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이 생의 마지막이라면 - 청년 아우렐리우스의 제안
기시미 이치로 지음, 전경아 옮김 / 영진.com(영진닷컴)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유행하는 말로 " 너 T야?" 라는 말이 있다고 한다. MBTI 4가지 중 T와 F의 차이를 묻는 것인데, 감성적 성향인지 이성적 성향인지를 묻는 질문이라고 한다. 2000년의 시간을 뛰어넘는 인생 고전 <명상록>을 쓴 아우렐리우스의 성향은 T였을 것으로 예상된다. <명상록>자체가 독자를 생각하고 쓴 책이 아닌 자신을 위한 비망록이기 때문에 더욱 그런 확신이 들었다.

<미움받을 용기>의 저자 기시미 이치로가 <명상록>을 새롭게 되짚어준 <지금이 생의 마지막이라면>은 기시미 이치로가 자신의 인생 역경을 아우렐리우스의 철학에 맞춰 명상록을 지금 시대에 맞게 해석해 줬다는데 그 의의가 있을 것이다.

1장에서는 '자신의 내면’에 대해, 2장에서는 '타인과 공생'을, 3장에서는 누구나 겪는 ‘고난과 마주하기'에 대해, 4장에서는 삶에서 가장 중요한 '지금 여기'를, 마지막 특별장에서는 '삶을 마감하기 직전, 죽음’의 이야기를 다루면서 다시 한 번 ‘인간과 삶의 가치와 여정’에 대해 설명해주고 있다.

매 장마다 주요 문구를 필사 할 수 있게끔 노트를 마련해두어 그대로 필사도 가능하고, 그 문구에 대한 나의 생각 또는 다른 문구까지도 쓰면서 한 번 더 생각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긴다. 아마도 자기 자신에게 '너'라고 지칭하며 쓰여진 명상록이 인생의 괴로움 앞에서 자신을 채찍질하기 위해 쓰여졌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이 문구 하나하나가 아마도 내가 어떤 상황에서 이 책을 읽느냐에 따라 다른 느낌으로 다가올 것이다. 기억에 남는 문구 3개를 골라보자면 지금 내게 와 닿는 문구는 다음과 같다.

때로는 바라던 일이 실현되지 않을 수 있는데, 그렇다고 지금 당장 아무 일이나 해서는 안 됩니다. 또 정의로운 행위여야 합니다.

완전한 인격이란, 하루하루를 마지막 날인 것처럼 살되 격렬해지지도 무기력해지지도 않고 위선을 떨지도 않는 것이다.

비운에 쓰러지지 않고 '나는 앞으로 어떻게 될까?' 미래를 생각하며 힘들어하지 않는 것이 행복이라고 아우렐리우스는 말합니다.

명언들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가슴 속 깊이 주는 울림이 있다. 이 책은 명상록을 저자의 관점으로 해설해주어서 좀더 쉽고 현시대의 우리에게 더 깊은 울림으로 느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