 멋진 공방이 되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자연과 더불어 일도 하고, 향긋한 나무향 맡으며 힐링도 되고, 하다 지치면 잠시 차를 마시며 자연을 감상하는 아름다운 공간으로 자리잡기에는 많은 시간이 걸렸다고 한다.

그녀들의 좋은 가구에 더 많은 사람들이 좋은 삶으로 거듭나기를 바래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