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은 어떻게 역사를 움직이는가 - 선화공주의 사랑에서 윤심덕의 사랑까지
권경률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는 기록된 것을 말하기도 하지만, 기록되지 않은 역사를 파헤쳐보면 우리가 현대 사회에서 겪는 사건 사고와 비슷하다.

, 경제적 문제나 이성 문제가 사건 사고의 연속으로 일어나 우리 역사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우리가 감동 받으며 누리는 문학에도 주인공과 그 주변 인물까지도 사랑 이야기가 빠질 수 없으며, 예전부터 전해저 오는 노랫말이나 싯구에도 사랑 이야기는 빠질 수 없다.

사실 우리가 태어나 처음 써 보는 긴 글은 부모님이나 가족에 대한 사랑의 편지글 아닐까?

이 책은 이성간의 사랑 이야기가 어떻게 우리 역사를 만들어냈는지에 관한 총 집합체적인 책이다.

신라 문명왕후의 김춘추와의 사랑 이야기는 문명왕후가 화자가 되어 오빠 김유신과 남편 김춘추, 아들 문무왕까지를 운명 공동체로 만들어 삼국통일을 이룬 이야기를 해준다. 그저 보희 언니가 꾼 서악에 올라 오줌을 누었는데 서라벌이 온통 물에 잠기는 꿈을 산 문명왕후는 그 꿈 덕분인지 첫째 부인 보라궁주와 딸 고타소까지 잃은 김춘추의 옷고름을 자신이 꿰매게 되고 결국 왕후가 되는 운명을 겪게 된다.

전설로만 알고 있던 호동왕자와 낙랑공주 이야기는 고구려 대무신왕이 그들을 혼인시키고 호동과 낙랑의 희생으로 낙랑국을 멸망시키는 슬픈 이야기 이다.

아랍인으로 추정되는 처용의 이야기 또한 우리 역사에 도깨비 민담까지 엮어 살짝 외설적인 이야기까지 섞여 슬픈 사랑 이야기를 이뤄간다.

최근래의 가장 아름답지만 가슴 아픈 사랑 이야기로는 윤심덕과 김우진의 사랑 이야기가 쓰여져 있다. '사의 찬미'라는 노래로 잘 알려진 두사람의 사랑이야기는 불과 우리 사회의 몇 십년전 이야기인데 사랑에 대한 생각이 너무도 달라 가슴 아픈 결말을 얻을 수 밖에 없었다는 것을 생각하면 이 둘이 지금 살아있다면 우리 문화계는 또 어떻게 달라졌을까를 생각하게 된다.

사랑이 권력과 엮인 이야기인 사도세자와 혜경궁 홍씨 이야기는 시아버지 영조의 아들에 대한 극단적인 엄함으로 혜경궁 홍씨가 남편의 죽음을 목격하게 하고, 자식(정조)을 양자로 보낸 끝에 왕에 올라서게 하는 어머니로서의 결단력있는 이야기를 풀어냈다. 사랑으로 인한 권력의 탐인지, 권력을 위한 사랑의 버림인지 그 모든 이야기가 잘 풀어내져있다.

15편의 우리 역사에 관련된 사랑이야기라고 하는데, 작게 서술된 것까지 하면 더 많은 이야기가 담겨 있어 연애소설 읽듯이 술술 넘어가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